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커뮤니티 공간을 연계한 봉안당(奉安堂)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ce Plan of Charnel House Connected with Community Space
저자명 한혜선
발행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16 n.2(통권 61호) (2007-04)
페이지 시작페이지(253) 총페이지(9)
ISSN 12297992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봉안당 ; 봉안실 ; 참배실 ; 커뮤니티 공간//Charnel house ; Columbarium ; Shrine ; Community space
요약1 본 연구는 봉안당에 관한 연구 자료를 고찰하고 봉안당의 개정법에 관한 현황과 봉안당 사례조사를 통하여 커뮤니티 공간으로서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여 법규 개정으로 인한 봉안당의 수요 급증에 대비하여 현재에 맞는 커뮤니티 공간을 연계한 봉안당 실내 설계의 방향을 제시하여 향후 설계 자료로 활용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요약2 Because the hatred and phenomenon of NIMBY for charnel house become an issue, it is the actual condition that charnel facilities are not activated in urb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ace plan of charnel house that introduces the community concept; and then shows the way of interior design for charnel house connected with community space. The following researches are drawn based upon the purpose. First, the present conditions and general functions of charnel house are considered closely and revised funeral policy that affects the organization of interior space in charnel house is analysed. Second, the case study for chanel house is limited to the indoor types among the existing researches for charnel house plan. Four charnel houses where were built after 2000 are selected for building standard of space organization in charnel house connected with community facility. Third, the concept and function of community space are considered and the space which can accommodate in charnel house is investigated. Fourth, the concept and organizational framework model of charnel house connected with community facility as a intermediate area in urban indicate. Fifth, the concrete interior plan for charnel house connected with community space is proposed on the design case of charnel house that are located in urban are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reduce a complicated matter with local residents and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charnel house in the future as the existing charnel facilities that have financial difficulty should make a remodeling plan including the community space that give mutual connection to area.
소장처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한국 장묘문화와 현대적 죽음의 의미 고찰을 통한 장묘시설 계획안
한송이 ; 이강업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710)
[논문] 납골시설의 공간구성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최진원 ; 박재승 -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 v.10 n.2 (200409)
[Special] 장례시설의 설계계획론과 사례
김동훈 - 월간 건축문화 : No.302 (200607)
[글로벌 리포트] 장례문화시설 벤치마킹
편집부 - SK건축기술정보 : 제9호 (200809)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국내 복합장묘시설 배치계획의 특성분석 연구
김진아(Kim, Jin-Ah) ; 김용승(KimYong-Se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9 n.3 (2013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납골당의 수직적 연계를 위한 동선공간의 구성에 관한 연구
송성호 ; 김종헌 -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 v.21 n.1 (200104)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