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현대 네덜란드 집합주택의 중정의 유형에 대한 사례연구 / A Study on the Typology of Courtyard in Dutch Contemporary Housing Cases
저자명 전남일(Jun Nam-Il)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1 n.11 (2005-11)
페이지 시작페이지(63) 총페이지(12)
ISSN 12269093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중정 ; 유형 ; 형태학 ; 블록 ; 보이드 ; 솔리드 ; 공간구성요소//Courtyard ; Typology ; Morphology ; block ; Void ; Solid ; Urban Space
요약1 본 연구는 현대 네덜란드 집합주택에서 나타나는 중정형 집합주택의 유형에 관한 연구이다. 중정형 집합주택은 근대 이후 도시주거의 중요한 유형으로써, 현대의 건축가들에게 재발견되어 새로이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해석되고 있는 유형이다. 특히 현대건축의 시험장이라고 할 수 있는 네덜란드에서는 더욱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네덜란드의 사례를 대상으로 하여 집합주택의 계획에 있어서의 건물의 덩어리로 표현되는 형상과 건물이 만들어 내는 빈 공간, 즉 보이드 공간을 형태학적으로 분석한 후 그 유형을 정리하고 특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분석의 틀은 로브 크리어의 urban space에 대한 유형학적, 형태학적 개념의 틀을 이용하였다. 그리하여 확장된 의미의 형태학적 구성요소와 중정 자체의 특성을 정리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19곳의 네덜란드 주거단지를 답사하였으며, 네덜란드의 근대이후 주거건축의 경향과 주거건축 정책에 대한 문헌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네덜란드의 현대 주거건축에 있어서 중정형 주택은 크게 다섯 유형으로 대별되었으며, 각각 차별되는 형태학적 특성을 보였다. 또한 솔리드 공간과 보이드 공간을 계획하는 계획적 기법들이 다양했다. 한편, 중정형 주택의 규모가 양극화 되어 전통적 스케일의 중정이 나타나지 않는 다는 특징이 파악되었으며, 중정 외부로부터 각 주호에 진입하게 되는 블럭형도 현대주택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도 하나의 특징이었다.
본 영구를 통하여 집합주택설계에서 기존의 세분된 도시조직을 현대주택과 결합시켜 조화롭게 만드는 것은 네덜란드 현대 주택의 유형과 형태를 결정짓는 주요 디자인 모티브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역사적 유형에서 영감을 얻어 추출한 도시주거의 요소들을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중정형주택은 중요한 계획의 선례들을 보여주어 현대에 새로이 각광받는 유형으로 재탄생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90년대 이후 네덜란드에서 지어진 집합주택 프로젝트들은 결국 주거건축의 새 유형과 형태, 그리고 도시적 맥락을 찾는 작업이라 할 수 있었다. 이는 건축과 도시의 합일점을 찾는 작업이며 베를라헤 이후 유지해 온 네덜란드의 강한 전통성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요약2 The planning of void space in housing block, so called courtyard, plays a meaningful roll of planning for multifamily housing block in urban space today, as a newly rediscovered traditional urban housing typology since modernism era. This paper is aimed at investigating example model in Dutch contemporary cases and, thus, finding out typ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esenting various applicable planning skills, which are interpreted from understanding valuable historical urban elements. This study covers following steps; Firstly, intensive studies on the spots, visiting Dutch cases, made it possible to grasp the prevailing tendency toward assessment of this area, Secondly, the normative typologies of courtyard space elements are listed in lower categories according to the Rob Krier's criteria on the evaluating urban spaces, Thirdly,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void and solid spaces were analyzed. Consequently, those dutch cases showed very broad spectrum in courtyard housing and close relationship to the total planning concepts of housing blocks in urban context.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중정의 유형 변화에 관한 연구
이정민 ; 김국선 ; 우현용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1 n.4(통권 93호) (201208)
미술관 전시공간에 사용되는 공간유형
백용운(Baek Young-W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논문] 현대 도시이론과 언어담론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정인하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2 n.3 (200309)
들뢰즈의 ‘사건’을 중심으로 한 ‘폴딩건축’의 해석에 관한 연구
임동연(Lim Dong-Yeon) ; 임창복(Yim Chang-Bo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10 (20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