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공간환경디자인의 이해와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 /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Design for Better Built Environment
저자명 이상민 ; 고은정 ; 임유경
발행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수록사항 연구보고서(정책), 2008 n.1 (2009-02)
페이지 시작페이지(1) 총페이지(136)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공간환경 ; 공간환경디자인 ; 협력적 디자인 ; 통합적 디자인 ; 프로세스 디자인 ; the built environment ; design for better built environment
요약1 이 연구는 품격있고 지속가능한 건축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공간환경디자인의 개념과 범위를 설정하고, 관련 전문가와 공무원에게 공간환경디자인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켜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출발하였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은 공간환경디자인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을 검토하고, 국내외 관련 사례 분석을 통해 공간환경디자인을 실천하기 위한 기본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중앙정부나 지자체 공무원이 정책을 수립하거나 공간환경 관련 사업을 추진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공간환경’과 ‘디자인’이란 단어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공간환경디자인은 곧 ‘좋은 공간환경 만들기’를 뜻하며, 여기서 좋은 공간환경이란 ‘열린 접근과 자연스러운 연계(access & linkage)’, ‘안전성과 편안함(safe & comfort)’, ‘정체성있는 이미지(identity & image)’, ‘다양한 이용과 유연한 프로그램(use & program)’, ‘지속적인 관리와 운영(ownership & management)’이라는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총체적인 장소를 의미한다. 공간환경디자인의 적용대상은 건축물이 이루는 공간구조, 공공공간, 경관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공간구조는 대지와 건축물이 만들어 내는 관계로, 공간환경디자인은 공간구조를 새로 구축하는 일 뿐 아니라 이를 보존하고 활용하는 일체의 행위를 비롯하여 공간구조를 이루는 개별 요소들의 사이 공간까지 모두 포함한다. 건축기본법에서 ‘가로·공원·광장 등의 공간과 그 안에 부속되어 공중이 이용하는 시설물’이라 정의되고 있는 공공공간 또한 공간환경디자인의 대상이 된다. 특히 이 연구는 도시의 주요한 공공공간으로서 가로·공원·광장 외에도 도시 경관을 형성하는 데 많은 영향을 미치는 도시하부구조물(infrastructure)과 공간환경의 질을 가늠하는 중요한 잣대인 디테일과 재료라는 측면을 포함하여 공간환경디자인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경관은 앞서 언급한 여러 요소들의 총합으로서 공간구조, 공공공간 등이 만들어내는 총체적 환경이다. 도시경관은 그 대상의 범위에 따라 크게 시가지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기본적인 경관과 역사 문화적 가치가 있는 지역, 도시개발사업 대상지 등 특정한 지역의 경관으로 나누어 접근하였다. 공간환경디자인은 이러한 적용대상에 대한 디자인 행위보다는 좋은 공간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접근방식과 그 가치에 더 중점을 둔다. 결국 공간환경디자인이란 건축물, 가로, 공원, 시설물 등 개별 대상물의 질적 향상이 아니라 이러한 대상물들이 어우러진 총체적인 장소를 좋은 공간환경으로 조성하기 위해 도시를 만드는 방식의 근본적인 변화를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여러 분야의 전문가와 다양한 주체의 유기적인 관계형성이 가능한 협력적 디자인(collaborative design), 건축물이 이루는 공간, 공공공간, 공공시설물 등을 총체적으로 인식하여 장소를 만들기 위한 통합적 디자인(holistic design), 삶의 토대로서 생활공간을 만드는 프로세스 디자인(process design)이 공간환경디자인의 필수적인 전제조건이자 중요한 특성이 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열악한 공간환경 현실과 그 원인 진단을 통해 공간환경디자인을 실천하기 위한 기본방향을 다음의 9가지로 정리하였다. 1) 장소의 가치 향상 2) 부분보다 전체 3) 발상의 전환 4) 통합적 총체적 접근 5) 적절한 전문가 활용 6) 적극적 주민참여 7) 다양한 주체의 협력 8) 점진적 사업 추진 9) 지속적 관심. 위의 9가지 실천방향은 지자체 공무원들을 비롯하여 관련 실무자들이 공간환경 관련 사업을 계획하거나 진행할 때 기본적으로 기억해야 할 원칙이 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협력적 디자인, 프로세스 디자인, 통합적 디자인으로서의 공간환경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한 기본이념으로, 앞으로 이것에 따라 구체적인 방법들에 대한 논의들을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이 연구를 바탕으로 한 깊이 있는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요약2 This study intends to establish the concept and scope of ‘design for better built environment’ in order to create a decent and sustainable architectural and urban environment. In addition, the study pursues to raise the awareness of design for better built environment among experts and civil servants in related fields. To achieve this, the study reviews the understanding of and need for the design for better built environment, and provides directions to implementing the design for better environment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establishing policies and implementing projects involving built environment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Design for better built environment’ is a coined term by combining ‘built environment’ and ‘design,’ and defined as creating a ‘good built environment’. A ‘good built environment’ refers to a whole spatial environment satisfying the following requirements; Access & Linkage, Safe & Comfort, Identity & Image, Use & Activities and Ownership & Management. Design for better built environment can be applied to a spatial structure comprising buildings, public spaces and landscape. Here, spatial structure refer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and buildings. In this sense, design for better built environment comprises the entire behaviors of preserving and using the spatial structure, and furthermore, the space between individual elements comprising the spatial structure, as well as formulation of a new spatial structure. The concept of ‘design for better built environment’ can be applied to the public space defined pursuant to the Framework Act on Architecture as a space including streets, parks and squares, and the public facilities within the space. The concept can be also applied to urban infrastructure which significantly affects the formulation of urban landscape, and details and materials which serve as criteria for the quality of a built environment. Lastly, landscape is the combination of all the elements previously mentioned, the whole environment created by the spatial structure and public spaces. According to the scope of the target area, urban landscape can be categorized into a general landscape for the entire city and the landscape of a specific area including historically and culturally valued districts and sites for urban development. Design for better built environment puts more emphasis on the approach to the establishment of a ‘good built environment’ and the value rather than designing of the target space. In other words, design for better built environment pursues a fundamental change in the way of formulating a city so as to transform the entire city comprising all these objects into a ‘good’ built environment, rather than improving the quality of individual buildings, streets, parks and facilities. Therefore, the prerequisites and crucial features of design for better built environment include collaborative design to allow for close relationship between diverse experts and actors concerned, holistic design to generate a place by considering space with buildings, public spaces and public facilities on the whole, and process design which creates a space for living, or a foundation for life.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our poor built environment and the causes, and presents directions to implementing design for better built environment as follows: 1) Enhance the value of a site 2) See as a whole 3) Imagine regeneration of deserted spaces 4) Design with a holistic approach 5) Call for experts 6) Assure participation of residents 7) Collaborate with all stakeholders 8) Promote projects phase by phase 9) Set up a high-quality management and maintenance regime These elements can be used as basic principles for planning or conducting built environment projects by local governments. These nine elements are basic ideologies to realize design for better built environment as a collaborative design, holistic design and process design as well. Finally, follow-up studies are required to further discuss and develop specific methods to implement design for better built environment.
소장처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건축개념으로서 기능의 의미에 관한 연구
서현(Seo 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6 (200906)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건축대전 작품분석을 통해 본 건축형태 구성기법에 관한 연구
구본덕 ; 유희준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v.4 n.2 (198804)
그리드체계의 변형을 통한 형태생성프로세스 연구
한상길 ; 이공희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22호 (200806)
투상도법을 이용한 건축디자인의 형태생성에 관한 연구
박현수(Park Hyeon-Soo) ; 심은주(Shim Eun-Ju)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6 (200406)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특집] 친환경 건축물의 개념 및 계획 방법
윤종호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1 n.2 (20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