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커뮤니티 공간의 구성 패턴 비교연구 /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composition pattern of community space / 제13 Session : 장소성/공간구성
저자명 박세영 ; 김항집
발행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수록사항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2007-10)
페이지 시작페이지(673) 총페이지(9)
주제분류 도시 / 계획및설계
주제어 도시 계획 ; 뉴어버니즘 ; 전통 커뮤니티 ; 도시설계 ; 공간구조 ; Urban Planning ; New Urbanism ; Traditional a community ; Urban Design ; Community Spatial Structure
요약1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통 커뮤니티 공간의 패턴을 잘 보여주고 있는 우리나라의 두 곳과 미국 뉴어버니즘 도시계획의 대표적인 예인 두 곳의 공간구조 특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공간계획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나아갈 방안의 연구 수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요약2 Recently, the social discussion is getting lively about the Livable City-Making Movement which aims at reconsidering the life quality of resident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compact city concept and new urbanism city project movement in America which is the city theory, to realize the constant city, the unique organism and residential concept of the traditional community space lost in our country to get the effective promotion and implication of this policy. Specifically, by penetrating the social causes such as the original formation of the traditional village of our country, the time of the original formation, the relation of the land owning and so on, by understanding and researching the reality of the traditional village in our country and by comparing them with the space pattern the community spatial pattern of America, we can obtain the politic lesson of the city planning centered on the citizens. For that reason, in this research, I want to study comparatively the thought of the traditional residential places, paying attention to the pattern of the traditional village and the space pattern of New Urbanism Movement, on the center of the natural and physical causes of the traditional villages in our country about the current of the changing city planning through the logics of the residential places Korean, I have taken examples such as Oeam village located in Asan, Chungnam, and Jangsan-ri village located in Jangseong, which show the traditional community spatial pattern of our country well. and Seaside and South Brand of Village which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New Urbanism in America, and I am going to analyze the community Spatial Structure and suggest the progress direction of the community Spatial Planning of our country.
소장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특집] 친환경 건축물의 개념 및 계획 방법
윤종호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1 n.2 (200710)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
도시마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전통마을 공간 구조 특성 분석
문지원 ; 김주현 ; 하재명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19 n.6 (200812)
일본의 도시재생 프로젝트와 시사점
윤상복 ; 김형보 ; 박동현 ; 김중환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200710)
지역커뮤니티 활성화 관점에서 아파트단지 커뮤니티 시설의 설치 현황과 한계
차성미 ; 이정형 ; 김지엽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5 n.2(통권 제62호) (201404)
[논문] 지속가능한 개발과 뉴어바니즘 이론의 적용에 의한 영국 버밍험시 도시재생의 특성
서수정 - 국토계획 : v.42 n.7(통권 160호) (20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