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왕곡마을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of Wanggok Village
저자명 최장순(Choi Jang-Soo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1 n.7 (2005-07)
페이지 시작페이지(103) 총페이지(10)
ISSN 12269093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주거지 ; 자연지리적 요소 ; 사회문화적 요소 ; 공간구조 ; 왕곡마을//Dwelling Site ; Natural Geographic Element ; Sociocultural Element ; Spatial Structure ; Wanggok Village
요약1 본 연구는 자생적으로 형성된 왕곡마을을 대상으로 공간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풍수지리, 성씨, 자연지형, 농경지, 길의 체계, 단위주택 등 각 공간요소 간에 형성되는 공간구조를 조사 분석하여, 왕곡마을이 갖는 공간구조적 특성을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왕곡마을의 공간은 풍수지리상 그 형국이 行舟形으로서 주변의 산이 마을을 둘러싸는 위요적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구심적 질서를 이뤄, 공간의 구성이 지각적, 심리적으로 포근하고 아늑한 공간감을 형성하면서 앞쪽으로 송지호가 펼쳐져 있어 개방감과 폐쇄감이 공존하고 있다.
2)외형상으로 하나의 마을이지만 인접한 이웃마을을 연결하는 안길을 축으로 윗마을과 아랫마을이 성씨로 구분되어 있어 성씨에 따른 마을의 공간구조를 보여준다.
3)정주형태에 있어서 개울 건너 쪽보다 양지쪽인 안길을 낀 쪽에 주거지가 더 발달되어 있으며, 소곡지를 중심으로 주택들 주위에는 주로 채마밭이 위치해 있고, 논은 마을 앞의 저평지에 위치해 있다.
4)마을 중심을 흐르는 개울과 개울을 따라 발달된 안길과 이웃마을을 연결하는 안길이 +자형으로 발달되어 있는데, 이 안길을 중심으로 발달한 샛길을 따라 각 주택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샛길은 단절됨이 없이 각 주택을 서로 연결하는 구조로 발달되어 있다.
5)이 마을의 주택 좌향은 남향 위주의 기본 좌향에 대지의 경사, 전망, 풍향 등을 고려하여 변화를 주되, 태양의 방향을 중요시하여 남향과 동향 사이의 향을 취하였다.
6)공간적으로 가장 높은 곳에 성황당이, 그리고 孝子閣 등이 마을 어귀에 놓여 정신적 의미를 내포하는 의식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마을 유래를 알려주는 대형안내판은 상징적으로 마을의 시작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거주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마을회관과 공동창고는 마을의 중심에 놓여 이용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있다.
7)농가의 길과 주거와의 공간구조에 있어서 뒷마당은 담장으로 둘러싸여 사적영역이, 앞마당은 자연지형을 이용하거나 수목 등을 식재하여 반공적영역의 공간배치가 주를 이루고 있어 길에서 뒷마당에 이르는 공간영역 체계는 공적영역-반공적영역-사적영역으로 나타난다.
요약2 This study analyzes the spatial structures of vernacular agricultural village which to be called Wanggok in Yeongdong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pace of this village is coexisting both closeness and openness by adjacent 5 mountains and Songji lake, so the men in it have a feeling to be cosy and comfortable.
?Though externally this village is one, it is divided into the upper and lower villages by two family name groups centering around village road connecting between neighboring villages.
?Farmhouses are more located following to the village road side rather than streamlet side, vegetable field is located at around farmhouses and rice field is located at the lower flatland.
ㆍThe between roads diverging from village roads which developed + type are connected to without cutting.
?The shrine of a tutelary deity and the monument pavilion of a devoted son, all of which are located rather at the higher place or village entrance than at it's center, symbolize the spiritual rite space or the starting point of a village.
?A backyard of farmhouses is surrounded by a fence and a frontyard is open to the road, so that the spatial realm system from the road to a backyard is classified as public-semi public-private realm.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왕곡마을 민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최창순 ; 조현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18 n.5 (200710)
한국전통마을 공간구성의 시설배치특징에 관한 연구
양승정(Yang Seung-Jung) ; 김용승(Kim Yong-Seung) ; 박용환(Park Yong-Hw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4 (200604)
길의 구조로 본 한국전통마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양승정(Yang Seung-Jung) ; 박용환(Park Yong-Hw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1 n.7 (200507)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왕곡마을의 길과 민가와의 공간체계에 관한 연구
최장순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10 n.02 (통권34호) (200806)
도시마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전통마을 공간 구조 특성 분석
문지원 ; 김주현 ; 하재명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19 n.6 (200812)
[논문] 전통마을의 길 구조에 관한 연구
신진동 ; 이우종 ; 이창수 - 국토계획 : v.43 n.4(통권 164호) (200808)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