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목포 구시가지 도시조직의 형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Urban tissue in Foreign Settlement of Mokpo Old Town
저자명 조준범(Cho Joon-Beom)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1 n.10 (2005-10)
페이지 시작페이지(237) 총페이지(10)
ISSN 12269093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도시조직 ; 필지체계 ; 가로패턴 ; 목포 ; 각국공동거류지//urban tissue ; lots pattern ; urban patch ; street system ; Mokpo ; Foreign Settlement
요약1 목포의 각국공동거류지의 필지체계와 가로패턴의 비교를 통하여 목포의 도시조직의 형태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각국공동거류지는 크게 세가지 요인에 의해 기본 골격이 결정되었다. 하나는 매립되기 이전의 길이고 다음은 지형이며, 마지막으로는 목포의 확장(국도1호선)의 확장에 따른 것이다.
두 번째는 각국공동거류지에는 세가지의 격자형 패턴과 T자가로형 패턴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여기에서 세 가지의 격자형 패턴은 조성시기와 조성당시의 환경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으며, 이후 변화과정에서도 다소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다. 하나는 목포문화원 앞으로 가로세로의 길이가 유사한 정방형의 블록, 두 번째는 바다쪽에 위치한 곳으로 정방형의 블록으로 구성된 지역, 세 번째는 목포대에서 송도사이에 위치한 지역이다. T자형 가로패턴은 구릉지에 계획된 가로망이며, 가지형 골목길과 함께 조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 번째는 가로체계(격자형, T자형)가 다른 지역에서는 필지의 집합패턴에서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격자형 가로망에서는 세장형 필지와 그렇지 않은 필지가 필지패턴을 결정짓고 있다. 8열의 필지열로 구성된 지역에서 세장형 필지가 가로에 접해 발달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나 6열 필지에서 나타나는 세장형 필지는 가로와 상관없이 가구의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나머지 한 형태는 필지분할이 많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점은 지역의 확장과 주변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T자가로형 패턴은 부정형 필지로 구성되어 있으나 격자형 필지에서 나타나는 세장형 필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rm of urban tissue as focusing on lots and street system. The result is as follows ; first, This area was affected by topography and urban context. It is identified that Grid Pattern is discontinued around Mokpo Pedestal, Song Island, SeoSan-Dong, Mokpo Culture Center etc. And a part of old road is the same as Muan Street in Foreign Settlement. Second, Foreign Settlement is composed of three Grid Shaped Pattern and T-Shaped Pattern. Three Grid shaped pattern (6lots blocks, 8lots blocks, 8lots block') varies with the times of development. T-Shaped Pattern is placed on hilly districts(Seosan-Dong, Mokpo Pedestal, Song Island). Third, each urban patch has a variety of lots pattern. there are many narrow deep lots in 8lots block, The reason is that 8lots block and a five way-crossing place on between Mokpo Harbor, Mokpo Station and korean residential area.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개항도시 목포와 군산의 구도심 공간 형성과정 비교
송석기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10 n.02 (통권34호) (200806)
목포지방의 일제강점기 건축
유우상 ; 김지민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109)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일제강점기 목포 도시계획의 내용과 특징
윤희철(Hee Cheol Yun) - 한국지역개발학회지 : v.25 n.2 (201306)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근대건축물 활용을 통한 지역활성화 방안 연구
권영상 ; 심경미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5 (20091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논문] 역사적 건축물 보존에서 지구단위계획의 역할과 과제
이범훈(Rhee, Bum-Hun) ; 김기호(Kim, Ki-Ho) - 국토계획 : Vol.50 No.7(통권 217호) (201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