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高麗時代 住宅에서 堂의 意味와 形式에 관한 연구 / 堂의 性格에 관한 文獻硏究를 中心으로 / A Study on the Meaning and Form of Dang in House of Goryeo Dynasty
저자명 이정미(Lee Jeong-Mee) ; 한지만(Han Ji-Ma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3 n.3 (2007-03)
페이지 시작페이지(171) 총페이지(8)
ISSN 12269093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高麗時代 ; 堂 ; 別院 ; 庭園 ; 園林//Goryeo Dynasty ; Dang ; Separated Territory ; Court Yard ; Garden
요약1 본 연구는 먼저 고려시대 문헌에서 ‘堂’에 관한 기사를 선집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당시의 건축문화에서 ‘堂’이 보편적으로 어떠한 의미로 이해되었는가를 분석하고, 그 가운데 특히, 주택에 있어서 ‘堂’의 의미와 형식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고려시대 주택에서 남성공간의 구체적인 연구를 위한 선행연구가 될 것이며, 나아가 한국전통주택의 남성공간에 관한 통시적 연구의 가능성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요약2 Generally, the Sarangchae, the man's part of house in Joseon dynasty, was called as Dang(堂). And also the records about Dang, related to the house, are repeatedly found in the literature of Goryeo dynasty. In this study, I took notice to those aspects, then interpreted the meaning of Dang in the architectural culture, and analysed the meaning and the form of that, spacially in the house of Goryeo dynasty.
In Goryeo dynasty, the Dang in the house, was multiple functioned space, used as man's daily living space, reception space, study, and the space for moral culture like the Zen-Buddhist meditation. Generally the Dang was composed in the separated territory, and had the court yard in front. And the type of court yard was related to the function of Dang. If the Dang was used for the public banquet or official duties, the court yard was empty. And if the Dang was used for daily party or Zen-Buddhist meditation, the court yard was made to garden which have pond, oddly shaped stone and plant. Sometimes, Dang was used as the space for family party like the birthday celebration for parents. But the subject of most parties, Zen-Buddhist meditation, and study was man. Because of that, Dang became to the space for man, which have separated territory in house. As the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e house form, which have man and woman's daily living area was separated style, was not originated and completed in Joseon dynasty, the original form was made in Goryeo dynasty already.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조선후기 선자연 치목기법에 관한 연구
김왕직(Kim Wang-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조선시대 주택 꺾음부의 유형에 관한 연구
김정현(Kim Jeong-Hyun) ; 김하나(Kim Ha-Na) ; 전봉희(Jeon Bong-He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6 (200906)
고려시대 목조건축 결구기법에 관한 연구
황세옥 ; 김봉건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911)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高麗後期 上流住宅의 宴會空間 樓·亭에 관한 연구
이정미(Lee Jeong-Mee) ; 한지만(Han Ji-M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3 (200803)
원형적 공간 요소로 본 한국주택 평면형식의 통시적 고찰
전봉희(Jeon Bong-Hee) ; 권용찬(Kwon Yong-Ch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7 (200807)
高麗時代 住宅의 賓客空間에 관한 연구
이정미(Lee Jeong-Me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10 (200610)
[논문] 중국 唐·宋 목조건축의 하앙 결구기법 변천 연구
장헌덕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0 n.6(통권 79호) (201112)
고려말 조선초 다포건축 공포의 결구 특성에 관한 연구
이연노 ; 주남철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9 n.8 (20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