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논문] 제2종지구단위계획과 계획단위개발(PUD)의 계획지침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Planning Guidelines between District Unit Plan Type II and Planned Unit Development(PUD)
저자명 안정근 ; 정오락
발행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수록사항 국토계획, v.43 n.7(통권 167호) (2008-12)
페이지 시작페이지(43) 총페이지(14)
ISSN 12267147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제2종지구단위계획 ; 계획단위개발 ; 주택단지 개발 ; 비시가화지역//Second District Unit Plan ; Planned Unit Development ; Residential Site Development ; Non Urbanize Area
요약2 The District Unit Plan Type II applies to environmentally sensitive areas such as Green Zone, Management Zone, Agricultural Zone, and Natural Environment Reserve Zone which are required very carefully to the development of residential, industrial, commercial sites. However, it is possible to develop several types of development without plans or considering environment aspects so that they are required to develop several types of sites satisfying the demand of residents and the harmony with natural environment. PUD can provide sound residential environment by suggesting proper planning guidelines such as development density, green space ratio as well as the coordination with government officers, developers, residents, and expe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everal prosperous directions compare to the planning guidelines between the district unit plan type II and planned unit development systems. This study reaches to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open citizen participation by flexibility of planing process and reflect urban planning committee, and separate the district unit plan type II procedure as a preliminary plan and an actual plan.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flexible planning guidelines for accommodating the demand of residents and local aspects. Third, mixed land use and cluster development should be applied to new development by revising current planning guidelines. Four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en space more clearly and distinguish open space by recreational open space and natural open space. Fifth, it is necessary to apply diverse density incentives for encouraging the development of public facilities and open spaces. Sixth, it is necessary to suggest clear criterion on spatial plan for the better quality of life and environment.
소장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특집] 도시정비사업에서 공공의 역할과 책임 강화
이명훈 ; 변창흠 ; 정철모 ; 유삼술 ; 조필규 - 도시정보(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보지) : 통권 제325호 (200904)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
[특집] 인구감소시대의 도시정책과제
권일 ; 김정연 ; 마상열 ; 송미령 ; 오용준 ; 이만형 ; 장경석 - 도시정보(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보지) : 통권 제346호 (201101)
[특집] 도시재생 : 도시중심지의 종합관리와 과제
배웅규 ; 김상일 ; 김항집 ; 류영국 ; 양재섭 ; 이석환 ; 이제선 ; 임희지 ; 장경철 ; 최정우 ; 홍경구 ; 홍미영 - 도시정보(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보지) : 통권 제343호 (201010)
[특집]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 개정에 따른 지구단위계획 개편방향
이삼수 ; 이희정 ; 유천용 - 도시정보(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보지) : 통권 제347호 (201102)
[특집] 국토이용관리체계의 개편방안
최막중 ; 최봉문 ; 이양재 ; 윤원근 ; 서순탁 ; 이창수 ; 이삼수 ; 김태경 ; 윤혜정 ; 장남종 ; 문채 - 도시정보(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보지) : 통권 제333호 (200912)
[논문] 역사적 건축물 보존에서 지구단위계획의 역할과 과제
이범훈(Rhee, Bum-Hun) ; 김기호(Kim, Ki-Ho) - 국토계획 : Vol.50 No.7(통권 217호) (201511)
도시 공공공간 개선방향 설정을 위한 개념 정립 및 현황 조사 연구
이상민 ; 차주영 ; 임유경 - 연구보고서(기본) : 2007 n.5 (200809)
[특집] 거점확산형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추진현황과 발전방안
김항집 ; 이창호 ; 배웅규 ; 이동환 ; 서수정 - 도시정보(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보지) : 통권 제339호 (201006)
도시계획 분야
2009 건축·도시 연구 동향 참여 연구진 - 2009년 건축·도시 연구동향 : v.5 (20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