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인도 및 인도계 사원 건축의 배치 고찰 / The Survey on Building Layout of Indian and Indian Origin Temple Architecture
저자명 리욱(Lee Wook) ; 조창한(Zoh Chang-Ha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0 n.3 (2004-03)
페이지 시작페이지(81) 총페이지(8)
ISSN 12269093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집중식 ; 장축식 ; 세계관 ; 만다라//concentric ; longitudinal ; world-view ; mandala
요약1 인도 및 인도계 사원건축들의 배치는 외형상 아주 整然해 보인다. 그러나 그 질서는 직교적 혹은 집중식의 다양한 모습을 보이며, 기존 문헌들에서도 이를 서로 다르게 말하고 있다. 더욱이 이들 사원들은 후기로 갈수록 여러 구조물로 群을 이루며 진입상의 축이 길게 강조되는 장축식 배치로의 변화되는 모습도 보인다. 그래서 정작 그것의 배치가 어떠한가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한 답을 내릴 수 없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인도와 인도계 사원 건축들이 가진 배치 질서가 어떤 것인지 보다 분명한 답을 찾고, 또 후기로 가면서 장축식 배치로 변화되는 까닭도 찾아보았다. 그 방법은 건축 자체만의 고찰로는 기존 결과처럼 혼란이 있을 수 있겠기에, 인도 및 인도계 사원의 종교적 바탕이 되는 불교와 힌두교의 世界觀과 그것의 가시적 도상인 曼茶羅의 구도를 통해 그들의 秩序觀을 살펴보고, 또 이들 사원들과 관련이 있는 문헌들의 참조로 건축의 배치 질서를 찾아보는 방법을 채택했다. 그 결과, 인도 및 인도계 사원들이 가진 직교 혹은 장축식의 배치 외형은 근본적으로 집중식에서 비롯된 것이며, 이들 사원들에서 추구하려했던 기본적인 정신도 집중식이었다고 할 수 있다. 먼저, 그것은 인도 사상의 근간인 불교나 힌두교의 세계관이나 만다라에 표현된 기본적 질서나 인도의 건축서 vastu shastras와 도시계획서 mansara에서 집중식을 건축이나 도시가 갖추어야 할 기본적 질서로 제시하고 있었다는 점이며, 무엇보다 인도 및 인도계 사원의 장축식 배치는 사원 본래의 집중식 질서에 예배 목적의 공간 혹은 건물들을 성소 전면에 일렬로 부속시키면서 불가피하게 변화되어던 결과였기 때문이었다. 또한 이러한 예배 공간의 부가는 인도의 혹서기 혹은 우기 등의 기후에 관계없이 예배나 의례의식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목적이 컸다.
요약2 This study purposes to find out what order of building layout in India and India-origin temples have, and what the main reason is in case of being a change - from the concentric to longgitudinal building layout. Since the world- view and the mandala of Buddhism and Hinduism present the concentric layout and a building guide "vastu shastras" and a urban planning guide "mansara“ suggest this order as a basic model of building and urban layouts, the order of building layout in India and India-origin temples seem to have the concentric layout as a basic order. As getting to the late period, there is a change into the longitudinal building layout. The change resulted from fact that a outdoor space or building for worship-"mandapa"-are located in front of sanctuary- "vimana". Also, the addition of this buildings due to have a space for worship with no interference of climate such as the hottest season or the rainy season in India.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논문] 인도 불교석굴사원의 시원과 전개
이희봉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4(통권 59호) (200808)
[논문] 중국 초기 불교사원 배치에 관한 연구
현승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2 n.1(통권 86호) (201302)
인도의 관념체계와 도시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손세관 ; 이해경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6 n.4(통권 제21호) (2005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현상학이 건축이론에 미친 영향과 현상학적 건축설계 방법론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김광배(Kim Kwang-Ba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3 n.12 (200712)
[자료] 칠당가람 소고
현승욱 ; 尙晉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