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성남 구시가지 주거 변천에 관한 연구(Ⅰ) / 공동주택 형성배경 및 입지특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nsition in Residential Area of The Old Section of Seongnam City(Ⅰ)
저자명 이문찬(Lee Moon-Chan) ; 이상준(Lee Sang-Jun) ; 이영(Lee Young)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1 n.7 (2005-07)
페이지 시작페이지(91) 총페이지(12)
ISSN 12269093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성남시 ; 구시가지 ; 주거유형 ; 주거환경 ; 도시공간구조//Seongnam City ; The old section ; House types ; Residential environment ; Urban spatial structure
요약1 성남시는 60년대 서울시의 주택난을 해결하기 위해 조성된 계획도시로서, 1968년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지구 일단의 주택지경영사업”을 시작으로 단기간에 도시화를 이루게 된다. 성남 구시가지 주거지는 70년대에 철거이주민 수용을 위한 단독주택지로 조성된 이래, 80~90년대의 양적 성장기 이후 공동주택 위주로 변화되기 시작한다. 그러나 지속적인 인구유입으로 인한 주택부족과??평균적인 주거환경의 질 저하는 계속되었고, 이에 90년대의 ‘주거환경개선사업’과 2000년대의 ‘도시재개발사업’을 통한 전면적인 도시공간구조의 개편이 진행되고 있다 . 따라서 현재 진행중인 도시공간구조 개편의 합리적인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서는 도시공간구조의 변화를 객관적인 자료의 제시와 분석을 통해 기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현재 구시가지 주거지 주택 유형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공동주택의 형성배경과 입지특성을 주거지의 물리적 환경변화와 제도변화를 통해 추적 분석하였다. 주거지 형성과정을 추적한 결과, 기존수계와 소도로를 중심으로 대가로망이 계획되었으며, 이에 직교하는 세부 가로체계와 필지 계획이 이루어 졌음을 확인하였다. 주거지는 기존 취락밀집지역을 제외한 지역들이 우선 개발되었으며, 기존 취락밀집지역의 경우 주거지의 성장에 따라 점진적으로 개발되었다. 또한 토지이용현황 분석결과, 수정구는 중원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거용도의 개발이 많았으며 높은 초기 토지이용도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결과적으로 80년대 이후 공동주택 개발을 위한 신규 필지 공급이 중원구에 집중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공동주택 유형별 형성과정을 시기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립주택의 경우 수정구의 경우 90년대 중반까지 주로 개발된 반면에 중원구의 경우 90년대 후반이후에 집중적으로 개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2000년대 이후부터는 개발가능용지의 고갈로 인해 소규모화 되고 있으며, 성장세가 둔화된 상태이다. 두 번째 아파트의 경우 80년대초에 형성되기 시작하는데, 300세대 이상 단지의 경우 중원구에 이하는 수정구에 주로 형성되며 주거지 외곽의 구릉지역을 중심으로 개발된다. 90년대에는 고층, 고밀화되기 시작하며 주거지 인접지역이 개발되기 시작한다. 90년대 후반 이후 개발가능용지의 고갈로 건설물량이 급감하고 단지가 소형화되는데 이는 2000년대 현재 재건축과 재개발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요약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from 1963 to 2003 in the residential area of the old section, Seongnam City. The old section, Seongnam City is the planned city that has been aimed as a residential purpose in order to solve the housing lack of the Seoul in the 60s. It began to be formed in the early 70s and the residential area was expanded in the 80~90s, and various house types appeared. Thus, it is the city which changed from a farm village to a city for a short period of time. So, the housing shortage and residential environmental problem have been remained after city was formed. It have led to the urban renewal in the 2000s. This study clarifies the changing process and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 of the apartment??house which is the most dominant city house type that has been formed in change of urban spatial structure.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성남시 구시가지 주거지 구조에 관한 연구
이상준(Lee Sang-Jun) ; 조기연(Cho Ki-Yeon) ; 이영(Lee 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7 (200607)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성남 원(原)시가지 도시주거의 점진적 재생을 위한 설계 제안
이기철(Lee, Gi-Cheol) ; 이영(Le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8 n.10 (201210)
성남 신구시가지 간의 삶의 격차와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이승환 ; 최병선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200110)
주택지 디자인가이드라인(Design Guidelines)의 경관계획 구성요소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이정형(Lee Jung-Hyung) ; 김민경(Kim Min-Ky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7 (200907)
성남시 구시가지 주상복합건축물의 건축계획 특성
이상준(Lee Sang-Jun) ; 이영(Lee 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6 (200606)
[책속의 책] 선유도공원(1)
정영선 ; 조성룡 - 월간 건축문화 : No.254 (20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