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납골당 계획에 관한 사례조사 연구 / A Case Study on the Planning of Charnel House
저자명 손계중 ; 김영훈
발행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NO.13 (1997-12)
페이지 시작페이지(72) 총페이지(6)
ISSN 12297992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납골당 ; 장묘 ; 묘지
요약1 보건복지부는 현재 추진중인 改正葬墓法의 시행에 맞추어 埋葬 위주의 葬墓 관행을 [火葬後納骨] 방식으로 바꾸기 위해 [火葬場 納骨堂 現代化 5개년 계획]을 수립, 내년부터 추진키로 했는데 최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종교단체에서는 墓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규모 納骨堂을 지어 일반인에게 분양하고 이용토록 하고 있으나 그 이용실적이 아직까지는 저조한 편이다. 이는 納骨堂의 이미지 자체가 嫌惡스럽고 閉鎖的인 분위기로 사람들에게 전혀 친근감을 줄 수 없는 공간으로 인식되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納骨堂의 이미지를 벗어나 사람들이 친근감을 가지고 접근할 수있도록 기존의 納骨堂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여 미래지향적이며 개방적인 納骨공간을 만들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目的이 있다.
요약2 The funeral and grave system in Korea has issued that our country will become a grave. This is a result of being in favor of the funeral and grave process of burial based on long time traditions and customs. The government is allowing construction and use of charnels on a large scale in order to improve this system after analyzing the problems of the current grave system; However, those results are very few and slight because the image of existing charnels have been regarded as abomination utilities and it has been projected not to be closed to the public easily. In this study, we first looked at these problems using sample research and analysis. Second, we made comparisons and analysis to suggest solutions in the projecting method and feature of those spaces by carrying out a sample reasearch project. This project was based on 3 of the biggest charnels built recently, which are out of the 54 charnels in Korea. After assaying the image according to the interior designing elements, and then proposing various several alternatives, we would like to tell how to build the future-oriented and opened charnels a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when projecting charnels,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alternative solution that diminishes abomonation and closeness in the interior of the charnel through the designing consideration and incerases the usage of this building by inducing traditional limitations and maintaining vertical dignity and piety by making the central axis adapting to the nature.
소장처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논문] 납골시설의 공간구성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최진원 ; 박재승 -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 v.10 n.2 (200409)
한국 장묘문화와 현대적 죽음의 의미 고찰을 통한 장묘시설 계획안
한송이 ; 이강업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710)
[Special] 장례시설의 설계계획론과 사례
김동훈 - 월간 건축문화 : No.302 (200607)
커뮤니티 공간을 연계한 봉안당(奉安堂)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한혜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2(통권 61호) (200704)
납골당의 수직적 연계를 위한 동선공간의 구성에 관한 연구
송성호 ; 김종헌 -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 v.21 n.1 (200104)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국내 복합장묘시설 배치계획의 특성분석 연구
김진아(Kim, Jin-Ah) ; 김용승(KimYong-Se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9 n.3 (201303)
[글로벌 리포트] 장례문화시설 벤치마킹
편집부 - SK건축기술정보 : 제9호 (200809)
납골당 규모산정 모형식에 관한 연구
주우일 ; 오인환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7 n.11 (200111)
납골당의 전이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전영선 ; 박언곤 -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 v.21 n.2 (20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