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논문] 일본의 용적이전제도 운용실태와 우리나라에서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 Japan's Floor-Area-Ratio(FAR) Transfer System and the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 to Korea
저자명 김창석 ; 이삼수
발행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수록사항 국토계획, v.40 n.4(통권 143호) (2005-08)
페이지 시작페이지(27) 총페이지(18)
ISSN 12267147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용적이전 ; 개발권양도제 ; 특례용적률적용구역제도 ; 시가지재개발 ; 일본//Transfer of FAR ; TDR ; Special Case FAR Application Zone ; Redevelopment ; Japan
요약1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시가지재개발사업에 있어서 건축기준법과 도시계획법에 근거하여 실제 용적이전이 가능한 제도를 도시계획적 측면에서 고찰하고 특례용적률적용구역제도가 적용된 실제 사례를 소개하고자한다.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에서의 개발권양도제(TDR)의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 및 시사점을 주고자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요약2 In Japan, various kinds of Floor-Area-Ratio Transfer System, which conforms to Japanese version of TDR, have been developed to carry out the urban regeneration, or the Central City Invigoration Projects, more effectively and compactly.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ose Japanese systems and discus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m to Korea.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analyzed in depth a recently performed case project on "Special FAR Transfer Application Zone" which includes the historic spot of Tokyo Railroad Station.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Japan's FAR transfer systems can be applied in various situations including "between adjoining sites", "between sites in adjoining blocks", and "between sites in separated blocks". Secondly, the FAR transfer system can be applied not only between sites for new buildings, but also between the sites of existing buildings which have extra volumes to spare and those for new buildings. Thirdly, the main purpose of Japan's "Special FAR Application Zone System" is the preservation of historical buildings and traditional streetscape from the pressure of development. Fourthly, there are, however, several shortcomings such as the absence of public consensus on the benefit of the system, the lack of legal means of registration for donor's as well as receiver's rights, and the exclusiveness of its application to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only. And finally, the system is very suggestive for the Korean situation too, but needs more elaborate preparations for the actual introduction to our country.
소장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논문] 개발권양도제의 해외 사례에 관한 심층 비교 연구
이영성 ; 허재완 ; 김갑성 ; 정우형 ; 김현수 - 국토계획 : v.40 n.6(통권 145호) (200511)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
기성주거지 공간관리수요변화에 대응하는 정비방식 다양화 방안
서수정 ; 임유경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7 (200912)
[논문] 개발이익환수와 손실보상을 위한 용적률거래제 도입 방안
채미옥 ; 송하승 - 국토계획 : v.43 n.7(통권 167호) (200812)
용적이양제도를 위한 용적거래방식의 적용가능성 검토
이인성 ; 배재흠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4 n.3(통권 제57호) (201306)
[논문] 개발권양도제(TDR)의 제도화방안 연구
김현수 ; 정우형 ; 허재완 ; 이영성 ; 김갑성 - 국토계획 : v.40 n.5(통권 144호) (200510)
뉴욕시 공업지역의 재생 사례 및 기법에 관한 연구
배웅규 ; 김지엽 ; 양윤재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0 n.2(통권 제35호) (200906)
일본 마루노우치지구에서의 도시정비에 관한 연구
이성창 ; 김도년 -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604)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