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近代化過程에 나타난 과도기적 성격을 띤 二層韓屋의 간잡이 및 木構造 方式 / 「근대문화유산 조사 및 목록화보고서」에 나타난 사례를 중심으로 / The House Layout and Wooden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Semi-2 Story House in the Early 20th Century
저자명 서동제(Seo Dong-Je) ; 박중신(Park Chung-Shin) ; 김태영(Kim Tai-Young)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3 n.4 (2007-04)
페이지 시작페이지(129) 총페이지(8)
ISSN 12269093
주제분류 역사 / 계획및설계
주제어 간잡이 ; 목구조 ; 과도기적 성격을 띤 이층한옥 ; 근대기//House Layout ; Wooden Structure ; Korean Traditional Semi-2 Story House ; The Early 20th Century
요약1 본 논문은 한국 근대화 과정 중에서 우리의 주체적 건축양식의 하나로서 과도기적 성격을 띤 이층한옥에 대한 실측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이에 대한 간잡이 및 목구조 특성을 밝혀냄으로써 전통주거건축의 근대화과정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한편, 당시의 단층 및 2층 주거와의 변화와 비교하여 근대기라는 특수한 시기에 과도기적 성격을 띤 이층한옥이 차지하는 건축사적 위치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요약2 This paper summarizes the house layout and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semi-2 story house that appeared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Korea. Fundamentally, although the activity-flow in the "Maru-room" of the traditional house remains unchanged, the new vertical activity flow of "room-stair-second floor"(second floor with rooms and stair) are added spatial element. Having been made a full sized space that overlapped with the original attic space, such second floor make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Korean traditional 2 story shop house in space organization and appearance. The attic space of the first floor showed the roof beam as it was, and expanded the height of a ceiling, and was utilized as collection and refuge space. When the focus of the position of stairs is placed and the character of the second floor space is considered, it turns the exclusive [Korean traditional semi-2 story house] to other extra activity requirement of a home.
The roof and eaves was made simpler and light material was used for the roof. However,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roof curve of the traditional house was adopted. In the facade a new material?glass, was used extensively.
The traditional house employed a typical five-span structural form in the ground plan and three-span in the attic floor and the roof. It is the feature to use BOAJI for decoration under the beam that hides the curved beam. This is a feature, which only Korean traditional semi-2 story house has, and can be said to be a special technical performance in the beam structure. Korean traditional semi-2 story house raised on short stilts is a style on which the super structures were extended. It may be said that the development to a full second floor is a process that combines Korean traditional semi-2 story house with the requirement of modernization in Korea.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
전통 목구조 팔작지붕 추녀부재의 구조적 보강 특성에 관한 연구
조철희(Cho Cheol-Hee) ; 신용석(Shin Yong-Seok) ; 조윤희(Cho Youn-Hee) ; 노성열(No Seong-Ryeol) ; 김정섭(Kim Jeong-Sup)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26 n.03 (201003)
朝鮮時代 重層木造建築의 轉角部 架構法의 형식과 구조적 특성
이은수(Lee Eun-Soo) ; 홍병화(Hong Byung-Hwa) ; 김성우(Kim Sung-W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12 (200912)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조선시대 주택 꺾음부의 유형에 관한 연구
김정현(Kim Jeong-Hyun) ; 김하나(Kim Ha-Na) ; 전봉희(Jeon Bong-He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6 (200906)
근대기 목조 지붕트러스의 유형분류 및 특징에 관한 연구
박창범(Park Chang-Beom) ; 김미연(Kim Mi-Yeon) ; 김태영(Kim Tai-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조선후기 선자연 치목기법에 관한 연구
김왕직(Kim Wang-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원형적 공간 요소로 본 한국주택 평면형식의 통시적 고찰
전봉희(Jeon Bong-Hee) ; 권용찬(Kwon Yong-Ch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7 (200807)
근대기 2층 한옥의 구조 특성
이호열 ; 이성태 ; 우경원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