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양동마을 전통주택의 생활공간 변화가 외관에 미친 영향 연구 / The Effect of the Change of Living Space on the External Appearance in the Traditional Houses of Yangdong Village
저자명 한필원(Han Pil-Won) ; 이주옥(Lee Ju-Ock)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1 n.10 (2005-10)
페이지 시작페이지(85) 총페이지(12)
ISSN 12269093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민속마을 ; 양동마을 ; 전통주택 ; 문화재 한옥 ; 공간적 변화 ; 외관 ; 변경 ; 변화 빈도//Folk Village ; Yangdong Village ; Traditional House ; Cultural Property Han-ok ; Spatial Change ; External Appearance ; Modification ; Frequency of Change
요약1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민속마을인 양동마을의 전통주택 안채를 대상으로 지난 25년 동안 현대의 주생활을 수용하기 위하여 발생한 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변화의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주택들을 문화재 지정 여부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안채를 구성하는 공간(실)별 변화를 밝혔다. 그리고 공간적 변화와 외관 변화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문화재 한옥과 비문화재 주택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비문화재 주택의 변화는 평균 21.8건으로 문화재 한옥 16.0건보다 36.3% 더 많았다. 또한 공간적 변화가 외관의 변화를 유발하는 비율도 비문화재주택(50.6%)이 문화재 한옥(29.9%)보다 20.7% 높았다. 그러나 변화의 양상은 문화재 지정 여부에 관계없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공간적?외관 변화가 가장 많이 나타난 실은 부엌(전체 변화의 39.7%, 외관 유발 변화의 31.5%)이며, 다음으로는 안방, 대청 및 건넌방의 순으로 변화 빈도가 높았다.
??전체적으로 볼 때 공간적 변화(624건)의 절반가량(45.8%)이 외관 변화(286건)를 유발한 것으로 밝혀졌다. 외관의 변화를 유발하는 경향이 큰 항목은 ‘외부 연결’, ‘신설’ 등으로 분석되었다. 외부 연결, 창호재료, 바닥재료, 벽재료, 신설, 용도 변경 등의 항목은 외관 변화 유발의 유?무에 모두 관련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민속마을의 전통주택에서 외관의 변화를 유발하지 않고도 상당한 범주의 공간적 변화가 가능함을 암시한다.
요약2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over past 25 years in the main buildings (An- chae) of traditional houses at Yangdong Village, a representative Korean Folk Village. The consequence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Both the spatial and external changes took place more at non-cultural property houses than at cultural property houses. However, the patterns of the change are clarified as similar in the two house types. In terms of a unit space (room), both the spatial and external changes took place dominantly at kitchen. In general, about the half (45.8%) of spatial changes have caused external changes. The changes in 'the (room's) linkage with outdoor' and 'the addition (of a new room)' are the factors that most frequently cause external changes. Almost all factors of the spatial change have/have not caused external changes, which implies that a wide range of spatial changes can be accommodated in the traditional houses at the Folk Village without external changes.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조선시대 양동마을의 배치구조 해석
최진영 ; 윤홍택 -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 v.7 n.1 (198704)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논문] 양동마을 조선 상류주거에 대한 공간사회학적인 비교 분석
이동찬 ; 채현수 ; 김정재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3 n.1 (200403)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양동마을 반가주택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승 ; 장석하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n.2007 v.01 (200712)
한국전통마을 공간구성의 시설배치특징에 관한 연구
양승정(Yang Seung-Jung) ; 김용승(Kim Yong-Seung) ; 박용환(Park Yong-Hw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4 (200604)
양동마을 택지선정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난아 ; 장석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25 n.6 (201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