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네덜란드 도시 집합주택의 공공성과 개별성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암스테르담 부두재개발 주택단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esign Representation of Publicity and Privacy in Dutch Multi-family Housing : Focused on an Analysis of Eastern Dockland Projects in Amsterdam
저자명 문은미
발행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14 n.2(통권 49호) (2005-04)
페이지 시작페이지(112) 총페이지(8)
ISSN 12297992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네덜란드 ; 도시집합주택 ; 공공성 ; 개별성 ; 암스테르담 ; 보르네오 ; 스포렌부르흐
요약1 본 연구는 네덜란드 주택단지 개발사례분석을 통하여 현대 도시 집합주택의 공적인 성격의 해석과 표현, 그리고 단위주호가 기본이 되는 개별성의 표현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현대 정보사회의 공공성과 개별성의 의미를 반영하는 도시 집합주택의 계획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요약2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new directions of urban multi-family housing design in the recent era of information, in which the representation of publicity and privacy of the housing reflects new meanings and relationships of the current digital society. The study examines cases of Dutch multi-family housing and investigates the meanings and relationships of publicity and privacy in the building as well as unit design of the housings. Borneo-Sporenburg housing development is a good example that suggests new interpretation and design solution for low-rise, high-density multi-family housing. Thus, this study analyzes street patterns, facade design, and ways of housing unit combination in Borneo-Sporenburg housing and concludes as follows.
First, public space in Borneo-Sporenburg housing, which was designed differently from hierarchical and centripetal organization of modern architecture, is divided into small units and spread into the inside, which provides high potential for personal control of space and personal programming of space by space choices.
Second, street pattern and facade design of Borneo-Sporenburg housing provide visual publicity and privacy simultaneously as they maintain unity as a whole as well as articulate individual unit in many different ways and provide clues to neighboring. Streets as a public domain have self-controlled boundaries for residents and introduce voluntary use-programs for residents.
Third, facades of the housing have no inter-mediate space or common space, and confront streets directly. Space in-between is composed inside the facade and extends into the streets by residents' own choices.
Fourth, privacy and individuality of the housing is strengthened. Units of the housing have individual entrances, unique plan type and complicated combination of space that all together emphasize individuality of units, however they are not often notified from the outside.
소장처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현대 네덜란드 집합주택의 중정의 유형에 대한 사례연구
전남일(Jun Nam-I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1 n.11 (200511)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논문] 도서관 건축에 있어서 공공영역 구성에 관한 고찰
김주성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13호 (200508)
SANAA의 건축에서 ‘분위기’의 개념과 구현방식
서정일(Seo Jeong-Il) ; 임리사(Lim Lis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10 (201010)
일본 공동주택 시노노메 캐널코트의 단위세대 주거평면 분석
서귀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19 n.2 (200804)
OMA, MVRDV, SANAA에 나타난 매트-빌딩의 영향에 대한 연구
장용순(Chang Yong-So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7 n.4 (20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