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보 이음부의 휨 저항성능 향상을 통한 전통 목구조 시스템 개선 / The Traditional Wooden Structural System Improvement through Moment Resistance Performance Improvement of Wood Girder Connection (Study I)
저자명 송종목(Song Jong-Mok) ; 박학길(Park Hak-Kil)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v.22 n.1 (2006-01)
페이지 시작페이지(69) 총페이지(8)
ISSN 12269107
주제분류 구조
주제어 항구성 ; 짜맞춤(짜임) ; 목구조 ; 이음 ; 반강접합 ; 결구 ; 형태전개//Permanence ; Connection Joint ; Wooden Structure ; Joint ; Semi-rigid ; Framework ; Shape Development
요약1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비능률적인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전단과 휨에 대한 강성을 높이고 전체 시스템의 안전성과 내력을 증대시켜 전통목구조 기술에 기초한 개선된 목구조 시스템을 실용화하고자 한다.
요약2 In traditional wooden structures, it is not simple work to establish the performance criteria due to the properties of the framework leading to weak mechanical capacity of connections. On the one hand, the permanence of wooden structures is decreased because of deterioration of coherence by drying shrinkage and severe variation of the material properties. The key problems of connections of traditional wooden structures are 1) beam has no connection, 2) the perpendicular and horizontal members should be connected at a point(capital) simultaneously, 3) the flexural rigidity against horizontal loads are very weak in the connections of beam and column. Due to defects of the continuity of the arrangement of the perpendicular and horizontal elements, joint connection rigidity is not easily obtained, therefore, if is impossible to build multi-story structure and to design the various plane arran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the wooden structure system which is able to construct multi-story and to expand various plane configuration by improving traditional connection system. The experimental study enhanced connection rigidity from the separate beam to column connection system used to the traditional framing method into the continuous beam connection system. The traditional and the developed connections are experimented to compare the flexure and shear performance.
The research verifies the simple and predictable flexural rigidity of semi-rigid beam. When the developed connections are applied to the analysis model the structure is stable for the perpendicular and horizontal force and has the continuity of the perpendicular and horizontal direction. The wooden structures which ident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보와 기둥 접합부 접합 성능 개선에 의한 목구조 시스템 개발(Ⅱ)
송종목(Song Jong-Mok) ; 박학길(Park Hak-Ki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22 n.8 (200608)
전통 목구조 시스템의 보 방향 프레임의 해석 모델링
이영욱(Lee Young-Wook) ; 배병선(Bae Byung-Sun) ; 홍성걸(Hong Sung-Gul) ; 황종국(Hwang Jong-Kook) ; 김남희(Kim Nam-Hee) ; 정성진(Jung Sung-J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22 n.3 (200603)
전통목구조 해석을 위한 모형화 기법
정성진(Jung Sung-Jin) ; 홍성걸(Hong Sung-Gul) ; 김남희(Kim Nam-Hee) ; 이영욱(Lee Young-Wook) ; 황종국(Hwang Jong-Kook) ; 배병선(Bae Byung-S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21 n.12 (200512)
근대기 목조 지붕트러스 부재의 접합부에 관한 연구
박광현(Park Kwang-Hyun) ; 김태영(Kim Tai-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10 (200910)
전통목조건축 구조해석과 현대화를 위한 장부접합의 구조적 성능에 관한 연구
한재수(Han Jae-Su) ; 김창준(Kim Chang-J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1 n.4 (200504)
근대기 트러스의 수용과 한식지붕의 구현
김정현 ; 전봉희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011)
한옥의 내진설계를 위한 비틀림비정형 평가 방안
김영민(Kim, Yeong-M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ol.35 No.10 (201910)
Hybrid형 합성 목구조 골조 시스템과 합성 부재의 구조 성능
어수일(Eo, Soo-il) ; 김윤일(Kim, Yoon-i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ol.32 No.06 (201606)
전통목구조 기둥-창방 접합부 인장내력과 파괴모드에 관한 연구
황종국(Hwang Jong-Kook) ; 홍성걸(Hong Sung-Gu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24 n.11 (200811)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