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한국의 현대 실내공간에 나타난 한국적 조형의식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the Korean Plastic Consciousness of the Contemporary Interior Space in Korea
저자명 오인욱
발행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13 n.5(통권 46호) (2004-10)
페이지 시작페이지(74) 총페이지(8)
ISSN 12297992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한국적 조형 의식 ; 정체성 ; 의식주 공간
요약1 의식주라는 인간 생활의 기본적인 세 가지(의식주) 요소의 변화와 각각의 내용이 공간적으로 수용될 때 보여지는 시각적 특성들의 변화, 그리고 전통과 현대적 조형의식의 비교 고찰을 통한 한국적 조형의식에 대한 분석을 함으로써 전통과 현대에 대한 이분법적 구분에 연결 고리를 마련하는 단초를 제공하고, 한국적 조형의식이라는 개념을 현대 디자인의 영역에서 현대적으로 적용 또는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요약2 The three basic elements of human life -clothing, food and shelter- had been evolved through different periods and cultural realms, as their spatial applications show distinct characteristics that are manifested through sensibilities only inherent to its specific culture. Especially in the interior spaces, possibilities to approach them in three-dimensional aspects allow formal characteristics to be expressed that are distinct to the country. Formal sensibilities embedded in interior space in Korea also follows such pattern, developed through various contemporary interpretations of Korean traditional formal sensibilities, including harmony with nature, simplicity, lightness, real and fake, and principle of harmony are being redefined by spatially expressed in contemporary language. That is, traditional formal sensibilitiesare filtered through various application methods such as composition, negotiation and modification, accommodating spatial manifestations to be not simply preserved nor replicated, but rather reconstructed through metaphor, symbol, abstraction and contrast.
From this perspective, the Korean traditional formal sensibilitiesis not a notion fixed in the past, but a distinct perspectives evolving throughout periods of time that are constantly reconsidered and reinterpreted in our interior space. By examining Korean sensibilities manifested in interior space in the both diachronic aspects of tradition vs. contemporary, as well as synchronic aspects among various disciplines simultaneously, we would be able to generate a linkage to the dichotomous categories of tradition and contemporary.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실내건축공간에 ‘한국성’ 적용을 위한 디자인개념 추출
유영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4 n.5(통권 52호) (200510)
한식당을 중심으로 한 한국적 조형표현의 문화 해석
전성희 ; 김진옥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3 n.3(통권 44호) (200406)
원형적 공간 요소로 본 한국주택 평면형식의 통시적 고찰
전봉희(Jeon Bong-Hee) ; 권용찬(Kwon Yong-Ch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7 (200807)
가변형 공동주택의 공간 요소 특성 연구
조일아 ; 박경환 ; 김형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3(통권 62호) (200706)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안도 타다오 건축에 나타난 사색 공간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김도이 ; 김주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7 n.2(통권 67호) (200804)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가변형 공동주택의 단위평면 구성에 따른 가변유형 분석
조일아 ; 김형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1(통권 60호) (200702)
현대 공동주거 계획에 나타난 한국 전통성 표현에 관한 연구
김미경 ; 박영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3 n.4(통권 45호) (20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