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도시공공환경의 구성요소로서 간판의 통합적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otal Design of Signageas an Element of Urban Public Environment
저자명 김도년(Kim Do-Nyun) ; 이성창(Lee Seong-Chang) ; 박중현(Park Jung-Hyu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3 n.6 (2007-06)
페이지 시작페이지(191) 총페이지(8)
ISSN 12269093
주제분류 도시 / 조경
주제어 간판 ; 옥외광고물 ; 가로 ; 공공 환경 ; 통합디자인//Signage ; Outdoor Advertisement ; Street ; Public Environment ; Total Design
요약1 본 연구는 가로환경을 구성하는 요소 중, 간판을 대상으로 물리적 요소의 계획뿐만 아니라 간판의 환경적·경제적 문제점을 파악하여 바람직한 간판의 계획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요약2 Street and facade of buildings, typical urban environment, decides a quality of urban environment. Especially, among elevation element of private structure, signage is remarkably important element with uses of first floor of buildings to offer energy of urban activity. This study tries to bring up integrated design methods of signage considering physical character, environmental and economical aspects. Conclusions are as follows.First, after a consideration of physical environment - size, volume, color, quantity, light method, etc. ? signage need to be improved. Second, after a consideration of regulation related with signage is limited about size and quantity. However, it could be effective when regulation changed about volume or ratio of possession and expand items of that. Third, design guideline need to be classified regulations according to local features. Besides, design guideline must be planed not quantitative regulation but qualitative regulation on design aspect ? shape, style of type, color, material, harmony with structure. Last, examining about environmental and economical problems of flex sign, the most sign in urban space, it could be helpful to import and apply variety material and lighting methods as LED and neon. Hereafter, related studies are examined about improvement of regulations, established design guideline on local features and variety methods of material and lighting and introduction of total design guideline should define a street image and create a local identity. Finally, signage is helpful to ennoble a urban space.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상업가로의 옥외광고물 형식에 관한 연구
정승환 ; 민현준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810)
미술관 전시공간에 사용되는 공간유형
백용운(Baek Young-W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논문] 공유재로서의 옥외광고물 관리방향 연구
서준원 ; 손경주 ; 안건혁 - 국토계획 : v.42 n.2(통권 155호) (200704)
건축물 입면구성 요소로서의 간판에 관한 연구
김현철 ; 진정 -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 v.21 n.2 (200110)
도시경관 향상을 위한 옥외광고물 관리 개선방안 연구
윤호상 ; 박천보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910)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주상복합지역 간판디자인의 시지각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17 n.6 (20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