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한국 근대초기 서양 목구조의 수용과 교회 내부공간형태에 관한 연구 / 개화기와 일제강점기 교회건축의 지붕틀 구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Western timber structure and the Interior space of Church buildings in the early modern period in Korea : Focused on the roof structure of church architecture in the Flowering and Japanese occupation period
저자명 김정신
발행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14 n.5(통권 52호) (2005-10)
페이지 시작페이지(10) 총페이지(8)
ISSN 12297992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교회건축 ; 목조 지붕틀 ; 트러스 ; 목조 보울트 ; 내부공간형태//church building ; timber roof frame ; truss ; timber vault ; inner spacial form
요약1 최근 초기 근대건축물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늘어나고 건축문화재에 대한 시각도 개화기와 일제시대의 건축물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건축사 연구는 여전히 서양식 건축에 대한 양식(樣式)위주 그것도 외관형태 위주에 머물러 있으며, 구조기법과 실내공간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시피하다. 양식 건축의 유입과 함께 수용된 서양식 지붕 가구(架構)기법은 건물의 외관형태 뿐만 아니라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연구는 서양 목구조의 기법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수용되고 정착되었는가를 밝히는 작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이는 한국 근대건축과 실내 디자인사의 성격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한 부분이 되며, 체계적인 보수방법을 구축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요약2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acceptance of Western timber structure and the interior space of church buildings in the early modern period in Korea. Timber roofs have represented a wide variety of constructional forms and have been fundamental to any technological appraisal of the evolution of both of Western and Eastern architecture. Especially the roof structure of the church buildings reflects the technological level, aesthetic sense, and spacial concepts of the age. Between Western timber structure and Korean timber structure,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not only structural form but also form of roof, members, load, frame system and etc. And there were various types of framing technique such as timber truss, timber arch, timber vault in the western style church architecture in the early modern period in Korea.
I have summarized the character of the acceptance process of Western timber structure and the influences on the interior space of church buildings.
소장처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근대기 목조 지붕트러스의 유형분류 및 특징에 관한 연구
박창범(Park Chang-Beom) ; 김미연(Kim Mi-Yeon) ; 김태영(Kim Tai-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
목조 지붕 트러스의 유입 및 수용 양상
林金花(Lin Jin-Hua) ; 金泰永(Kim Tai-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8 (200608)
조선후기 선자연 치목기법에 관한 연구
김왕직(Kim Wang-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조선왕릉 8간(間) 정자각(丁字閣) 고찰
김왕직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805)
근대건축문화재의 목조 지붕트러스 보수보강 기법에 관한 사례연구
우남식 ; 권순찬 ; 김태영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11 n.04 (통권40호) (200912)
전통 목구조 팔작지붕 추녀부재의 구조적 보강 특성에 관한 연구
조철희(Cho Cheol-Hee) ; 신용석(Shin Yong-Seok) ; 조윤희(Cho Youn-Hee) ; 노성열(No Seong-Ryeol) ; 김정섭(Kim Jeong-Sup)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26 n.03 (20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