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자하 하디드의 탈구조주의적 페미니즘 건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constructionist feminist architecture of Zaha Hadid
저자명 이란표
발행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14 n.5(통권 52호) (2005-10)
페이지 시작페이지(133) 총페이지(8)
ISSN 12297992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매트릭스 ; 탈구조주의 ; 페미니즘 ; 코라 ; 부유의 공간//Matrix ; Post-structuralism ; Feminism ; Chora ; drifting space
요약1 이데올로기적 권력관계와 이념적 위계질서의 지배 하에 놓여왔던 공간개념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하고자 하는 주된 이유는 한편으로 새로운 공간이념을 구축하기 위함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본래적인 의미의 공간개념에 내재해 있던 ‘여성성’의 이념을 현재적인 의미로 활성화시키고자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서구의 남성(혹은 이성)중심적인 전통을 새로이 해석함으로써 성구별을 넘어선 페미니즘적인 논의의 기반을 제공해준 후기구조주의 사상을 방법론적인 동시에 내용적인 근간으로 삼고자할 것이다.
후기구조주의의 대표적 이론가인 데리다(J. Derrida)는 남성중심주의적인 서구 전통 형이상학의 아버지인 플라톤에게서 여성성의 모태로서 공간성 이념의 기초가 되는 ‘코라(chora)’ 개념과 그 개념의 가치절하에 주목하면서, 물질적 실재성이 이념의 형식들에 비해 어떻게 종속되어왔는가를 설명하였다. 데리다의 이 같은 공간성 이해를 중심으로 하여 본 연구자는 그의 ‘탈구조주의(Deconstructionism)’ 사상과 유사한 지평에 놓여 있는 자하 하디드(Zaha Hadid)의 건축이념을 분석하면서 한편으로는 전통적 공간 개념에 대한 ‘해체구성’을 통해 새로운 의미의 공간개념을 정립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공간 개념의 여성성을 끌어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결국 여성만을 위한 공간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는 공간의 여성성 개념의 추론과 더불어 본 연구자가 지향하고자 하는 것은 건축 영역에서 남성과 여성이라는 성구별 이전에 보다 근본적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논의의 기반에 대한 재검토이며, 이러한 기반에 대한 연구가 다각도로 효과적으로 수행된다면, 건축적 패러다임의 변화는 물론 새로운 건축방향에 대한 모색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요약2 Jacques Derrida, a leading theorist of the post-structuralism, has explicated how the material reality is subordinated to the ideality of form, by noticing the platonic concept, ‘chora’, which implicates the spatiality as the matrix and also by actualizing its essential meaning as the femininity. On the basis of the idea of the platonic ‘chora’, the Derridian deconstructive spatiality and its feminist oriented enlargement of Grosz this study is purposed to elucidate the architectural idea of Zaha Hadid that is located in the similar horizon with the deconstructionism. On the one hand it is focused on the explication of the new concept of space, which is dealt with the deconstruction of the traditional concept of space, on the other on the inference of the feminity of the originally understood spatiality. With this inference it is finally intended to reexamine the foundation of the discussion for the architectural space that must be ahead of the discussion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sculine and the feminine space. If it is fundamentally and manifoldly executed, not only the architectural paradigm will enter into an renewed phase, but also the various ways toward the new direction of the architecture be explored.
소장처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자하 하디드의 건축디자인과정에서 다시점 표현기법의 활용과 특성에 관한 연구
박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3 n.5(통권 46호) (200410)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Special Report] 자하 하디드
자하 하디드 ; 문봉주 - 월간 건축문화 : No.274 (200403)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자하 하디드의 초기 건축디자인에 표현된 시간적 특성
문정필(Moon, Jung-Pi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30 n.8 (201408)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세지마 가즈요의 주거건축에 나타나는 경계공간에 관한 연구
김형준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17 n.1 (200602)
해체주의 건축의 상대적 시·공간 개념을 바탕으로 본 자하 하디드 작품의 차연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정은희(Eunhee Jung) ; 윤재은(Jaeeun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2 No.02 (201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