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업무적 및 사회적 그룹일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무공간 디자인 특성 고찰 / Effects of Workplace Design Features on Task and Social Group Cohesiveness
저자명 이소영(Lee So-Young)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2 n.6 (2006-06)
페이지 시작페이지(151) 총페이지(8)
ISSN 12269093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지정 그룹 공간 ; 폐쇄성 ; 공간융통성 ; 업무적 그룹 일체성 ; 사회적 그룹 일체성//Designated Shared Space ; Enclosure ; Flexibility ; Task Group Cohesiveness ; Social Ggroup Cohesiveness
요약1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무공간 내에서 물리적 공간특성 중 사무원들이 인지하는 그룹 일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조사하고 공간만족에 가져오는 영향을 파악하여 사무원들이 필요한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며 그룹일체성을 높일 수 있는 사무공간의 특징을 제시하는데 있다.
요약2 The workplace environment has rapidly evolved in response to changing technologies, organizational contexts, demographic changes, etc. Open offices with panel based systems have often provided rigid workspaces, which are insufficient to support growing needs of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individual activities simultaneously. Flexible workplace strategy has been emphasized to increase informal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ve works, and to contribute to group cohesiveness without sacrificing individual works and priv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physical environmental features such as existence of a designated shared space for a team, and flexible arrangement of workstation, movable office systems, and openness/accessibility for individual workstation, on group cohesiveness. Questionnaire items were developed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office employees working in manufacturing corporate in Michigan, U.S.A. Usable 384 questionnaire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using SPSS 12. Site visits were also conducted.
Employees who work in a team are likely to have higher task group cohesiveness. Participants who have a designated shared space have higher social group cohesiveness than people who do not have one. The degree of enclosure of the designated shared space is positively related to social group cohesiveness. However, the degree of enclosure is not related to task group cohesiveness. The results found that flexible work environmental features are positively related to task group cohesiveness but not to social group cohesiveness. Different from expectation, openness and accessibility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either task group cohesiveness or social group cohesiveness.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업무집중 및 커뮤니케이션 행태를 중심으로 한 오피스 레이아웃 유형에 관한 연구
김두나 ; 하미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3 n.6(통권 47호) (200412)
업무환경에서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한 공간적 요소에 관한 연구
김지영 ; 류호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 11권 1호 (200905)
사무소 건물에서 업무특성과 조직특성이 공간구조에 미치는 영향
유우상 ; 이승희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09 n.04 (통권32호) (200712)
사무공간 레이아웃에 따른 근무자의 시각적 교류에 관한 연구
유우상 ; 최윤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4 n.5(통권 52호) (200510)
현대 오피스 공간의 특성으로 본 신 개념 오피스 공간에 관한 연구
남조현 ; 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 9권 1호 (200705)
국내 오피스 공용공간에 나타난 공간특성 및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김지이 ; 심은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8 n.3(통권 74호) (200906)
생산성 향상을 위한 북미 최첨단 사무공간 계획 방향 분석
윤혜경 ; 박현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9 n.1(통권 78호)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오피스의 업무환경 의식에 관한 연구
유호정 ; 장연화 ; 최소희 ; 하미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 11권 1호 (20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