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宴會로 본 高麗後期 上流住宅의 堂에 관한 연구 / 座主와 門生의 宴會와 宴會空間의 構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Dang on the Upper-Class House in the Late Goryeo Dynasty - Focused on the Banquet of Zwazu -Munsaeng and Composition of Banquet Space
저자명 이정미(Lee Jeong-Mee) ; 한지만(Han Ji-Ma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4 n.9 (2008-09)
페이지 시작페이지(189) 총페이지(8)
ISSN 12269093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座主 ; 門生 ; 恩榮宴 ; 榮親宴 ; 及第宴 ; 同級宴 ; 堂 ; 裝飾//Zwazu ; Munsaeng ; Eunmunyun ; Youngchinyun ; Gupjaeyun ; Dongupyun ; Dang ; Decoration
요약2 The state examination system for strengthening the royal authority of Korea dynasty,made out new social organization, Zwazu(座主, teacher) and Munsaeng(門生, student). They continued the political relationship by holding various banquetin their home, like Eunmunyun(恩榮宴), Youngchinyun(榮親宴), Gupjaeyun(及第宴), and Dongupyun(同級宴). Specially the Eunmunyun and the Youngchinyun, held under the governmental permission, was the most honorable banquet, because the higher officials and some times the king visited. So the top seat for honored guests must be prepared, and the main hall Dang(堂) on the wide basement, it symbolize the dignity, was used for banquet space. The interior of Dang was decorated by silk curtain. The center of big table was decorated by artificial flower. The top seat faced the east, the other seats faced the south and north. In the time of the end of Korea and the beginning of Joseon dynasty, the chair called Hosang(胡床) and decorated by tortoiseshell, was used, or some times the guests visited with their own chairs. In the banquet for Zwazu and Munsaeng of the latter term of Korea dynasty, usually the orchestral music was performed at the courtyard. So the Dang on the basement, and the empty courtyard under the basement was important.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高麗後期 上流住宅의 宴會空間 樓·亭에 관한 연구
이정미(Lee Jeong-Mee) ; 한지만(Han Ji-M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3 (200803)
高麗時代 住宅의 賓客空間에 관한 연구
이정미(Lee Jeong-Me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10 (200610)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고려시대 목조건축 결구기법에 관한 연구
황세옥 ; 김봉건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911)
조선왕릉 8간(間) 정자각(丁字閣) 고찰
김왕직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805)
多包건축의 귀포 形式 變遷에 관한 硏究
류성룡(Ryoo Seong-Ly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6 (200606)
[논문] 조선후기 靈幄殿 기능수용에 따른 정자각 평면변화 고찰
신지혜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8 n.4(통권 65호) (200908)
고려말 조선초 다포건축 공포의 결구 특성에 관한 연구
이연노 ; 주남철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9 n.8 (200308)
고려시대 대공(臺工)의 결구(結構) 방식에 관한 연구
류성룡 ; 주남철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9 n.6 (20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