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에스테틱과 연계된 피부과의원의 디자인 아이덴티티 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dentity design factors of dermatologic clinic linked with aesthetic space
저자명 주혜라 ; 김영훈 ; 소현아
발행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18 n.4(통권 75호) (2009-08)
페이지 시작페이지(124) 총페이지(8)
ISSN 12297992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에스테틱 ; 피부과의원 ; 아이덴티티//Aesthetic ; Dermatologic clinic ; Identity
요약2 The aesthetics of current dermatology clinics are the main space of dermatology, which is gradually becoming an area of specialty. Paths requiring spatial transition due to the expansion of treatment field in dermatology clinics are currently emerging, meaning that the duty to provide medical and aesthetic environment with high spatial connection must be accompanied. Contrary to past clinics where only functional aspects were emphasized, current clinics require a differentiated environment that considers both aspects of function and aesthetics, centered on the pati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n this perspective is to study the efficient connection between dermatology and aesthetics, while also analyzing identity factors to indicate design factors differentiated from other functional spaces, to apply them as preliminary data for the planning of dermatology clinics. Based on the above, six dermatology clinics located in Seoul were designated for case studies through field studies. Overall, Aesthetics connected to dermatology clinics legally must have separate business registrations and have alternative entrance ways. Currently however, there were many cases where entrance, waiting, reception and receipt were not separated. there were efforts to partially display identities when analyzing design factors that formed the identity of dermatology clinics. However, there were insufficient cases where visual communication factors such as a clinic’s spatial identity, logo, signing system, and applied products were integrated into a coherent theme. At this point when dermatology clinics are becoming brands, all fields must merge for integrated identity effects that go beyond the boundaries of contemporary H.I, to clearly display their identity with the clinics’ professional image and consistent concept.
소장처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피부과 의원의 실내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윤갑근 ; 김양지 ; 문희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3 n.4(통권 45호) (200408)
감성적 아이덴티티를 지향하는 병원 로비공간 디자인 패러다임 변화에 관한 연구
추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9 n.3(통권 80호) (201006)
치과의원의 실내 공간에 나타난 아이덴티티 요소에 관한 연구
최시영 ; 이창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9 n.1(통권 78호) (201002)
성형외과 의원의 평면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박보혜 ; 문정묵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7 n.6(통권 71호) (20081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체험 마케팅 도구로서의 공간 디자인 과정 및 전략에 관한 연구
전유창 ; 김승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8 n.4(통권 75호) (200908)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치과의원에 나타난 공간구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최시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8 n.1(통권 72호) (200902)
스파시설에 관한 기초 연구
이승헌 ; 임미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5(통권 64호) (20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