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공공건축의 디자인 향상을 위한 디자인품질지표 개발 연구 / A Study on Improving the Design Quality of Public Buildings with Indicator Development
저자명 김상호 ; 김영현 ; 이민우
발행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수록사항 연구보고서(기본), 2009 n.8 (2009-12)
페이지 시작페이지(1) 총페이지(222)
주제분류 도시
요약1 [ 제1장 서론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기술개발 투자를 바탕으로 21세기를 주도할 기술?문화선진국으로의 도약을 준비하는 현 시점에서 국가의 문화경쟁력 확보가 새로운 과제로 대두됨에 따라 국가와 도시의 이미지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건축의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이 중 공공건축물은 시민들의 일상적인 삶의 질에 밀접하게 영향을 미치는 커뮤니티시설이며, 이와 동시에 도시이미지를 형성하는 랜드마크로서의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영국에서는 공공건축의 디자인 품질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DQI)을 구축하여 기획단계에서부터 설계, 시공, 유지관리 전 과정에 걸쳐 설계자와 사업수행주체, 관리주체, 사용자 등이 모두 참여하여 디자인품질을 평가하고 바람직한 대안을 찾아가는 프로세스를 시스템화하여 관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공공건축 디자인품질 실태를 파악하여 공공건축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디자인 향상을 위한 실현방안의 하나로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선행연구로서 디자인품질지표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 제2장 공공건축에 대한 인식변화 ] 영국을 비롯한 해외 선진국에서는 도시이미지 향상을 위해 공공건축을 대상으로 다양한 정책들을 시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최근에는 공공부문이 주도적으로 공공건축의 디자인 향상을 위해 ‘국제공모전’을 비롯하여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을 수립하는 등 다양한 노력들이 전개되고 있다. 또한 국가차원에서 건축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건축정책기본계획에서도 공공건축물에 대한 디자인 품질제고를 위한 다양한 정책마련을 준비하고 있다. 좋은 공공건축물은 외적인 아름다움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와 수요에 충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한다. 또한 안전하고 쉽게 접근가능하며, 용도별 기능을 충실히 수행함으로써 지역사회의 커뮤니티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공공건축 조성과정에 설계자, 지역전문가, 시설관리자, 주민 등 이해당사자간의 의견수렴을 통해 다양한 요구를 반영 할 수 있는 프로세스가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공공건축은 공급자 중심의 의사결정 체계에 따라 조성됨으로써 지역마다 유사한 기능을 지닌 획일적인 계획이 이루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공공건축의 설계방향을 결정하는 초기 기획업무가 실무담당자에 의해 일률적인 행정업무로 수행되고, 예산상의 문제 등으로 지역전문가의 참여가 제한되어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계획을 통한 수준 높은 도시환경을 조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공공건축이 지역사회와 주민을 위한 이용자 중심의 공간으로 커뮤니티공간으로 조성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일방향적 건축디자인 생산·관리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자간 협력을 전제로 한 이해당사자들의 참여와 효율적인 합의형성 과정을 담은 새로운 프로세스의 개발이 절실하다. [ 제3장 우리나라 공공건축의 조성 현황 ] 본 장에서는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의 구체적인 활용대상으로서 중앙정부와 지자체 및 공공기관이 소유한 건축으로 연구범위를 설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기초조사로서 우리나라 공공건축의 규모 및 분포현황을 살펴보고, 지역사회 및 불특정다수의 방문객 등을 고려한 ?공익성 측면?, 설계자 입장에서 고려하는 ?디자인 측면?, 공공건축을 발주하고 사용하는 ?사용자 측면?의 세 가지 측면에서 디자인품질 실태를 조사?분석하였다. 또한 공공건축 조성과정인 기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단계별 참여되는 이해당사자간 합의도출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우선 첫째, 기본구상 단계에서 지역사회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현재에는 대부분 담당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기본구상을 하여 공공건축의 면적, 프로그램, 소요예산 등에 대한 전문적 검토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공공건축의 설계 이전단계인 기획부터 관계 전문가나 지역주민에 대한 여론조사 등을 통해 지역사회의 상황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지역주민의 의견수렴을 위한 창구가 필요하다. 현재 개별적인 공청회나 주민공람 등을 통해 형식적으로는 지역주민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지만 공공건축에 대한 실질적인 사용주체로서 지역주민이 공공건축 조성을 위한 의사결정과정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실정으로 별도의 절차를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심의 및 인허가 절차에서의 일관된 기준이 필요하다. 현재의 심의 및 인허가 과정은 각기 다른 기준에 따라 심사가 이루어지고, 그 결과를 예상할 수 없기 때문에 설계업무 측면에서는 비효율적인 면이 상존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과업지시서 뿐만 아니라 심의 및 인허가 과정에서 발주자와 지역사회의 사용자, 설계자의 요구가 별도의 합의과정을 거쳐 일관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 제4장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의 역할 ] 영국에서 선도적으로 개발?시행하고 있는 DQI(Design Quality Indicator)시스템은 공공건축물의 조성과정에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이해당사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참여주체별로 각기 상반된 의견에 대한 의사결정 및 합의도출을 최단기간에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궁극적으로 공공건축의 디자인품질을 향상하고 조성과정에 투입되는 시간과 공공건축의 전생애에 걸친 비용을 단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서는 설계자, 시공자는 물론이고, 관리자와 최종 사용자 등 모든 관련주체들이 DQI 프로세스 상에서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건축물의 실체를 구조화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DQI는 영국 내 공공건축 프로젝트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관리도구로서 그 활용의 폭이 학교나 병원건축 등으로 점점 세분화되어 넓어지고 있다. 영국의 DQI 사례가 국내의 공공건축 디자인 프로세스 개선에 시사하는 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획 및 설계과정에서 다양한 참여자의 의견수렴을 적극적으로 도모하는 데 있다. 사용자가 생각하는 좋은 디자인과 시설관리자, 건축가가 생각하는 좋은 디자인은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사고와 의견의 폭을 좁히는 것이 곧 DQI의 역할이라 할 수 있다. 둘째, 디자인 기대수준에 대해 각 디자인 요소별 정량화하여 설계자가 미처 파악하지 못한 문제점이나 미흡한 점을 보완하는데 효율성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했다. 셋째, 건축물의 외관 이미지뿐만 아니라 공공건축이 지녀야 할 공공성, 안전성, 기능성, 사용성 등 본연의 가치에 대한 인식 변화를 유도하였다. 우리나라의 공공건축 조성과정에 적용 가능한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가 만들고자 하는 공공건축의 이상적인 모습을 설정하고, 그 이상을 실현할 수 있는 현실적인 디자인품질지표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디자인품질지표의 목표와 기대효과로는 첫째, 공공건축이 지향해야할 디자인 가치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두 번째로는 공공건축의 기획을 담당하는 실무담당자가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계획 및 설계단계에서 중간점검을 위한 자가진단의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넷째, 다양한 시설이용자들의 의견수렴을 위한 효과적인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다섯째, 심의과정에서 심의위원이 프로젝트의 이해도를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는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 제5장 공공건축 디자인 관련 지표 ] 본 장에서는 디자인품질지표 개발을 위해 좋은 공공건축에 대한 의미와 개념을 정립하여 디자인 품질 향상을 위한 3가지 기본원칙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사회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역시설이자 그 지역의 문화가 형성되고 집적되는 공공공간의 기능을 수행하여야 한다. 둘째, 도시 또는 지역의 맥락과 조화를 통해 가치를 높이고 이용을 활성화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공공건축 본연의 기능과 동시에 지역주민을 위한 공간을 담는 등 적합한 공간배치와 기능을 고려하여 합리적 사용성을 추구하여야 한다. 이러한 공공건축의 3가지 기본원칙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디자인 관련지표 pool을 도출하기 위해 국내?외 공공건축 디자인 관련 제도에서 활용되고 있는 지침 및 평가항목으로 영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DQI 및 Design Review 검토사항, 국내 공공건축물 현상설계지침서, 서울시의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 및 ‘공공디자인 도입효과 평가시스템’,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좋은건축물 지정제도’, 국내?외 친환경인증제도에서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지표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 제6장 공공건축 디자인품질지표(안) ] 5장에서 정리된 디자인품질지표 pool에 대해 그 성격과 특성들을 분류하고 대표되는 항목과 부문을 설정한 후 위계에 따라 지표와 세부지표로 구분하였으며, 각 세부지표별로 법적 검토 과정을 거쳤다. 또한 2차례의 전문가 자문 및 설문조사를 통해 지표의 현실 적용가능 여부와 지표들 사이의 중복성을 재확인하여 ?공익성?, ?디자인?, ?사용성?의 3개 항목, 9개 부문, 76개 지표로 구성된 디자인품질지표를 개발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디자인품질지표를 활용하여 국내에 조성된 공공건축 가운데 모든 주민의 이용이 가능하고, 널리 알려진 건축물로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대규모 문화시설인 ‘국립현대미술관’, 지자체의 행정 및 주민서비스를 지원하는 청사로서 ‘동안구청’, 최근완공되어 서비스를 시작한 ‘국립디지털도서관’, 안양시 공공예술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포투갈의 건축가가 설계한 ‘알바로 시자(Alvaro Siza) 홀'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시행하여 디자인품질지표를 재검증하고, 2차년도에 개발될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의 개발 방향을 모색하였다. [ 제7장 결론 ]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은 공공건축의 조성과정(기획,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단계) 전반에 걸쳐 적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지만, 1차년도 연구에서 제시하는 디자인품질지표(안)은 우선 설계단계(설계과정에서의 기획-계획-설계-시공전단계)에 초점을 두어 개발이 이루어졌다. 이 장에서는 차후 조성단계별로도 적합한 지표개발이 이루어진다는 가정 하에 단계별 활용방안에 대해 정리하였다. 2차년도 연구에서는 현재 국토해양부 주관으로 진행되고 있는 건축디자인시범사업에 접목하여 다양한 지역전문가 및 참여주체의 의견수렴을 통해 공공건축의 유형별?조성과정별 차별화된 지표로 발전시키고, 실제 공공건축 프로젝트의 기획, 설계, 시공단계별 시뮬레이션을 통해 현실성 있는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건축디자인시범사업을 위해 구축한 홈페이지에 시스템을 연동하는 방안을 검토하여 궁극적으로는 웹기반의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요약2 Public buildings have impacted on the quality of citizen’s ordinary life as a function of community and have a very important role as a landmark that form a cityscape. However, previous public buildings have been constructed through the decision making system based on the supplier only; therefore, it has led to an uniform planning, which all local areas have similar function. Especially, there were many problems that practical businessmen executed in the early stage of planning works as an administrative work, and the participation of local specialists were limited by the lack of funds to create high quality urban environments through a systematic and specialized plan.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real condition of the design quality of public building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public buildings and to develop the design quality indicator for setting up the managing system of design quality as a practical method for improving design. This research establishes the meaning of good public buildings to develop the design quality indicator and suggests three basic principles to improve the design quality. Firstly, public buildings have to impact directly and indirectly on local society as a local facility and carry out the functions of public buildings that form and integrate local cultures. Secondly, public buildings have to increase its value through balancing urban areas and local areas and invigorate its use. Thirdly, public buildings have to pursue a reasonable use by its own function, considering suitable space distribution and function, such as including a space for local residents. To draw a concrete design indicator pool, this study has collected and analyzed diverse kinds of indicator which are used in design-related system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such as DQI and Design Review which are used in UK, public building design guidelines of national competition, ‘Design Guideline of Seoul’, ‘Evaluation system of Public design effect’, ‘Good design Building endorsement of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in Korea’ and national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assessment methods based on the three basic principles of public buildings. This research classifies this design quality indicator pool by its nature and character. It divides into indicators and detailed indicators by its hierarchy after setting up typified contents and sectors, and examines legal process by each detailed indicator. In addition, this research reconfirms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indicator, and the overlapping between indicators through two times through the professional consultants and questionnaires. And then it develops the design quality indicator which is composed of 3 contents: Publicity, Design, Serviceability, 9 sectors and 76 indicators. By using the design quality indicator, this research implements simulations among the established public buildings in Korea such as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 grand scale cultural facility, ‘ public office’ : supporting local resident service, ‘National Digital library of Korea’ : recently completed, ‘Alvaro Siza Hall’: designed by Portuguese architect. Furthermore, it re-evaluates the design quality indicator and search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design quality managing system which will develop at the second year. The proposed indicator of this research has a meaning, which is the minimum ‘example indicator’ to develop the system of the beginning stage. At the second research, the research will improve and compensate differentiated indicators of public buildings by its type and making process, and will suggest concretely a practical application through establishing the design quality managing system based on the web.
소장처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공공청사 건축디자인 기준 설정 방안 연구
염철호 ; 임현성 - 연구보고서(기본) : 2010 n.2 (201012)
[논문] 역사적 건축물 보존에서 지구단위계획의 역할과 과제
이범훈(Rhee, Bum-Hun) ; 김기호(Kim, Ki-Ho) - 국토계획 : Vol.50 No.7(통권 217호) (201511)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
[특집] 친환경 건축물의 개념 및 계획 방법
윤종호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1 n.2 (200710)
저탄소 시대의 친환경건축물 기술/사례
조욱희 - (사)한국그린빌딩협의회 창립 10주년 기념대회 : (201004)
장소 가치향상을 위한 공공건축 통합화 방안 연구
조준배 ; 임현성 ; 서수정 ; 권미주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3 (20090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