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문화재 보존을 위한 박물관 수장고의 공간계획 지침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Guidelines of a Storage for Conservation of Relics in a Museum
저자명 정성욱
발행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15 n.3(통권 56호) (2006-06)
페이지 시작페이지(144) 총페이지(11)
ISSN 12297992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박물관 ; 유물 ; 보존환경 ; 수장고 ; 계획지침//Museum ; Relics ; Collections ; Environment of Conservation ; Museum Storage ; Design Guidelines
요약1 박물관에서 유물은 전시, 외부 대여 등 일부 기간을 제외한 연중 대부분을 수장고에서 보내게 되며 총 수장량의 극히 일부만이 전시되기 때문에 박물관 수장고의 계획은 무엇보다도 자료의 보존 개념과 원칙이 철저히 준수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박물관 수장고는 열화의 진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보존환경의 구축과 유지가 최우선시 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보존과학적 입장을 공간계획에 접목한다는 견지에서 박물관 수장고의 공간계획 요소를 체계적으로 추출하고 계획 지침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요약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수장고의 위치는 지상에 배치시키는 동시에 집중화하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증축시 기존 수장고와 연계되어 이분화 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수장고는 우선 저, 중, 고습의 3단계 정도로 크게 조닝한 후 수장고를 수평적으로 집중화할 경우에는 환경에 가장 민감한 유물이 수납되는 수장고를 가장 중심에 위치시켜 환경쇼크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또한 소장자료 증가량이 많은 분야는 인근 수장고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동일 레벨에 계획하도록 한다. 셋째, 유사 환경의 수장고 전실은 공용화하여 공간의 경제성을 도모하도록 하나 환경조건이 상이한 수장고는 반드시 개별 전실화 하도록 한다. 전실은 조습성이 있는 마감재료 사용이 이루어져야 하며 유물의 분류, 정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규모를 크게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수장고의 규모는 현재의 국내 실정상 일단 연면적 대비 20% 내외로 계획한 후 장기적인 국내의 실험적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이 큰 과제인 것으로 생각된다. 단, 수납면적의 부족을 대비하여 반드시 중층시설을 사전에 계획하고 이와 함께 예비수장고 계획을 고려해야 한다. 다섯째, 수장고를 중층으로 계획할 경우 중층을 위한 별도의 기둥을 수장고 2차벽 내측에 설치해야 하며 중층바닥을 부분적으로 오픈 하거나 통기성이 있는 목재를 사용하여 실내의 고른 기류가 조성될 수 있도록 한다. 여섯째, 수장고의 환경제어는 최소 직간접 병용방식에 의한 연간 1일 8시간 운전형식을 구축한 후 공조 정지시에도 수장고 내부가 조온, 조습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 반드시 뒷받침되도록 한다. 일곱째, 수장고의 마감방식은 콘크리트 구조체로부터 방출되는 다량의 습기, 오염인자의 1차 방지를 위해 콘크리트면에 차단재를 설치하고 수장고 내측에 구축되는 2차벽은 습기, 오염인자의 2차 차단과 함께 수장고의 조온, 내화성 확보를 위해 불투습재를 취부한 후 간헐공조시에도 고내의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조습성의 재료로 최종 마감하는 방식을 채택하여야 한다. 여덟째, 수장고의 출입문은 문틀의 연동 기밀장치, 문짝과 문틀 부위에 기밀성 가스켓이 설치되어야 하고 해충, 기타의 오염물질 유입방지를 위하여 2중이여야 하며 수장고의 급격한 환경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사람 출입 전용문을 설치하도록 한다.
요약2 Except the time when relics of a museum are exhibited or loaned to the public, they are stored in a storage. In addition, it is common view that collections are exhibited a few of total stored collections in a museum. Therefore, the environmental condition of a storage is an important factor. Hereb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sign guidelines of a storage for conservation of relics in a museum.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briefly. First, location of storages has to be located and centralized above ground against preservation environment and additional renovation. Second, for storage size, it is reasonable to secure long-term experimental data after planning about 20% of whole section in present domestic situation. Third, in order to prevent environmental deterioration due to short storage floor space, adequate storage height has to be secured against a mezzanine deck and spare storages need to be planned. Where a mezzanine deck is designed, detailed plans have to be supported for equal micro climate in a storage. Fourth, in respect of environmental control of storages, finish materials with adjustment ability on relative humidity have to be used after the system is installed jointly direct and indirect way by air chamber, considering domestic condition for management of intermittent ventilation.
소장처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개방형 수장고의 운용 특성 및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김보영; 우재희; 임채진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67호 (201908)
전시프로그램을 고려한 우리나라 박물관과 미술관의 스페이스 프로그램 비교 연구
서유석(Sea You-Seo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10 (200410)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해외 박물관 수장고의 환경계획에 관한 조사연구
정성욱 ; 임채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8 n.2 (200202)
국?공립 미술관의 수장고 환경조사 및 공동수장고에 관한연구
조혜진(CHO Hye Ji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06 No.02 (20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