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한.일 전통 주거공간의 ‘중간영역’에 관한 연구 / 공간적 특성과 사회문화적 역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In-between Space’of the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in Korea and Japan : Focused on Spatial Characteristics and Sociocultural Roles
저자명 박형진 ; 박세정 ; 김문덕
발행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14 n.3(통권 50호) (2005-06)
페이지 시작페이지(84) 총페이지(11)
ISSN 12297992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한.일 전통 주거공간 ; 정체성 ; 중간영역 ; 공간적 특성 ; 사회문화적 역할
요약1 주거공간에 나타나는 ‘중간영역’에는 영역의 공간적 특성뿐만 아니라 당시의 사회문화적 배경이 잘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중간영역’은 한국과 일본의 전통주거에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성이지만, 안과 밖의 개념이 비교적 분명한 서양건축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개념이다. 그러므로 양국의 전통 주거공간에서 ‘중간영역’의 특성을 밝히는 것은 정체성 확립의 측면과 지역성의 세계화라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삶의 행위를 담고 있으며, 공간과 공간을 연결, 매개, 완충, 여과시키는 등의 공간 간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제3의 영역을 ‘중간영역’이라고 정의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중간영역’에 대한 개념은 학자에 따라 다소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한?일 양국의 공간을 비교하기 위하여 임의로 용어를 지정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전통 주거공간에 나타나는 ‘중간영역’의 공간적 특성과 사회문화적 역할을 분석하여 양국의 전통 주거공간의 정체성을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in Korea and Japan as analyz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sociocultural roles of the 'in-between space' shown in their traditional dwelling space. Although they share culture area, it is meaningful to clarify the identity of both countries with many differences as the point of localization in globalization and the point of presenting the current and future directions of residential culture in both countries.
Records and field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for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he sociocultural role focused on Ma-dang and Dae-chung in case of the 'in-between space' in Korean traditional dwellings and Inner housing, Doma, and Engawa in Japan.
According to these finding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in common between Korea and Japan are open, half-open, separation, mitigation, integration, variation, continuation, hierarchy, mediation, and expansion. The 'in-between space', built by the separate Chae and Kan, of Korean traditional dwellings shows the separation by closed walls and the exclusive use by the fixed walls. In case of Japan, the integrated in-between space built by the separation of Kan shows open and connective tendencies and the variableness of walls has the tendency making ambiguous space with spatial softness.
The sociocultural role of the 'in-between space' in Korean traditional dwelling space functions as the mitigation between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house as well as the male and female. Because the conception for protecting the private life is too weak, the sociocultural role of the 'in-between space' in Japanese traditional dwelling space seldom forms the space for an individual or the specific person among family. The space to welcome a guest functions as the mitigation between residents and outsiders as it is located in the inside of the private dwelling space.
소장처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한·중·일 전통도시주거의 외부공간에 관한 비교 연구
임창복(Yim Chang-Bok) ; 김경환(Kim Kyung-Hwan) ; 지성광(Chi Xing-Gua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2 (20060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
SANAA의 건축에서 ‘분위기’의 개념과 구현방식
서정일(Seo Jeong-Il) ; 임리사(Lim Lis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10 (201010)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