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朝鮮建築』에 나타난 해방직후 건축가의 혼종적 정체성 / Hybrid Identity of Korean Architects on『Choson-Geonchook』in the Colonial Aftermath
저자명 김소연(Kim So-Yeon) ; 이동언(Lee Dong-Eo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2 n.4 (2006-04)
페이지 시작페이지(207) 총페이지(10)
ISSN 12269093
주제분류 이론 / 역사
주제어 혼종적 정체성 ; 미시사 ; 거시사 ; 민족주의 ; 근대화 ; 식민지 타자성//Hybrid Identity ; Micro-history ; Macro-history ; Nationalism ; Modernization ; Colonial Otherness
요약1 이 논문은 그 역설의 시대를 살았던 건축가들의 정체성에 대한 것이다. 가장 불안정하면서도 잠재성으로 들끓었던 해방공간에서 일제 교육과 정책을 배경으로 탄생한 건축가의 자의식은 어떠했는가, 그들이 경험했던 식민의 기억은 어떤 작용을 하였는가, 건축가의 현실인식은 다른 사람과 어떤 차이를 가졌는가 등에 대한 의문을 다룬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해방직후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분석이라기보다는, 그러한 것을 만든 사람, 바로 건축가의 사유에 대한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요약2 The main issue of this paper is to reinterpret the identity of Korean architects after Japanese colonial period in micro-historical way. The grand narrative of nationalism and modernization, in macro-historical perspective, concealed diverse and multiple identity of architects. The class identity of architects was modern intelligentsia educated and trained under Japanese Imperialism, which could not belong to imperial ruler, native hierarchy and subaltern in colony. The ideological identity, split by different experience and individual value inside class identity, made up dichotomous category such as the conservatives and the progressives, the left and the right wing, etc. The boundary between the categories, however, was blurred by ambivalent coexistence of modern idea and pre-modern lifestyle. The gender identity demonstrates architects were never free from traditional patriarchy however progressive they might be. In addition, the colonial identity reproduced orientalism, internalized through colonial experiences, after colonial period. It is the post-colonial identity that all above identities are complicatedly hybridized. Hybridized thus, the post-colonial identity of Korean architects constituted something new and different between indigenous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colonial modern architecture. This hybridizing process is the process of rehabilitating colonial otherness in the third way.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일제강점기 한국인 건축가의 식민지 경험과 의식
김소연(Kim So-Ye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3 n.6 (200706)
케네스 프램턴의 비판적 지역주의가 지니는 한계점과 현대적 의의
김승범(Kim Seung-Bum) ; 김광현(Kim Kwang-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7 n.8 (201108)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의 온돌에 대한 인식변화와 온돌개량
강상훈(Kang Sang-Ho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11 (200611)
김세연(金世演)과 그의 건축활동에 대한 소고
김정동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711)
정세권의 일제강점기 가회동 31번지 및 33번지 한옥단지 개발
이경아(Lee, Kyung-Ah)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2 No.07 (201607)
김윤기(金允基)와 그의 건축활동에 대한 소고
김정동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905)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
“오리엔탈리즘”의 재해석으로 본 일제강점기 한국건축의 식민지 근대성
김소연(Kim So-Yeon) ; 이동언(Lee Dong-E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1 n.4 (200504)
1930년대 경성부 도시형 한옥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평면계획의 특성
박철진 ; 전봉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8 n.7 (20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