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서울 단독주택지의 주거환경 문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도심 단독주택 사례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Quality of Residential Area in Seoul
저자명 정재용(Chung Jae-Yong) ; 박훈(Park Hu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2 n.2 (2006-02)
페이지 시작페이지(163) 총페이지(12)
ISSN 12269093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법규(제도,정책)
주제어 단독주택 ; 주거환경 ; 필지 ; 일조 ; 프라이버시//Detached House ; Residential Environment ; Plot ; Direct Sunlight ; Privacy
요약1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계획되어지고 있는 주택의 유형과 거주하는 주민들의 생활양식은 서구화 되어가고 있지만, 서구와는 다른 유형으로 개발되어 온 서울 도심지 단독주택지내 필지(Plot)와 가구(Block)의 개발유형에 따른 주거환경요소의 영향을 물리적 분석과 거주민의 만족도 조사 및 실태조사, 그리고 법규의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서구에서 개발되고 있는 필지 및 가구의 유형 분석을 통해 주거환경의 개선방안을 제안하며, 대도시 내 단독 주택지를 보존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요약2 This study's purpose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environment in detached house residential area and to suggest directions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s, principles and the plans of the development of the detached house districts in Korea and UK.
In advanced countries, the planning system and detailed guidelines maintain a level of quality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tact in planning the detached house, while Korea lacks such system and guidelines. Due to the uniformity of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and the focus on the quantitative side of supplying mass housing since liberation in 1945, the quality of our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not developed systematically.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s of environmental quality of residential area through the documentary research, site surveys, the analysis of physical properties and resident satisfaction questionnaires with regards to institutional, planning and management aspects to assess the housing environment based on the types of lot and block of existing housing estat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lot types in Korea did not ensure good solar penetration, or privacy for individual homes. As an alternative, the deep-narrow lot in compliance with the western developing type enables to provide both better sunlight and privacy conditions. It is also possible to maintain high levels of housing environment by the improvement and consistent application of detail design guidelines.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e adoption of deep-narrow lot for the development of the detached house complex and the development of detailed planning guidelines for housing areas.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논문] 도심형 단독주택지 블록 및 필지의 개발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정재용 ; 박훈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7 n.4(통권 제25호) (200612)
단독주택지 재생을 위한 주택 관리 및 정비 지원방안
서수정 ; 임강륜 - 연구보고서(기본) : 2010 n.3 (2010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도시공간의 특성에 따른 단독주택지의 유형연구
정재용(Chung Jae-Yong) ; 박훈(Park H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미래사회에 대응하는 학교건축 계획방향에 대한 기초연구
송병준 ; 주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0 n.1(통권 84호) (201102)
주거단지의 사회통합을 위한 해외 건축계획 사례 연구
신운경(Shin Woon-Kyung) ; 김은미(Kim Eun-Mi) ; 우현혜(Woo Hyun-Hye) ; 박철수(Park Cheol-S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2 (20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