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역사주거지구의 소규모 생활권단위 추정방법에 관한 기초연구 / 북촌 도시형태요소와 근린편의시설의 분포상황을 중심으로 / Understanding Minimum Neighborhood Units in Historic Residential Districts
저자명 박소현(Park So-Hyun) ; 최이명(Choi Yee-Myung) ; 서한림(Seo Han-Lim)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2 n.9 (2006-09)
페이지 시작페이지(223) 총페이지(9)
ISSN 12269093
주제분류 역사 /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역사주거지구 ; 생활권 단위 ; 북촌 ; 군집분석//Historic Residential District ; Neighborhood Unit ; Bukchon ; Cluster Analysis
요약1 본 연구는 기성시가지의 단독, 다세대 주거지구의 가장 오래된 예로 볼 수 있는 역사적 도심주거지인 서울의 북촌을 사례로 택하여 근린편의시설로의 이용을 위한 보행이 만들어내는 소규모 단위의 생활권 영역을 추정, 계량화 해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추정된 소규모 생활권 영역은 역사주거지구의 향후 보존 및 개발을 주민생활향상 위주의 목표로 계획해 가는데 기본 자료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요약2 It is a desirable trend that the conservation of historic residential districts is recently pursued as an issue of making livable neighborhoods. In order to provide a neighborhood planning basis for a historic residential district, this paper seeks a practical method that draws compact neighborhood units where minimum facilities are maintain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field observations, site analyses, as well as GIS and SPSS Cluster Analysis of immediate neighborhood facilities and street accessibilities, this paper preliminarily constructs a synthesized method of extracting minimum neighborhood units within a historic residential district. Applying the synthesized method to the case of the Bukchon community in city center Seoul, this paper identifies thirteen minimum neighborhood units within the Bukchon district, each of which is equivalent to approximately a 110-meter radius area. The thirteen minimum neighborhood units, to be modified by the social and perceptual factors of neighborhood planning in the next research phases, would serve as a useful reference for future revitalization of the historic residential district.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국내 주거지 계획의 생활권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권혁삼 ; 백혜선 ; 정화진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9 n.4(통권 제33호) (200812)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논문] 신도시 근린생활권 계획 기준에 관한 연구
김찬호 ; 황희돈 - 국토계획 : v.43 n.4(통권 164호) (200808)
서울 도심부의 역사적 도시형태 변화유형과 특성
진영효 ; 안건혁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0 n.1(통권 제34호) (200903)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논문] 우리나라 신도시 계획에서 생활권 공간구조의 변화
권영상 - 국토계획 : v.46 n.2(통권 183호) (201104)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생활권 개념의 변화에 따른 주거지 계획의 시기별 특성 변화
이종화 ; 구자훈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20 n.4 (200908)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