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현대 거주공간으로서 도시한옥의 가능성 제안에 관한 연구 / 북촌 도시한옥의 재해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posal of possibility for the Tosi-hanok as contemporary residential space : Focused on the reinterpretation of the Tosi-hanok
저자명 허혜림 ; 임종엽
발행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13 n.5(통권 46호) (2004-10)
페이지 시작페이지(32) 총페이지(7)
ISSN 12297992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북촌 ; 도시한옥 ; 보전과 보존 ; 현대건축의 프로그램
요약1 전통한옥이 단절된 건축양식이 아니라 현대 프로그램의 다양한 패턴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외관의 의장적인 측면보다는 내부공간의 구조와 사용에 대한 적절한 대안들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향은 전통적 양식의 파괴가 아니라 전통한옥의 장점과 특성을 살려 단절된 역사성과 사용자들의 안락하고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는 현대 프로그램의 요구조건과의 조화가 적합한 방안들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도시한옥을 논자가 제시하는 분석틀에 의해 재해석하여 장점을 부각시키고 단점은 보완함으로서 현대 거주공간으로서 다양한 프로그램의 요구조건을 수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요약2 The value of the Tosi-Hanok have recently been appreciated and accordingly the resultant studies have actively been conducted. This is an attempt to probe our architectural type having identity through our traditional architecture in Korean society that pursues only something new. But owing to the infusion of foreign cultures and modernization, the archetype of Korean-style house has either been damaged or indiscriminately transformed without the establishment of its proper norms. The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s has gradually increased, and accordingly effort to preserve Korean-style houses through legal regulations or systems have continually been made in terms of appearance or cityscape. For this reason, it is thought that it is insufficient to present the direction or alternative to preservation in relation to the change or use of the interior space with the pattern of requirement for other programs other than dwelling.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original meaning of Korean-style house by highlighting the advantages of Tosi-Hanok and supplementing its disadvantage while accommodating the diverse requirement for programs as contemporary residential space. And it was intended to propose the model for Tosi-Hanok that accommodates social changes in content while maintaining its meaning by analyzing the Tosi-Hanok with a focus on interior space and preserving historical continuity on its basis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논문] 한옥 설계의 최근 경향 연구
이주옥 ; 한필원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
[특집] 현대건축(現代建築)과 한옥(韓屋)의 결합(結合) 가능성
김용미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53 n.09 (200909)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
현대건축에 나타난 신한옥 계획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완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8 n.3(통권 74호) (200906)
현대한옥 설계의 경향 연구
이주옥 ; 한필원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011)
한옥활성화를 위한 신한옥 모델개발 연구(Ⅰ)
이강민 ; 이민경 ; 황준호 - 연구보고서(한옥) : 2012 n.03 (201212)
[자료] 한옥 들여다보기
장명학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1 n.1 (200203)
지속 가능한 ‘한옥’ 평면형 개발
김지민(Kim Ji-M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3 (200603)
저탄소 시대의 친환경건축물 기술/사례
조욱희 - (사)한국그린빌딩협의회 창립 10주년 기념대회 : (20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