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조선시대 군위읍치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pacial Structure of Regional Cities in Gunwi During the Chosun Dynasty
저자명 이재환(Lee Jae-Hwan) ; 예명해(Yea Myung Hai)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0 n.12 (2004-12)
페이지 시작페이지(139) 총페이지(9)
ISSN 12269093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軍威 ; 風水 ; 邑城 ; 邑治 ; 관아시설 ; 제사시설 ; 교육시설 ; 공간구성//Gun-wi ; FengSui ; Spacial composition ; Fortification
요약1 근자에 들어 지방도시에 관한 연구로서 조선시대 大邑에 관해서는 연구가 조금씩 진행되어오고 있지만 小邑에 관해서는(縣이하) 연구가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호수 5000이하의 소읍의 하나인 군위현를 선정하여, 조선시대 지방도시의 공간구성을 밝히는 하나의 단계로서 군위 읍치의 공간구성을 연구하였다. 軍威 邑基의 風水와 邑治의 공간구성과 관련하여 邑城의 築城 그리고 諸 施設物(관아시설, 교육시설, 제사시설, 시장)에 대해 규명하였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풍수사상으로 본 군위는 마정산이 관기의 뒷 배경이 되고, 서쪽의 아미산을 안산으로 하고 있으며, 위천과 동천, 적라산과 선방산이 관기를 감싸고 있어서 주변지역에 비해 가장 地中生氣가 왕성한 곳에 자리 잡고 있다.
2). 읍치에서 가로망은 남북을 관통하는 도로에 동산을 중심으로 배치된 로상동 로하동 오정동의 주거지로 연결된 자연발생 도로가 있고, 관아시설인 아사와 객사에서 남북 주 도로에서 이러는 도로가 기본 골격을 형성하고 있다.
3). 읍치의 공공시설은 아사, 객사를 비롯한 육방관련시설물, 社倉, 향청 그리고 이들 시설에 부속된 루·정 등이 있었음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조선초에 관아건물들이 이었는데 선조 38년에 큰 재해로 인해 이전의 시설들이 대부분 유실되었으며, 18세기 중엽에 대대적인 중건이 이루어 진 것으로 추정되다.
4). 군위읍성은 성종8년에 처음으로 논의 되었지만, 축성되지는 않았고, 조선초까지는 연일성 병천산성 등 방어시설을 갖추고 있었으나 조선후기 가산산성이 축성되면서 방어기능이 가산으로 옮겨졌다.
5). 공교육시설인 향교는 세 번의 이건을 거쳐 629번지에 1701년 건립하여 현재까지 보존되어 오고 있으며, 사교육시설은 조선후기 공교육시설이 약화되면서 많은 수의 서원과 서당이 신설되었다.
6). 중요한 제사시설인 사직단, 성황단, 여단은 1749년 중수와 더불어 사직사와 성황사가 새롭게 건립되었다. 이것은 18세기중엽 읍치에 관아시설들을 중수하면서 이를 산천과 수호신에게 고하기 위해 제시시설들에 대해서 정비를 한 것으로 생각된다.
요약2 This study is research on the Gun-wi which was a regional city during Chosun Dynasty and located from the start of Wichon River from the North of Palgong Mountain. The study was focused on the most important idealogical and spacial elements like Feng Sui, government building's facilities, school, library, Sadang as a worship facilities, Sunhwang-dang and Ye-dan. Again, the focus was given to the spacial composition for ruling the fortification.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조선시대 지방 읍치의 조영규범에 관한 연구
김기덕(Kim. Ki-Deo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5 (200405)
[논문] 조선후기 지방관아건축의 배치구성에 관한 연구
김기덕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3 n.1 (200403)
조선초 객사 건축에 관한 연구
이연노(Lee Yeon-Ro) ; 주남철(Joo Nam-Chul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12 (200412)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조선시대 읍성 , 관아 , 향교간의 배치규범에 관한 연구
강규민 ; 이달훈 -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 v.19 n.2 (199910)
관아건축에 관한 연구
주남철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28 n.116 (198401)
[논문] 백제계 및 신라계 가구식 기단과 계단의 시기별 변화특성
남창근 ; 김태영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조선시대의 지방도시 읍치의 성립과 계획원리에 관한 연구
김헌규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6 n.2(통권 51호) (20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