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재료와 형태의 상관관계에서 보이는 김중업 건축의 근대성에 관한 연구 / An Analysis of the Modernity in Kim,Jung-up's Architecture based on Correlation between Material and Form
저자명 김소영(Kim So-Young) ; 윤재신(Yoon Chae-Shi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3 n.10 (2007-10)
페이지 시작페이지(71) 총페이지(10)
ISSN 12269093
주제분류 역사 / 이론
주제어 김중업 ; 근대성 ; 재료 ; 노출콘크리트 ; 조적 ; 유리 ; 비정형//Kim ; Jung-Up ; Modernity ; Materials ; Exposed Concrete ; Brickwork ; Grass ; Atypical
요약1 본 연구는, 산업혁명으로 형성된 신 재료와 공법을 새로운 양식으로 표현하려했던 근대건축의 실험정신을 건축에서의 근대성으로 규정하고, 김중업 건축에서 보이는 재료와 형태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김중업 건축이 근대건축의 일환으로 분류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ate the works of Kim Jung Up as modern architecture and to show that Korean modern architecture began from him in a certain sense. The western modern architecture based on the rationalism was a series of flows that produced suitable building shapes for the new materials such as iron, glass, and concrete, which had been mass-produced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past it was proportion, not the creativity of an architect, that acted a crucial role in architecture so that the role of architects could not be so important like in the present. It was only after the modern era that architects became form-givers who must have created new architectural types. However, the modern architecture in Korea was rather peculiar because of the colonization by Japan and Korean War. After having suffered these historic events in such a short period of time, the distorted modern architecture was transplanted from Japan preventing Korea from developing true modern architecture. Kim Jung Up opened his eyes to the trend of the modern architecture working in the office of Le Corbusier. One can say that it is Kim Jung Up who started the true Korean modern architecture as he began to create his own style, which was not the mere copy of the western architecture. If one defines a modern architect as one who creates new types based on the materials, Kim Jung Up can clearly be defined as one. He had his own distinct architectural language such as 'superposition of curves,' 'juxtaposition of circles,' and 'lines with acute angles.' His language was obtained by specific materials such as exposed concrete, brick, stone, glass, and wood.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특집] 김중업의 작품과 건축관에 대해
안병의 - 월간 건축문화 : No.143 (199304)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김중업 건축에서 나타나는 한국전통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서병진 ; 문병국 ; 이일형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n.2008 v.01 (200812)
[특집] 김중업
김중업 - 월간 건축문화 : No.40 (198409)
[특집] 작품으로 본 김중업
우경국 - 월간 건축문화 : No.143 (199304)
파리 체류시 김중업이 르꼬르뷔제에게서 받은 영향에 관한 연구
정인하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v.13 n.1 (199701)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건축적 경험으로 본 김중업 건축에 관한 연구
이준연(Lee, Jun-Yeon) ; 조한(Joh, Hahn)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8 No.2 (201810)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김수근과 김중업 건축의 지역성 구현에 관한 비교 연구
이승헌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3 n.3 (20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