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경복궁의 건축공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spatial organization of Gyungbok Palace
저자명 장재혁(Chang Jae-Hyeok) ; 한동수(Han Dong-Soo)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0 n.4 (2004-04)
페이지 시작페이지(183) 총페이지(8)
ISSN 12269093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경복궁 ; 외조일곽 ; 조당 ; 유교사상 ; 의례 ; 공간구조경복궁 ; 외조일곽 ; 조당 ; 유교사상 ; 의례 ; 공간구조
요약1 본 연구의 목적은 世宗年間에 이루어진 法宮體制와 禮制整備에 따른 景福宮의 空間構造를 분석하는데 있다. ??세종년간에 제정?정비된 『世宗實錄』「五禮」“嘉禮” ‘朝賀儀’와 ‘朝參儀’ 그리고 ‘常參儀’를 거행하는 행례공간을 비교?분석하여 의식에 따른 공간사용의 차이점과 의미를 확인하고, 모든 의례의 시작을 알리는 시점이자 중요한 의례장소인 朝堂의 기능과 역할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로 나타나는 세종년간의 경복궁에 있어서 외조일곽의 공간구조를 통해서 ‘三朝’의 구성에 따른 공간구조를 해석하였다. ??연구방법에 있어서 조당의 기능과 외조일곽을 규명하는데 있어 고제에서 언급되고 있는 삼조에 관한 정의를 살펴보고, 역대왕조에서 궁성제도와 조당제도의 기능과 그에 따른 역할을 분석함으로써 세종년간 경복궁 외조일곽의 공간구성과 조당제도를 조명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 있어 '三朝三門'과 관련하여 창건 당시 경복궁의 구성 배치원리에 초점을 맞추었던 것을 세종대의 의례정비와 세종년간 경복궁의 重修.改構.新築을 통한 법궁체제의 완비로 보았으며, 홍례문 밖의 조당 일곽에서 이루어지는 기능과 공간의 구성을 분석함으로써 '三朝'에서 일컬어지는 외조일곽의 실체를 규명하고 사료 중심의 분석을 통해서 조당의 배치추정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삼조에서 으뜸인 외조일곽에서 거행되는 '조참의'에 해당하는 행례공간과 조당이 가지고 있는 기능들을 분석함으로써 고제에서 언급되고 있는 외조일곽의 공간구성을 광화문에서 근정문에 이르는 영역으로 규정지었다. 이상과 같은 세종년간에 이루어진 경복궁의 법궁체제와 완비와 예제정비는 단순히 고제를 수용하여 적용하는 측면이 아닌 예사상이 가지고 있는 특성상 그 시대의 상황과 역사성을 반영한다는 맥락에서 고제를 상고하고 고금의 관행을 참고함으로써 조선왕조의 정치이념에 맞게 변용되어 제도가 마련되고 시행되었다.
요약2 This study aims to analyzes the spatial organization of Gyungbok Palace into the ceremonial consolidation(禮制整備) and the main palace system(法宮體制) in the reign of King Sejong(世宗). There is relation ceremony to the spatial organization of Gyungbok Palace. The spatial organization of Gyungbok Palace analyzes character into ceremony acting on Palace, Jodang(朝 堂)??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all ceremony understands function and location. Then the Oejo- region(外朝一廓) of Gyungbok Palace grasps the spatial organization completed in the reign of King Sejong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조선초기 창건 경복궁의 공간구성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7 n.2 (199806)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우리 건축의 뿌리를 찾아서] 조선시대 법궁 경복궁과 그 공간구성
주남철 - 월간 빌딩문화 : 1997 Vol.6 (199706)
[자료] 경복궁 건물배치의 `三門三朝`설에 대한 의문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0 n.1 (200103)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전통목구조 프레임의 수평내력 모델의 평가
이영욱 ; 황종국 ; 황재승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15 n.06 (통권58호) (201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