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한국현대건축에 표현된 한국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 90년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ess in Contemporary Korean Architecture : Focused on 1990’s
저자명 김경재
발행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NO.21 (1999-12)
페이지 시작페이지(3) 총페이지(7)
ISSN 12297992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1990년대 ; 한국성 ; 전통 ; 변환
요약1 1990년대에 진입하면서 한국사회는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이전 시대보다 더욱 다변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문화가 그 시대의 산물이라는 배경에서 볼 때, 건축 또한 예외일 수는 없다. 다변화된 사회배경 속에서 건축분야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연구는 90년대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건축에서의 한국성에 대한 변화된 특징들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성 표현의 올바른 정립을 위한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작품분석에서는 90년이후 완성된 작품으로써 건축관련잡지에 실린 작품중 작가 자신이 한국적 이미지를 표출하고자 한 작품 위주로 그 대상을 선정하였다.
요약2 Contemporary society that is apt to be homogeneity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computer communication and mass-media desires to seek its own identity in native realm. Contemporary Korean architecture has endeavored continuous discussion and practice to keep its identity within the current tend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ope the alternative for genuine ‘Koreaness’ to analyse the variant trend of its characteristics 1990’s. The variation of Korean society in 1990's that emphasize self-regulation and individual value has influence on the realm of architecture so much.
The cognition of ‘Koreaness’ has changed with center in the individual and small-size design group, not present accommodation of past, but continuous research to find archetype of tradition which can play a decisive role of linking present and future on the foundation of past. Many attempts and practical works that express ‘Koreaness’ in 1990’s are performed in the area of residence works that reflect Korean emotion and life-style directly. This change can be an answer to solve the problem of peculiarity and universality in ‘Koreaness’. After 1960’s the main theme of ‘Koreaness’ was traditional architecture form, but because of the induction of Postmodernism and at once its reflection and critical attitude with limit of formal duplication, which lost its meaning. In 1990’s, research for spatial form as Korean emotion and image has carried out and played an important part of original expression for ‘Koreaness’
소장처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근대 건축의 가치를 반영한 리노베이션과 보존에 관한 연구
최상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3 n.1(통권 102호) (201402)
전통과 한국성 논의
김경수 - 한국건축역사학회 창립10주년기념학술발표대회 자료집 : (200106)
김중업 건축에서 나타나는 한국전통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서병진 ; 문병국 ; 이일형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n.2008 v.01 (20081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