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국내 역사계박물관의 소장자료 분류체계와 수장고 분류방안 / Classification System of Collections and Distribution of Storages in Domestic Museum of Historic Relics
저자명 정성욱
발행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15 n.2(통권 55호) (2006-04)
페이지 시작페이지(138) 총페이지(12)
ISSN 12297992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역사
주제어 박물관 ; 유물 ; 박물관 소장자료 ; 보존환경 ; 수장고 ; 분류체계//Museum ; Relics ; Collections ; Environment of Conservation ; Museum Storage ; Classification System
요약1 본 연구는 유물의 보존적 견지에서 박물관 소장자료의 분류체계를 검토하고 이를 근간으로 한 소장자료의 분석지표 설정과 분포특성을 살펴봄으로서 보존과학적인 입장을 공간계획에 접목한 박물관 수장고 분류방안 제시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최종적으로 박물관 수장고의 연계와 조닝, 환경 시스템, 마감재 등의 계획지침 및 공간구조 모형의 도출에 지원되는 단계적 연구에 해당되며 양호한 실내 환경계획에 바탕을 둔 박물관 건립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요약2 A museum's collections is fundamental factors to construct important activity of museum performing a role as cultural facility for learning, education and research. Therefore, conservation of collections through appropriate environments is previously established in step of planing a museum. Hereb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up the classification of collections and suggest a useful guidance of the storage division in a domestic muse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factors of deterioration ar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 a museum storage, so classification of collections should be set up according to the objective standards of these factors. Second, the classification of collections can be performed as follow: the group for nonorganic materials subdivide metal, chinaware, earthenware, and jade?stone, the group for organic materials subdivide leather?hair?paper?fabric, bone?horn?shell mound and wood?herbage and the group for composed materials. Third, for storage division of a domestic museum, basically has to consider that it is reasonable to plan 4~5 storages in metal, jade?stone, chinaware?earthenware, and organic materials of 1~2 units in case of a serial of history like archaeological, antique museum. And in case of folk relics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s are collected, it is reasonable to plan over 5 storages add composed materials to foregoing classification.
소장처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문화재 보존을 위한 박물관 수장고의 공간계획 지침 연구
정성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5 n.3(통권 56호) (200606)
해외 박물관 수장고의 환경계획에 관한 조사연구
정성욱 ; 임채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8 n.2 (200202)
박물관 수장고 건축계획의 방향설정에 관한 기초 연구
이윤찬(Lee Youn-Chan) ; 김보영(Kim, Bo-Young) ; 임채진(Lim, Che-Zinn)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 제34회 (201705)
[학술자료] 소장품 보존을 위한 수장고의 제 조건에 대한 고찰
한성희 ; 홍정기 - 한국박물관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6호 (200202)
개방형 수장고의 운용 특성 및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김보영; 우재희; 임채진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67호 (201908)
[idea] 국립 경주 박물관 종합수장고 계획
조진만 - 월간 건축문화 : No.393 (201402)
박물관에 있어서의 공간구획에 대한 연구
심승현(Shim Seung-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1 n.11 (200511)
박물관 수장고의 건축특성과 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유승철 ; 정성욱 ; 임채진 -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 v.20 n.2 (200010)
박물관 전시공간의 규모산정을 위한 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최준혁(Choi Jun-Hyuc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1 n.9 (200509)
박물관 개방형 수장고의 접근성에 관한 비교 분석
김보영; 임채진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70호 (20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