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高麗後期 上流住宅의 宴會空間 樓·亭에 관한 연구 / 令節의 宴會와 建築空間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anquet Space of Ru·Jeong on the Upper-Class Housein the Late Goryeo Dynasty
저자명 이정미(Lee Jeong-Mee) ; 한지만(Han Ji-Ma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4 n.3 (2008-03)
페이지 시작페이지(149) 총페이지(8)
ISSN 12269093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宴會 ; 曲宴 ; 樓 ; 亭 ; 蘭亭//Banquet ; Gok-yeon ; Ru ; Jeong ; Nan-jeong
요약1 본 논문은 高麗時代 住宅의 宴會空間을 고찰하기 위하여 문헌사료를 분석하였으며, 사료의 한계로 연구의 시기와 대상은 高麗後期의 上流住宅으로 한정되었다. 宴會空間 樓?亭의 건축형식의 분석에는 주택에 관련된 사료뿐만 아니라 별서?관청?사찰의 관련 사료도 함께 비교?분석하였는데, 건축형식에 관한 주택관련 사료가 제한적이기도 하지만 동시대, 동일문화를 즐기기 위한 건물은 어디에 건립되든지 일정부분 기본형식이 유지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高麗後期 上流住宅의 구성요소인 연회공간 樓?亭은 통시적 측면에서 현존하는 朝鮮前期 上流住宅의 해석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며, 座主와 門生간의 연회와 건축공간에 관한 연구는 이후의 연구주제가 될 것이다.
요약2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architectural form of the banquet space, Ru(樓) and Jeong(亭) on the upper-class houses in the Late-Goryeo dynasty. The people of Goryeo have enjoyed the poem, drink and a beautiful season on every March 3 and September 9 of the lunar calender. It's a high-class culture, especially getting them bearings and interaction of learning in the upper-class. Banquet time is from march to september of the lunar calender in the flower season. Banquet space is Ru(樓) and Jeong(亭) possible enjoy a fine view. Ru(樓) is big, tall and spacious architectural form of which structure a variety of floor plans was built in the place of overlooks beautiful scene. The Ru(樓) is symbol of the gorgeous building, Opening space had decorated gorgeous balustrade, wall had decorated gold on several houses. Nan-jeong(蘭亭) meating is symbol the banquet of Young-jeol(令節) by a literary man of Goryeo. Most of the banquet have enjoyed the poem and drink(流觴曲水) on the lines of meeting in which Mo-Jeong(茅亭/草亭) were set up with artificially created or natural pond. Result, A simple Jeong(亭) for banquet were built on the nearby or upper of ponds(泉?沼?池) and had decorated an oddly shaped stone and a flowerpot in around. It was honor to that banquet is hold and be invited to the banquet in the house of Goryeo, Maybe, Banquet space Ru(樓) and Jeong(亭) made up a separated territory with pond, it was recognized symbolic space that is representative of the house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조선후기 선자연 치목기법에 관한 연구
김왕직(Kim Wang-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宴會로 본 高麗後期 上流住宅의 堂에 관한 연구
이정미(Lee Jeong-Mee) ; 한지만(Han Ji-M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9 (200809)
高麗時代 住宅의 賓客空間에 관한 연구
이정미(Lee Jeong-Me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10 (200610)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조선시대 주택 꺾음부의 유형에 관한 연구
김정현(Kim Jeong-Hyun) ; 김하나(Kim Ha-Na) ; 전봉희(Jeon Bong-He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6 (200906)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고려시대 목조건축 결구기법에 관한 연구
황세옥 ; 김봉건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911)
高麗時代 住宅에서 堂의 意味와 形式에 관한 연구
이정미(Lee Jeong-Mee) ; 한지만(Han Ji-M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3 n.3 (200703)
‘숭례문 지붕형식 변경설’ 再考
류성룡(Ryoo Seong-Ly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12 (200912)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