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조선시대 지방 읍치의 조영규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tandard in Building the Provincial Eupchi in the Chosun Dynasty
저자명 김기덕(Kim. Ki-Deok)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0 n.5 (2004-05)
페이지 시작페이지(111) 총페이지(8)
ISSN 12269093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조영규범 ; 충청도 ; 읍치 ; 객사 ; 동헌 ; 좌묘우사 ; 전조후시 ; 주례고공기 ; Building Standard ; ChungChong-Do ; Eupchi ; Gaeksa ; Dongheon ; Jwamyo-Usa ; Jeonjo-Husi ; Jurye-Gogonggi
요약1 朝鮮時代 각 郡縣의 중심지였던 邑治는 朝鮮王朝의 中央集權的 통치체제의 실현으로 획일적인 통치시설을 갖추고 일정한 원칙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따라서 전국 340여 개의 지방은 외면상으로는 획일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때 전국의 邑治를 造營하는 계획규범은 朝鮮의 國都인 漢陽의 空間構造일 것이며, 또한 漢陽의 계획모델은 中國의 都城制度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中國 都城의 계획원칙으로 적용되었던 周禮의 考工記를 기본으로, 朝鮮의 國都인 漢陽의 계획규범이 忠淸道地方 郡縣의 중심지인 邑治의 造營에 미친 영향과 규범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忠淸道 地方 邑治의 中心空間은 地方官衙의 東軒임이 확인되었다. 忠淸道 官衙의 東軒은 대부분 邑治의 鎭山을 취하며, 邑治의 중심에 위치함으로써 중심공간임을 나타낸다. 이는 地方統治行政이라는 기능적인 요구를 우선시 하는 것으로써, 地方 郡縣 守令의 地位가 축소판 國王의 지위를 상징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忠淸道 地方 邑治의 造營規範은 國都인 漢陽의 계획규범이었던 周禮 考工記의 左廟右社?前朝後市의 원칙으로 볼 수 있다. 邑治의 社稷壇은 忠淸道地方의 경우 54개 郡縣 중에서 47개 지역이 邑治의 서쪽에 社稷壇을 조성하고 있어, 都城의 社稷壇이 궁궐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것과 같은 배치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邑治의 坐向과 무관하게 서쪽이라는 絶對向을 고수하는 것으로 都城의 계획규범인 左廟右社 중에서 右社의 기본원칙이 적용되었다. 左廟에 해당되는 客舍의 위치는 邑治의 中心空間인 東軒을 중심으로 볼 때, 東軒의 左右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보이며, 東軒의 전면에 위치하는 경우도 상당수 있었다.??邑治의 前朝後市에 대한 配置槪念은 東軒의 전면에는 中央의 六曹에 해당하는 六房들의 집무처인 作廳이 배치되고, 후면에는 市場이 배치된다는 계획규범이었다. 그러나 後市의 개념은 자연적인 조건과 교통 등의 이유로 中國에서조차 지켜지지 않고, 漢陽에서도 市場의 위치는 궁궐의 前面에 배치되었다. 前朝의 개념에 해당하는 地方官衙의 作廳은 東軒 領域의 바깥, 즉 外三門의 前面 혹은 左右에 위치하여 都城의 前朝 개념이 적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郡縣의 場市는 官衙의 官門 앞이나 客舍 앞에 개설되었으며, 邑城을 갖춘 郡縣에서는 邑城의 안팎에 설치되었다.
요약2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tandard in building the Eupchi in Chungchong province with Chungchong-do regional maps and Eupjis being compil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In the layout of Eupchi in Chungcheong-do, the most central core institution was not Gaeksa but Dongheon. Dongheon mostly took Jinsan of Eupchi as the center of Eupchi and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The building of Eupchi is on the principle that was the city where Jwamyo-Usa and Jeonjo-Husi of Jurye- Gogonggi that was a plan standard of the Hanyang. In the Jwamyo-Usa of Eupchi, Sajikdan of Eupchi is the same layout as it was located in the west of Eupchi, as Sajikdan of a capital city was located in the right of a palace. And in the Usa of Eupchi, Gaeksa corresponded to Jongmyo, the location of it was related with the main road to pass by Gunhyeon. As for the Jeonjo- Husi of Eupchi, it can say that the general idea of Jeonjo in capital city applied. Jakcheong corresponding to a general idea of Jeonjo, is located in the front of Oesammun or right and left. And the Jangsi of Gunhyeon was opened in front of government office or Gaeksa.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조선시대의 지방도시 읍치의 성립과 계획원리에 관한 연구
김헌규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6 n.2(통권 51호) (200704)
조선초 객사 건축에 관한 연구
이연노(Lee Yeon-Ro) ; 주남철(Joo Nam-Chul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12 (200412)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논문] 조선후기 지방관아건축의 배치구성에 관한 연구
김기덕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3 n.1 (200403)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
조선후기 충청도 지방 읍치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김기덕 ; 이재헌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2 n.1 (200303)
전통 목구조 살림집의 회첨부 결구방식에 관한 연구
박새미 ; 장헌덕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211)
조선후기 선자연 치목기법에 관한 연구
김왕직(Kim Wang-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논문] 백제계 및 신라계 가구식 기단과 계단의 시기별 변화특성
남창근 ; 김태영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