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논문] 지속가능한 신도시 개발을 위한 한국형 압축도시모형 정립에 관한 연구 / Study on Compact City Model for Sustainable New Town Development in Korea
저자명 김찬호 ; 이창수 ; 우윤석
발행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수록사항 국토계획, v.42 n.2(통권 155호) (2007-04)
페이지 시작페이지(49) 총페이지(20)
ISSN 12267147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압축도시 ; 신도시 ; 밀도 ; 지속가능성//Compact City ; New Town ; Density ; Sustainable Development
요약1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개발의 구체적인 실현 방안으로서 ‘압축형 도시’의 이론적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장래 주택공급 목표달성을 위한 택지공급의 한계를 검토하여 압축형 도시의 적용 필요성을 살펴본다. 이어 우리나라의 신도시 개발에 적용가능한 압축형 도시의 이념형을 도출하여 제시하고 구체적인 실현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에 관해 논의한다.
요약2 Since 1970s, there has been significant overdemand for residential and urban land use in this country due to lack of enough housing supply. Korean government has propelled new town development policy as an alternative to meet the overdemand problem, and nowadays 2nd-era new towns are being developed in various locations by the government. However, as a concep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development becoming dominant, which insists new towns should be developed with lower urban density, land site shortage problem emerged, and thus long reserved Green Belt area is being discharged to be developed for housing supply. Considering this unenvironmentally-friendly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make new town development more efficient and economical in terms of urban land use. This study tries to establish Korean-Compact city model to be applied to new town development in Korea. The Compact city has emerged as a counter strategy against low density urban sprawl to achieve more economical use of space, and thus more sustainable urban for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crutinized main concept and elements of compact city suggestion first. Also, future demand of land site for new towns is estimated to compare it with the capacity of available land site. Then Korean-Compact city model is derived considering Korean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and the model is simulated to Bundang new town, to find it valuable to achieve more sustainable and efficient urban development. As a conclusion, legal arrangement direc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to realize the model.
소장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국내 주거지 계획의 생활권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권혁삼 ; 백혜선 ; 정화진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9 n.4(통권 제33호) (2008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친환경 근린개발을 위한 도시설계 기법연구
유광흠 ; 조상규 ; 오성훈 ; 성은영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11 (200912)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국내외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방향에 대한 연구
오민준(Oh, Min-Jun) ; 정재용(ChungJae-Y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7 n.12 (201112)
[논문] 우리나라 신도시 계획에서 생활권 공간구조의 변화
권영상 - 국토계획 : v.46 n.2(통권 183호) (20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