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울산객사의 해체과정과 원형추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moval and The Restoration of Ulsan Gaeksa
저자명 강영환(Kang Young-Hwan) ; 김윤경(Kim Youn-Kyung)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1 n.1 (2005-01)
페이지 시작페이지(153) 총페이지(8)
ISSN 12269093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객사 ; 울산 ; 도시경관 ; 복원//Gaeksa ; ulsan ; landscape ; reconstruction
요약1 도시의 건축문화재는 단순한 과거시대의 유물이 아니라 그 도시의 역사적 맥락과 시간적 지속성을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건축문화재가 도시의 활력을 생성시키는 중요한 대상이 된다는 인식은 금세기에 들어 더욱 확산되고 있다. 이 같은 인식은 도시의 역사문화환경에 대한 학계의 활발한 논의로 나타나고 있다 지방도시에 있어서 역사성을 대표하는 유산은 역시 官衙建築이라 할 수 있다. 관아는 읍성의 중심에 소재하여, 중심 간선도로의 대표적인 문화경관으로서 Landmark의 기능을 갖기 때문이다. 관아건축 중에서도 지방 읍성에서 가장 중심적이고 상징적인 의미를 갖고 있는 것은??客舍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일제시기와 근대화과정을 거치는 동안 대부분의 객사가 변형되거나 철거됨으로써 그 건축적 유형을 파악하기 어렵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도시중심부 경관의 역사성마저도 단절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현재 남아있는 객사의 수는 24개소인데 대부분이 이건, 복원된 것이거나 일부만 남아있으며, 一廓의 모든 건물이 원형대로 남아있는 사례는 단 한 건도 찾아 볼 수가 없다. 이에 지금까지 조선시대 객사의 건축적 성격이 어떠했는지 그것들이 왜, 어떻게 사라지게 되었는지를 규명하려는 시도는 극히 드물었다. ??울산객사 또한 일제시기에 사라지고 현재는 일부 건물만 다른 용도로 보존되고 있다. 그러나 철거이전의 시각적 자료가 풍부하게 남아있다는 점에서 원형을 추정할 수 있는 연구대상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시각적 자료를 분석하여 그 원형을 추정할 수 있다면 이는 객사건축의 유형적 성격을 규명하는 일뿐만 아니라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방도시의 역사적 문화경관을 되살리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울산객사의 연혁과 해체과정, 그리고 건축적 성격을 규명하여 향후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첫째, 울산객사의 연혁과 해체과정을 밝힌다. ?? 둘째, 울산객사의 위치와 건물배치를 추정한다. ?? 셋째, 울산객사의 건축적 성격을 분석한다.
요약2 Gaeksa means one of most important institution in provincial government during Jo-seon dynasty. It was also one of major landmarks of old city. Under the Japanese colonialism, however, most of Gaeksa have been destroyed. Very few are preserved with the original forms except partly remained or reconstruction. Fortunately Ulsan Gaeksa remains lots of photos with which can be presumed the original form. Based on these photos, this research tried to find out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Gaeksa.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조선초 객사 건축에 관한 연구
이연노(Lee Yeon-Ro) ; 주남철(Joo Nam-Chul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12 (200412)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논문] 백제계 및 신라계 가구식 기단과 계단의 시기별 변화특성
남창근 ; 김태영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석탑 기단부 적심구성방법에 대한 특성 고찰
정해두 ; 장석하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6 n.5(통권 54호) (200710)
객사건축의 연구
주남철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v.2 n.3 (198606)
조선후기 선자연 치목기법에 관한 연구
김왕직(Kim Wang-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논문] 해미읍성(海美邑城) 객사의 위치 및 건축구성 연구
김회정 ; 이정수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3(통권 82호) (201206)
조선후기 나주객사의 건축형태와 공간활용에 관한 기초적 연구
기배간 ; 천득염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9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