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아파트의 전용면적별 공용부문 면적배분 연구 / 수도권 아파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rea Division of Public Area according to the Dwelling Exclusive Area of the Apartment
저자명 김정현(Kim Jung-Hyun) ; 최찬환(Choi Chan-Hwa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3 n.3 (2007-03)
페이지 시작페이지(187) 총페이지(10)
ISSN 12269093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주거전용면적 ; 주거공용면적(기타공용면적) ; 발코니면적//Exclusive Dwelling Area ; Dwelling Public Area ; Balcony Area
요약1 본 연구의 목적은 앞서 기술한 후자의 면적기준에 따른 주거전용면적별 아파트 공용부문의 건축특성의 계획내용을 조사하는 것이다. 제도의 틀내에서 제도에 의해서 영향을 받아 나타난 공용부분과 세장비의 아파트 특성을 살펴보고, 아파트 면적의 관심에 대한 증대를 좀 더 넓히고자하며, 아파트설계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nvestigate the plan content relevant to the area standards according to the exclusive dwelling area of an apartment architectural a building area. This an apartment area relation data which is used at research and plan. We are the plan about 97 cases and 386unit which we collect to internet. The range of the object apartment selected the apartment of a national capital region center to the investigation object. the apartment development of the national capital region have been scheduled mainly. The district of recent days is aware of the trend. Specific purpose is as follows. First, we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with the exclusive dwelling area structure current situation. Second, we investigate a exclusive dwelling area section structure rate curr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 Third, we grasp the characteristic to appear to a third exclusive dwelling area sejangbi. Through this research also. The enlargement about the concern of an apartment area. we try to present the apartment design funda mental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area of dwelling public space was planed to smallest space. Second, Balcony area appeared increasing according as residing exclusive dwelling area increases, and slenderness ratio appeared increasing for crosswise. Third, according as exclusive dwelling area in class ratio increases, the exclusive dwelling rate increased, and dwelling public area ratio decreased. Fourth, Data of design applies dwelling public area and other public area through area distribution table and mode.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논문] 역사적 건축물 보존에서 지구단위계획의 역할과 과제
이범훈(Rhee, Bum-Hun) ; 김기호(Kim, Ki-Ho) - 국토계획 : Vol.50 No.7(통권 217호) (201511)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하펜시티 수변공간의 도시디자인 수법에 관한 연구
이범훈 ; 김경배 -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911)
[특집] 친환경 건축물의 개념 및 계획 방법
윤종호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1 n.2 (200710)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건축법에서의 지표면산정기준에 관한 연구
김수영(Kim Soo-Young) ; 이민섭(Lee Min-Sup)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9 n.12 (20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