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건설기능인력 자격 및 직급체계 구축방안 제안 / A Proposal for Development of the Certification and Level System of Construction Craft Workers
저자명 김봉주(Kim, Bong-Ju) ; 정명호(Jung, Myung-Ho) ; 문현석(Moon, Hyun-Seok) ; 현창택(Hyun, Chang-Taek) ; 구교진(Koo, Kyo-Jin)
발행사 한국건설관리학회
수록사항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7 No.5 (2006-10)
페이지 시작페이지(105) 총페이지(10)
ISSN 1229-7534
주제분류 시공(적산) / 법규(제도,정책)
주제어 건설기능인력 ; 자격및직급체계 ; 경력관리//Construction Craft Workers ; Certification & Level System ; Career Development Program
요약1 건설기능 인력은 최종 생산자로서 생산성 및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방치된 채 고령화되고 고갈되는 양상을 띄고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젊은 기능인력의 건설사업 회피에서 기인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양질의 기능인력 수급을 위해서 기능인력의 자격 및 직급체계를 제안하여 건설기능인력 시장에 젊은 기능인력을 끌어들이는데 있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설기능인력 체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전문가와의 면담과 독일, 호주의 사례 연구를 통해 국내에 적용 가능한 자격 및 직급체계 구축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건설기능 인력의 자격 및 직급체계의 활성화는 기능인력이 단순한 노무라는 이미지에서 탈피하여 전문분야임을 인식시킬 수 있으며, 젊고 유능한 기능인력을 건설산업으로 유입시킴으로써 건설기능인력의 생산성 향상, 전문성 강화, 고령화를 탈피시킬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회보장제도와의 연계를 통하여 고용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을것이다.
요약2 The construction craft workers have been getting older and have become drained, in spite of the vital factor that it directlyaffects productivity and quality as a final producer. This situa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ultimately due to evasion ofperformances by young craft worker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ertification and level system ofconstruction craft workers and to extract young craft workers from the market for construction craft workers so as to supply anddemand high quality of craft workers. First of all, the pres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craft workers areconsidered in this study. Furthermore, the appropriate way to establish its certification and level system is suggested from theinterview with experts, as well as references of German and Australian case. The revitalization of certification and level systemprovid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ensure that the craft workers are not simple laborers, but are required the professionalknowledge and skill. Besides, it will lead to strengthen specificity and to break from aging, by taking young and qualified craftworkers into the construction industry. Also, it will promote an employment stability by connecting the social security system.
소장처 한국건설관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국내 건설기능인력의 수급 현황 및 운영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하기주(Ha, Gee-Joo) ; 하민수(Ha, Min-Su) ; 이동렬(Yi, Dong-Ryul)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7 No.1 (201704)
[특집] 방수공사의 종류와 시공기술의 이해
안상로 ; 곽규성 ; 최성민 ; 오상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v.10 n.4(통권 제42호) (201008)
건설기능인력 수급전망 및 안정화 대책 방안
정진용 ; 황찬수 ; 박태근 - 전국 대학생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511)
건설 기능인력의 임금 지급제도 개선방안
이근형(Lee, Kun-Hyung) ; 손창백(Son, Chang-Baek) -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 Vol.20 No.2 (202004)
건설교육기관의 기능교육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유성곤 ; 손창백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 Vol.20 No.4 (201907)
국내건설현장 건설기능인력 현황 및 실태조사
김대영(Kim, D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30 n.11 (201411)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건설기능인력 교육체계 및 직급체계 개선방안
이철승 ; 채대영 ; 유정호 ; 김창덕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