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브랜드 체험수단으로서 플래그 쉽 스토어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lagship Store Space Design as Brand Experience Tool
저자명 한효정 ; 김주연
발행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15 n.3(통권 56호) (2006-06)
페이지 시작페이지(184) 총페이지(9)
ISSN 12297992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체험마케팅 ;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 플래그쉽 스토어 ; 공간 아이덴티티//Experiential Marketing ; Brand Communication ; Flagship Store ; Space Identity
요약1 최근 대중 소비자들은 상품의 인식과 구매행동에 있어 브랜드와 상품을 직접 느껴보고 그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가치를 판단하고자 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이에 기업은 소비자와의 다양한 방식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브랜드와 상품을 어떻게 체험케 할 것인가를 중요하게 생각하게 되었고 체험마케팅은 실내·공간 디자인의 주요한 전략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브랜드와 상품을 실제로 체험하게 되는 매장공간은 기업과 고객이 접하는 접점 공간이며, 그 공간에서의 체험이 구매 결정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 단순히 제품을 판매하는 곳이 아닌 브랜드의 이미지를 체험?전파하는 곳이라 할 수 있는 플래그쉽 스토어(Flagship Store)는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과 가치를 브랜드와 연결시키는 공간으로서 신중하고 전략적 디자인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브랜드의 효과적인 체험형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서 그리고 체험 제공수단의 공간적 환경으로서 플래그쉽 스토어의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문화를 체험하는 공간’ 즉 브랜드 커뮤니케이터(Brand Communicator)로서 플래그쉽 스토어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사례분석을 통해 플래그쉽 스토어가 지니는 실내디자인의 디자인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공간 커뮤니케이션과 관계된 개념들은 문헌고찰을 통해 이론적으로 정리하였고, 사례 분석의 기준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차별화 된 체험마케팅을 적용하여 운영하고 있는 국내·외 플래그쉽 스토어로 한정하였다. 대상 플래그쉽 스토어들은 구축성향과 유형별로 분류하였고, 체험마케팅의 전략적 요소들로 인하여 얻어지는 가치의 정도를 사회, 문화적 라이프스타일과 연계하여 플래그쉽 스토어가 갖는 실내디자인의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플래그쉽 스토어는 기업에게 있어서 브랜드의 지속적인 이미지구축과 차별화를 실현하는 도구가 되며, 소비자 입장에서는 브랜드만의 이미지와 스타일을 표현한 공간 속에서 체험을 통한 관계 구축을 형성해준다. 따라서, 브랜드 이미지와 전략에 맞는 유형을 고려하여 계획할 때, 제품 소비만이 아닌 문화소비의 감각경험을 제공하는 곳으로서 가치를 갖는다.
요약2 This study is focused on spatial identity and design of flagship stores as media of effective experiential communication for a brand. This study is aimed to creative methods for diverse effects are suggested by connecting significance of experiential communication and strategic factors of experiential marketing to sales space in order to realize the identity of space.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is following. flagship stores realizing differentiated experiential marketing were selectively classified by typ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al features. Then, each of their function was analyzed in the context of social cultural life style. In Conclusion, flagship stores become a tool continually constructing a brand image and implementing differentiation for companies. To consumers, they create relationships through customers’ experience in space expressing own brand image and style. Also, flagship stores are valued as a place offering sensational experiences of cultural consumption as well as product consumption when planned given the style suitable for brand image and strategies.
소장처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현대 상업건축에서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건축가의 해석과 표현
최왕돈 ; 김주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5 n.1(통권 54호) (200602)
리테일 브랜딩의 공간 사례분석을 통한 유형화 연구
오정아(Oh Jung-Ah) ; 이현수(Lee Hyun-S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3 (201003)
체험 마케팅 도구로서의 공간 디자인 과정 및 전략에 관한 연구
전유창 ; 김승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8 n.4(통권 75호) (200908)
실내디자인 표현방법의 유형화가 적용된 패션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Flagship store)에 관한 연구
강소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7 n.6(통권 71호) (2008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브랜드 확립을 위한 상점공간 디자인 분석 연구
이소영 ; 박사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8 n.5(통권 76호) (200910)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감성적 디자인으로 접근한 패션 리테일 샵 공간의 연속성에 관한 연구
전송이(Jeon Song-Yi) ; 서지은(Seo Ji-Eun) ; 이정호(Lee Jeong-H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2 (20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