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서울 강남의 다세대.다가구주택 배치특성에 관한 연구 / 1983년 이후 허가된 논현동 158, 149, 역삼동 657번지의 주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ulti-Family Housing’s Site and Building Layout Characteristics of Gangnam-Gu in Seoul
저자명 손병남(Son Byung-Nam) ; 김준경(Kim Jun-Kyung) ; 조용훈(Cho Yong-Hoo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1 n.7 (2005-07)
페이지 시작페이지(29) 총페이지(10)
ISSN 12269093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다세대·다가구주택 ; 건축법규 ; 도시적 맥락 ; 주택정책 ; 주거유형//multi-family housing ; building regulations ; urban context ; housing policy ; housing type
요약1 본 연구는 1980년대 후반부터 2001년까지 건설된 서울 강남지역의 논현동과 역삼동의 다세대.다가구주택 62개의 표본을 대상으로 배치특성을 파악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서울의 대부분의 지역에서 집단적으로 건설되기 시작한 다세대?다가구주택은 단독주택이 갖는 풍부한 거주환경을 침해하고 도시주거의 질서를 깨뜨렸지만 이는 고밀도로 살아야 하는 도시주거의 새로운 형태로 이해되어야 할 수 밖에 없다. 그 새로운 형태에 따른 도시?건축적 특징은 주차공간의 확보를 위한 담장 및 정원의 소멸, 임대수익의 극대화를 위한 건물층수의 증가, 도로에 직접 면한 계단실의 등장, 필로티의 등장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대지의 형태, 즉 세장비 및 대지규모에 따른 유형의 차이는 보이지 않으며, 단지 건물형태가 장방형이냐 정방형이냐에 영향을 미칠 뿐이다. 대부분의 다세대?다가구주택은 주거지역에 적용되는 일조권규정에 의해 북측에 최대한의 공지를 확보하려는 경향과 도로에 직접 면하여 출입하려는 모습이 지배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논리에 의해 건물을 배치시킨 후 남는 공지는 모두 주차공간으로 활용하며 96년 주차규정이 강화된 이후에는 필로티를 이용한 주차구획이 가로경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대상지역의 사례에 의하면 단독형 다가구주택이 마지막으로 나타나는 시기가 1989년이었다. 결국 다세대주택을 제도적으로 보장한 시기는 1984년이지만 우리나라 도시주거지에서 공동형 다가구유형이 일반화된 시기는 1990년부터라고 볼 수 있고 다세대보다는 다가구주택이 보다 도시에 적응한 유형이라 판단할 수 있다.
넷째, 90년대 이후에 등장한 공동형 다가구유형의 형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주차규정이라 볼 수 있으며, 필로티를 이용한 주차공간의 확보가 가로경관에 가장 큰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시기적으로는 주차규정이 강화되기 이전인 91년 다세대주택부터 나타나며 2000년 이후의 모든 주택유형에서 보편화되고 있다.
요약2 This study is aimed to clarify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especially the site and building layout characteristics of Multi-Family Housing of Gangnam-Gu, Seoul, and to provide basic data in architectural field for government to establish proper housing policies for desirable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 of Korea.
Since new building regulations of Korea at 1984 provided the basic conditions for the official introduction of urban multi-family housing, the prosperity of these housing type was started at 1990 in Gangnam-Gu, Seoul. After 1990,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ite and building layout derived from field survey and from the preceding researches can be outlined as follows ; ① the disappearance of inner open space and surrounding fences caused by the intensification of parking requirements. ② the introduction of common use staircase and parking piloti space facing the street. ③ the increasement of floor numbers. ④ the maximum segregation of building from the north site boundary.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 잡지에 나타난 다세대·다가구주택에 관한 연구
박기범(Park Ki-Bum) ; 최찬환(Choi Chan-Hw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3 (200603)
한국 도시대중주택의 변화 및 도시·건축적 과제
조용훈(Cho Yong-Hoon) ; 손병남(Son Byung-Nam)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11 (200611)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도시형 생활주택’ 계획방향 및 설계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김진욱 ; 김영현 ; 이민우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2 (20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