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한-중-일 전통 도시주거지의 가구/획지 및 주거형식에 관한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Block, Lot and Dwelling Type of Traditional Urban Residential Area in Korea, China and Japan
저자명 임창복(Yim Chang-Bok)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0 n.2 (2004-02)
페이지 시작페이지(43) 총페이지(8)
ISSN 12269093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전통 도시주거지 ; 주거유형전통 도시주거지 ; 주거유형
요약1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도시주거지의 주거지 구조와 건물의 물적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각 나라의 상이한 사례를 일반화한다는 데에는 매우 많은 어려움과 위험이 따르는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각국의 전통도시주거지에서 가구, 획지 및 건물 자료를 대상으로 일반화 할 수 있는 자료를 비교?분석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주와 서울, 서안과 북경 그리고 교토를 사례도시로 선정하고 비교한 바, 본 연구에서 분석된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구에 관한 사항으로 그 규모면에서 북경의 사례가 제일 규모가 크며 동서방향의 200~250m×75m 규모를 지닌 장방형 가구가 일반적이다. 서안의 경우는 동서방향으로 170~185m, 남북으로 155~175m인 정방형 가구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경주와 교토의 사례에서 보듯이 한국와 일본의 전통주거지 가구는 120m를 전후한 정방형의 가구가 초기의 가곽이 있고 이것이 다시 60m를 전후한 남북방향으로 세장한 세가구로 분할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둘째, 획지에 관한 사항으로 그 규모면에서 보면 중국, 한국, 일본의 순으로 볼 수 있고, 한국과 중국에서는 정방형 획지가 한옥이나 사합원의 주거형태와 연계되어 일반화되었으며, 일본의 교토 사례에서는 정방형의 획지 사례가 일반화되지 않았다. 그리고 일본에서는 세장형 획지가 가장 보편화된 방식이었고 중국의 경우도 서안이나 북경 모두에서 2院식이나 3院식 주거유형을 위해서는 세장형의 획지도 널리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건물에 관한 사항으로 그 규모면에서 보면 중국, 한국, 일본의 순으로 건물규모가 발달된 것으로 볼 수 있고, 한국의 경우 대부분 정방형에 가까운 건물유형이 일반적이나, 중국의 사합원은 정방형의 경우도 있고, 院이 증가함에 따라 세장한 형식의 사합원도 동시에 개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일본의 경우는 대부분 세장한 건물형식을 취하고, 외부공간도 건물의 측면에 위치하는 형식으로 개발되었다. 상기와 같은 분석결과는 전통주거지 중 주로 서안과 북경, 경주와 서울 그리고 교토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므로 이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아직 많은 문제점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로 중국과 일본은 과거에 이미 우리보다는 도시화에 용이한 주거형식을 계획하였고, 또 그것을 주거지 조직과 연계하여 개발하였기에 밀도가 높은 도시주거환경의 조성이 가능하였다
요약2 This paper aims to do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morphology and housing typology of traditional urban residential areas of Korea, China and Japan. As sample cities for comparison, I have taken the cities of Kyungjoo, Seoul, Xian, Beijing and Kyoto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sidering their long history as neighboring nations, three countries are believed to have man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s. In this study, block, lot and housing types are analyzed on the basis of same criteria. As a result, the following factors have been found. Firstly, as for the block, China had bigger one in size than that of Korea and??Japan, in which it had around 120m square shape of block. Secondly, as for the lot, China had a bigger than that of Korea and??Japan. And, even though Korea had almost square shape of lot, slender shape of lot was well developed in China and Japan, in the urban residential areas. And thirdly, as for housing type, China had bigger in size than that of Korea and??Japan. And for the shape of housing, it had a similar characteristic as that of lot shape.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한·중·일 전통도시주거의 외부공간에 관한 비교 연구
임창복(Yim Chang-Bok) ; 김경환(Kim Kyung-Hwan) ; 지성광(Chi Xing-Gua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2 (2006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일본 전통도시주거 교토 마치야(京町家) 공간에 내재된 유연성(柔軟性)에 관한 연구
한지애(Han Ji-A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8 n.09 (201209)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서울 도심부의 역사적 도시형태 변화유형과 특성
진영효 ; 안건혁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0 n.1(통권 제34호) (200903)
韓·中·日의 경계의식에 따른 주거공간의 경계구조
김미나 ; 조성기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8 n.1 (200201)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저탄소 시대의 친환경건축물 기술/사례
조욱희 - (사)한국그린빌딩협의회 창립 10주년 기념대회 : (20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