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건축·도시공간 아카이브구축 전략수립을 위한 연구 / The Policy Strategy for Building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 Archives in Korea
저자명 유광흠 ; 오성훈 ; 조상규 ; 성은영
발행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수록사항 연구보고서(기본), 2008 n.9 (2009-02)
페이지 시작페이지(1) 총페이지(203)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건축 기록물 ; 도시공간 기록물 ; 아카이브 ; 기록화 ; 박물관 ; Architecture records ; urban space records ; Archive ; Recording ; and Museum
요약1 제1장 서론. 최근 건축 도시 분야의 사회적인 요구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정책 수행 주체가 다변화되고 관련 분야에서 요구되는 디자인 품질 자체가 현격히 높아졌다. 이러한 정책 환경 변화를 뒷받침하고 다양한 정책 주체의 경험이 사회적으로 공유될 수 있기 위해서는 공간에 대한 사회적 기록 관리 체계가 고도화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우리가 처한 현실은, 최적의 설계 대안을 찾기 위해 실시하고 있는 설계현상공모에 제출된 설계 작품들이 마땅한 공공기록물 관리 기준이 없어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고, 도심재개발시 장소의 역사성을 살리고자 해도 개발 이전의 역사적인 공간의 모습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적절한 계획이나 설계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또한 건축 도시 공간 만들기에 정부와 지자체, 시민단체가 참여하고 있지만 다양한 주체들의 정책과 사업에 대한 기록과 정보가 통합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다. 건축기본법 시행령(2008.6.20 제정)제3조 건축정책기본계획의 내용에는 이러한 공간기록정보의 사회적 생산과 유통 체계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건축물과 공간환경에 관한 기록자료의 구축에 관한 사항을 포함할 것을 명시하고 있지만 아직 구체적인 정책 방향이나 실천 전략에 관한 국내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건축 도시공간 기록물에 대한 국가적인 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 방향 및 실천 전략 도출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건축 도시공간 아카이브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관련된 제도 및 정책 사례 분석을 통해 정책 방향을 제안하며 시범기록 구축 연구 및 그 결과에 대한 평가를 통해 구체적인 실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2장 건축 도시공간 아카이브의 개념. 기록물 관리학 분야에서의 아카이브 개념은 개인 혹은 조직의 활동 과정에서 생산된 기록물의 총체, 혹은 그것을 관리하는 기관을 의미한다. 흔히 주제별 수집물로서의 아카이브 개념과, 기록물의 총체로서의 아카이브의 개념을 다소 혼돈스럽게 사용하고 있지만 진정한 의미의 건축 아카이브는 건축가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 공공 및 민간 기록물의 총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건축 아카이브 개념은 건축가의 작품 활동을 중심으로 한 기록물 관리의 개념으로 다음의 두 가지 점에 있어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한국의 건축 도시분야는 빠른 도시화 과정 속에서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며 발전해 왔으며, 이를 감안할 때 건축 공간의 변화는 도시 차원의 정책 및 계획, 사업의 과정 속에서 파악될 필요가 있다. 둘째, 건축물과 도시공간에 관련된 공공 기록물은 다른 분야의 기록물에 비해 역사기록물 단계로 이행되기까지 훨씬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건축 도시공간 기록물의 관리에 있어서 영구 기록물 관리기관 중심의 기록물 관리 정책은 정책적 유용성을 확보하기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축 도시공간 아카이브의 개념을 건축 행위를 포함하는 도시 공간의 변화에 대한 기록의 구축 및 관리를 위한 체계로서 재정의하였다. 제3장 관련제도 및 정책동향 분석. 건축 도시공간의 변화와 관련된 공공 기록물에 관한 제도는 기록물과 정보의 관리와 법률에 관련된 제도 및 법제와, 계획 수립 및 개발 사업에 따른 조사 기록에 관한 법 제도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공공의 기록정보에 관련된 법률은 크게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과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이 있는데,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해 정부 및 공공기관은 정책결정과 사업 시행의 각 단계의 기록물 생산 및 기록물 관리 전문 기관을 설치하고,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에 의해 행정정보와 기록물을 공개하도록 의무화되어 있다. 그러나 건축 도시분야의 공공 정보와 기록물 중 상당 부분은 부동산 투기 우려와 정책 담당자의 업무 수행에 지장을 줄 수 있다는 이유로 인해 공개가 제한되어 왔다. 계획 수립 단계의 공식화된 조사 중, 미시적인 건축 도시공간에 대해서는 지구단위계획 수립시의 현황조사 단계가 의무화 되어 있다. 개발 사업에 따른 조사 기록에 관한 제도는 환경 교통 재해 등에 관한 영향평가법에 의한 환경영향평가, 교통영향평가, 재해영향평가, 인구영향평가와 문화재 보호법에 의한 문화재 지표조사 및 발굴조사가 있지만 이들 중에서 현재의 건축물과 도시공간에 관한 기록을 목적으로 실시되는 것은 없다. 또, 역사적 문화적 관점의 조사 기록이 목표인 문화재 지표조사나 발굴조사도 현존하는 구조물 보다는 과거의 유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현재의 건축 도시공간에 관한 역사적 문화적 관점의 기록 구축의 개념은 취약하지만, 도시 관리와 정책 수립을 위한 국토정보시스템의 구축은 국가의 주요 정책으로서 상당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중장기적으로는 건축물 정보와 결합된 3차원 국토정보 시스템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국토정보사업의 공간기록이 건축 공간 재현에 있어서 충분한 정밀도를 확보하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 디지털 국토 정보는 각 장소에 대한 기록 시점 등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정성적인 공간 정책 수립의 근거로 삼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반면 프랑스나 네델란드와 같은 건축 도시분야 선진국의 경우, 현재 활동하는 건축 및 도시분야 전문가의 활동과 담론을 전시회 등을 통해 공유하고, 아카이브 시설을 통해 관련 기록물의 축적 관리하며 각종 컨퍼런스와 국제 교류 프로그램을 통해 미래지향적 논의를 생산하는 통합적인 체계를 갖추고 있다. 제4장 건축 도시공간 아카이브의 대상과 기록화 전략 연구. 건축 도시공간의 기록은 물리적 형상의 기록 및 관련 정책과 사업 과정 기록의 총체로서 접근해야 하므로 건축 행위를 수반하는 도시개발 사업을 기준으로 기록을 구축함으로써 도시 공간의 변화에 대한 건축적 스케일의 기록을 구축할 수 있다. 건축 도시공간 아카이브의 주요 기록 부문은 계획 및 정책, 사업, 장소의 세 부문이라고 볼 수 있다. 기존의 디지털 국토 정보 정책에 의해서 계획 및 정책은 필지 단위의 토지이용규제의 변화까지 정보가 구축되고 있지만, 장소 그 자체에 대한 기록과 사업 과정에 대해서는 충분한 기록화가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정책적으로는 이러한 부문들에 대한 기록 구축 자체를 강화하고, 관리 및 활용 체계를 개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도시 개발 사업 중심의 기록화 전략에서 가장 많은 투자가 필요한 부분은 장소 자체에 대한 참조적 기록 구축 부분이며 이는 다면적인 접근을 필요로 함은 물론이고 특별한 기술이 요구된다. 이러한 부분에 대한 실천적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피맛골로 알려진 서울시 종로구 일대의 청진도시환경재정비구역을 대상으로 시범 기록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5장 국가 건축 도시공간 기록 관리 체계 구축 방안. 국가적 차원의 건축 도시공간 기록 정책은 건축물과 도시 공간이 우리 문화의 정수이며, 이에 대한 기록은 관련 분야의 정책 개발과 연구의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생산 관리되어야 한다는 기본 인식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건축 도시분야의 정책 수립과 관련 산업분야 및 학술 분야의 발전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관련 정책, 계획 및 사업 시행 과정에 대한 체계적 기록의 구축 및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전문 기록관리 시설의 확보, 관련 기록 생산 및 관리의 고도화, 대국민 정보 서비스의 개발을 포함하는 종합적 정책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 중앙정부 차원의 건축 도시공간 기록관리 정책은 건축기본법 시행령을 근거로 하여 국가건축정책위원회와 국토해양부를 중심으로 추진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또한, 실제 도시개발 사업의 주체는 공기업, 지방자치단체 등으로 다변화되어 있음을 고려하여, 지자체의 관련 조례 개정을 지원하는 작업이 병행되어야 한다. 정책적으로는 서울 도심부 등, 공간의 역사적 기록 구축이 시급한 지역을 (가칭)장소 기록 보존지역으로 지정하여 도시 개발 사업이 시행되기 이전의 현황에 대한 기록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추진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 제6장 결론. 본 연구는 건축 도시공간 아카이브의 개념을 제안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큰 틀에서의 정책 방향 및 실천전략을 제시했다. 특히, 본 연구는 영구 기록물 관리기관에 소장된 건축기록물의 관리 및 활용 방안을 넘어서서, 도시개발 사업 과정을 중심으로 건축 도시공간의 동적인 변화에 관한 기록을 구축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한 실천 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선행 연구들의 논의를 한 단계 진전시켰다. 그러나 연구가 건축 도시분야의 공공기록물에 국한되었으므로 완전한 의미의 건축 도시공간 아카이브 구축을 위해서는 건축가의 설계 활동에 관한 민간 기록물과 학술적 가치를 지니는 서적 등의 관리와 활용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 과정에서 청진도시환경정비구역에 대한 사업 시행 대상지의 참조적 기록 구축을 통해서 피맛골의 원형을 기록할 수 있었던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나, 이는 장소의 역사와 기억에 대한 최소한의 보존이라고도 보기 어렵다. 우리의 삶의 터전에 대한 기록을 남기고, 이를 바탕으로 더 나은 정주 환경을 만들어 나가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지만, 그것은 장소 그 자체를 보존하고 가꾸는 사회적인 노력을 뒷받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때 비로소 가치있는 일이 될 것이다.
요약2 1. Introduction. With recently increasing social demands for the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 players of carrying out policies have become diversified, and quality of design required in related areas has been remarkably improved. To prop up changes in an environment of policy-making and to socially share experiences of diverse policy players, there is a need for advancement in management mechanism of social records with regard to space. Unfortunately, however, this is not the case when it comes to the reality facing us. For example, design models, presented to public competitions of design that are in search of optimal alternatives to design, have not been properly managed due to lack of criteria in public records management. In addition, even if the effort has been made to restore historical significance of corresponding locations during urban redevelopment, the absence of records for what the locations looked like before development has made it difficult to make an appropriate plans or designs. Furthermore, although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civic organizations participate in the creation of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s, records and information on policies and projects of various players have not been managed in an integrated manner. As a matter of fact, in the Article 3 of the Basic architectural Plan from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Fundamental Law for Architecture(enacted in June 20 2008), it is stipulated that issues on establishment of record resources regarding an environment of buildings and spaces should be included in a bid to address problems associated with social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for information of space records. However, studies on specific policy direction or implementation strategies are still insufficient at home.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produce a policy direction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in order to establish national management mechanism dealing with records of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s. To this end, this study redefines a concept of an archive for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s, suggests the policy direction based upon case studies of related system and policies and recommends concrete action strategies by conducting a pilot research into record establishment and evaluating a result from it. 2. Definition of the Archive for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s. A concept of an archive according to record and archive management means all the records themselves, produced in the process of individual or organizational activities or management for the records. In general, 2 concepts of an archive, as a collection of data by theme or as the entire body of records, are mingled together to some extent, but a genuine meaning of the architecture archive is the entire collection of public and private records based on activities of architects. Since such a concept of the architecture archive is one that manages records centering on activities of architects, it has a shortcoming in 2 aspects as follows. Firs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rchitectures and cities, both of which have developed by closely interacting each other, it is necessary that changes in architecture space be understood in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policies, planning, projects for cities. Second, public records related to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s takes much more time to go to a phase of historical records, in comparison to record resources in other areas. Therefore, when it comes to the management of the records of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s, it is extremely difficult that the policy of records management, mainly by the management agency of archives, can secure policy practicality. In this regard, this study redefines a concept for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s as a mechanism of establishing and managing records regarding changes in urban space including architecture activities. 3. Analysis on Related Regulations and Policy Trend. From the comprehensive perspectives, regulations for public records related to changes in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s are divided into 2 areas: regulations and legislation associated with management and laws for records and information; and law and regulations on investigation into and records of planning and development projects. Concerning laws associated with information of public records, there are mainly two laws: one is to cover the management of public records resources; another is to handle publication of information regarding public organizations. 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law for the management of public records, the government and public organizations decide policies, produce records at each stage of project implementation and place a special agency of record management in place. Meanwhile, the law for publication of information regarding public organizations makes it mandatory to publicize information of administrative work and records. However, a substantial part of public information and records for urban and architecture space has been banned to unveil due mainly to worries and concerns about speculation in real estates, and a possible impediment to those who carry out projects. In the process of official examination conducted at the planning phase, status investigation, done when a district plan is made, is required for microscopic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s. The regulation on investigation and records in accordance to a development project covers a series of evaluations for the impacts of environment, traffic and population by the evaluation laws for impacts on environment, traffic and disasters, and relates to investigation into the index of cultural assets and excavation by the protection law of cultural assets. Among them, however, is nothing that can be done to record current architectures and urban spaces. In addition, even investigations into the cultural asset index and excavation, focusing on investigation records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puts relics inherited from the past before current architectures. Although a concept of establishing records from the historical and cultural perspectives on current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 is nothing but insignificant, the establishment of the information system for land resources, needed to manage cities and decide policies, is seen as a key national agenda, attracting substantial amount of investment. Additionally, development of the 3-dimensional information system for land resources is ongoing, combined with information of architectures in the mid and long term. Probably, it will take much time until the space record by the digital information project secures the sufficient level of detail for reproducing architecture space. Furthermore, the digital information of land resources is not enough to be taken as the basis of proper policy-making for space since it does not have clear details, such as when information of each place were recorded. In contrary, advanced countries in the architecture and urban space, such as France or Netherlands, facilitate to share activities and forums of active experts in areas of architectures and cities by providing exhibitions, accumulate and manage related records through archive facilities and are equipped with an integrated system that produces forward-looking discussion through a variety of conferences and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s. 4. Subjects of the Archives and Strategies for Recording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s. The record of architecture and urban spaces should be accessed as the entire process of recording physical shape, related policies and projects, so the record needs to be established based upon a urban development project accompanied by activities of architecture. By doing so, the record at the architecture level for urban space can be established. The major area for records of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s consist of 3 elements, such as policy, project and location. For planning and policy making, even information of changes in regulations for land use by a lot has been collected by the policy of the existing digital information for land resources. However, for the record of each location and the process of a project, work for recording has yet to be sufficient.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efforts to focus on reinforcing the establishment of the record for these areas and developing a system that can manage and utilize them. For the strategies for records based on urban development projects, the area requiring investment most is the establishment of reference records regarding locations. To this end, both a multi-faceted approach and special techniques are necessary. For practical direction to be set in this matter, I, as an author of this study, have conducted a pilot research into record, targeting Cheongjin Redevelopment Area in Jongro-gu, what is known as Pimatgol. 5. The National Record Management System for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s. The Policy on recording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s should be started from regarding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s as essence of our culture, and records for the space should be produced and managed in order to use them as the basis of policy-making and researches in related areas. To set up policies on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s and to prop up development in related industrial and academic areas,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and manage systemic records regarding policies related, planning and process of the project implementation. To make it happen, it is required to come up with a comprehensive policy, encompassing a key issue that secures a special facility of records management, that advances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related records, and that develops the nation-wide service of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people. It is probably desirable that the policy of records management for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 at the level of the central government be implemented mainly by the National Commission for Architectural Policy and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on the basis of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Fundamental Law for Architecture. In addition, work on supporting to reform related ordinances of local governments should be accompanied, considering the fact that main players of a real urban development project have been diversified into public companies, local autonomic organizations and so on. For policies, it will be a better idea to push ahead with a measure that makes it mandatory to record what looked like before urban development project by designating a location that urgently requires historical records establishment for space, like the center of Seoul, as the Preservation Area for Recording a Location (provisional name). 6. Conclusion. his study suggests a concept of an archive for architecture and urban space, and provides a policy direction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in the comprehensive context in order to make this concept reality. In particular, this study, going beyond measures to manage and use architecture records housed in the archives, offers an implementation strategy that can be used to establish, manage and utilize records for dynamic changes in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s on the basis of urban development projects. In this respect, this study raises the level of precedent researches a step higher. However, this study does not go further than public records for architectural and urban areas. Therefore, to establish an archive of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s in the genuine context, it is prerequisite to have follow-up researches with regard to how to manage and take advantage of private records for activities of architects and books with academic value.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even though it was fortunate to be able to record an original shape of Pimatgol by establishing reference records of the area targeted by Cheongjin Urban Redevelopment Project, such a work is far from the preservation of history and memory of the location even in a very narrow context. There is no doubt that it is nothing but important to record our living foundation and make it a better place to live in based on such an effort. However, more important is to pursue an aim to support the social effort to preserve and cultivate locations themselves.
소장처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한국의 건축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초적 연구
전봉희(Jeon Bong-Hee) ; 우동선(Woo Don-Son) ; 이우종(Lee Woo-J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3 (200403)
건축가 아카이브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
조준배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6 (2009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아카이브의 공간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전홍필(Jeon Hong-Phil) ; 이상호(Lee Sang-Ho) ; 임채진(Lim Che-Zin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10 (200810)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특집] 건축 아카이브의 기능과 운영
이우종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47 n.8 (200308)
[논문] 역사적 건축물 보존에서 지구단위계획의 역할과 과제
이범훈(Rhee, Bum-Hun) ; 김기호(Kim, Ki-Ho) - 국토계획 : Vol.50 No.7(통권 217호) (201511)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
해외의 건축아카이브 운영체계와 시사점
엄운진 - AURI BRIEF : n.23 (20100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