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학교시설의 성능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 A Study on Strategy and System to Achieve a Well-designed School Building
저자명 성은영 ; 조상규 ; 고은정 ; 이진민
발행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수록사항 연구보고서(기본), 2009 n.10 (2009-12)
페이지 시작페이지(1) 총페이지(255)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학교시설 ; 디자인 성능관리 ; 디자인의 질 ; 설계 협력 ; school building ; design quality management ; design quality ; monitoring and involvement in design process
요약1 [ 제1장 서론 ] 학교시설을 이용하는 초중등 교육시기의 12년 간은 일생의 인격과 소양, 학습능력의 기초를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우리나라 인구의 16%인 초중고교 학생이 하루 8시간이상을 보내는 학교시설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학교시설의 질의 중요성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실제로 학교시설의 질은 학생의 학업성취도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사실은 교육에 대한 관심과 열정이 남다른 국내에서도 시설의 질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최근 저출산?고령화,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 등 급변하는 사회의 수요에 따라 학교시설은 열린 순환학습체제(open-ended), 지역사회 학습센터 및 학습조직형(re-schooling), 네트워크형 및 탈학교형(de-schooling) 등의 미래 교육체계를 지향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학교 기능과 역할도 변화하고 있다. 프랑스, 영국 등 선진국들도 “고품질 학교(quality)”, “공동체 학교(community)”, “장벽이 없는 학교(barrier-free)”, “친환경 학교(green, eco)” 등을 위한 학교시설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이러한 국제 정세에 발맞추어 우리나라도 지역커뮤니티의 중심으로서 학교건축을 활용하기 위한 “학교시설복합화” 나 친환경 학교시설로의 변화를 위한 “녹색학교(Green School)” 등 다양한 학교시설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정책 지원을 받는 일부 학교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내 학교시설은 여전히 10여년 전의 학교시설 설계기준을 따라 설계?관리되고 있으며 시설의 노후관리나 양적 충족에 급급한 실정이다. 더욱이 최근 건설에 부족한 재원을 충당하기 위해 도입된 임대형민간투자방식(BTL)에 의해서 지어진 신설 학교시설의 경우에도 외장재료와 조형성 등 외관의 가시적 변화에 치중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공간의 질이라는 정성적인 명제는 정량적인 기준보다는 사용자의 만족도라는 물리적 여건은 물론 사회문화적인 여건이 반영되는 종합적 기준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학교시설의 질도 공간 사용자의 만족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 만족도는 학교시설이 교육과정과 교육적 수요와 사용자의 요구를 수용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도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지향할 때 담보할 수 있다. 학교시설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공간의 계획과 조성시 사용자와 사회의 요구를 파악하고 그것들이 공간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설계?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시설을 사용하는 주체가 디자인과정에서 배제되고 있는 현재의 학교시설 설계과정에서, 사회적 여건 변화나 사용자의 요구들이 공간 구성에 반영되기는 쉽지 않다. 이러한 국내 학교시설의 설계 문제를 인식한 일각에서는, 영국의 학교시설을 위한 디자인 품질 지표(DQIfS)와 같이 획기적인 도구의 도입을 통해 학교시설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반영해야 한다는 논의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해외의 선진제도나 정책을 도입하여 국내에서 성공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국내 여건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세부적인 도입 전략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학교시설에 대한 다양한 사회, 문화적 요구를 수용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학교시설을 설계, 시공하기 위해서는 학교시설의 디자인 성능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해야할 시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우리의 학교시설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 디자인 현황 및 디자인 성능관리 현황을 체계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 여건 속에서 다양한 학교시설에 대한 요구를 공간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디자인성능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여건을 분석하는 기초조사 연구로서 기획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학교시설 디자인의 여건과 수요를 파악하고 그 수요에 대한 디자인 반영 현황 및 디자인 관리 현황을 파악하여, 학교시설에 대한 논의를 다양화하고 관계자들의 참여가 가능한 디자인성능관리체계의 구축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제2장 학교시설 디자인 성능관리의 개념 ] 공간디자인의 질은 무형의 개념으로서 사용자의 만족도에 의해서 평가할 수 있다.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전문가의 역량 및 경험을 발휘하여 설계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설계안의 발전과정에 대한 논의와 참여구조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논의와 참여를 통해 설계안을 발전해 가는 과정을 “학교시설의 디자인 성능관리”로서 정의하였다. 학교시설의 디자인 성능관리 방법으로는 ① 합리적이고 융통성 있는 디자인 기준과 검토 항목 마련, ② 설계과정 속에서 평가와 모니터링을 통한 지속적인 성능관리, ③ 참여주체의 부족한 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전문가의 육성과 지원, 그리고 ④ 설계안의 피드백을 통한 사용자의 의견 반영을 설정하여, 본 연구에서 상기의 개념들을 중심으로 디자인 성능 및 디자인 성능관리 현황 분석을 실시하였다. [ 제3장 학교시설의 디자인 성능현황 분석 ] 본 장에서는 학교시설에 대한 다양한 수요와 요구를 파악하고 현재의 학교시설이 그러한 요구를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학교시설의 건설여건 변화를 분석하고 학교시설에 대한 사용자 인식조사와 디자인 성능현황조사를 실시하였다. 학교시설에 대한 사용자 인식조사 결과, 학생과 학부모 등 학교시설의 사용자는 여전히 우리의 학교시설이 학교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획일적인 외관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환기, 통풍, 방음과 같은 기본적인 시설의 성능에 대해서도 낮게 평가하고 앞으로 우리의 학교시설은 창의적인 공간과 형태를 가진 첨단시설이 되기를 희망하였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열린 교육 및 제7차 교육과정 실시 등 실제적으로 변화해온 학교시설과 관련된 새로운 관심과 요구는 현재까지 학교시설의 계획과 설계에 얼마나 반영되어 왔을까? 최근의 학교시설의 설계 패러다임을 선도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교육과학기술부 선정 “우수시설학교”를 대상으로 공간구성과 디자인을 조사, 분석하였다. 약10여년간 학교시설의 외관 및 형태 구성이 다각도로 변화하였다. 중앙홀을 개방하여 다목적 공간으로 구성하였으며 연결통로에서의 다양한 공간체험을 유발을 의도하고 하는 등 공간구성을 다양화하려는 시도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형태구성과 창호 패턴, 외장재료를 다양화하는 등 외관상의 변화는 괄목할 만하다. 그러나 다양한 외관과 장식이 내부의 기능과 유기적으로 연계되지 못하고 있었으며 새로운 교육프로그램을 공간화하지는 못하고 있었다. 우리의 학교는 여전히 기존의 무채색 직육면체의 건물과 군대의 연병장 같은 운동장으로 구성된 공간형식을 탈피하지 못하고 현란해진 외장재료와 육중해진 매스의 변화 등만 있는 실정이다. [ 제4장 학교시설의 디자인 성능관리 사례 분석 ] 해외의 선진국에서는 학교시설 디자인성능 향상을 위해 다양한 체계와 기준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영국의 경우, 정부가 학교시설의 설계 및 건축의 전 과정에서 여러기관의 이해관계자간 능동적인 참여와 협의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를 위해 디자인 리뷰, 학교시설을 위한 디자인품질지표(DQI for Schools) 등을 활용하여 획기적인 개선을 도모하였다. 일본의 경우, 학교시설 설계에 지역주민, 전문가, 학교 모두가 학교만들기 추진위원회의 구성원으로서 참여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기본구상, 설계자 선정, 기본설계, 실시설계, 운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고 있으며 지자체는 조례제정을 통해 협력적 프로세스를 지원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학교시설의 설계프로세스에 합리적인 의사결정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학교시설 설계에 대한 대부분의 결정권한을 갖고 있는 교육위원회는 지역 주민을 대표하는 기관으로서 제도적 기반은 물론, 지역주민으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은 전문가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학교시설의 다양한 설계 협력과 모니터링 체계를 우리나라에서도 부분적으로 운용하고 있으나 우리의 설계과정에서는 발주처와 설계담당자간의 다소 제한적인 설계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 제5장 학교시설의 디자인 성능관리 방안 ] 본 장에서는 사회 여건의 변화와 사용자의 요구를 담지 못하고 있는 학교시설 디자인의 현황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먼저, 국내 학교시설의 디자인 성능관리현황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학교시설 건설사업의 프로세스는 크게 재원의 투입 방식에 따라 국가예산에 의한 재정투자사업과 민간투자사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재정투자사업의 설계자 선정은 입찰상식과 현상공모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민간투자사업의 경우 입찰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세 가지 설계추진 방식에 따라 학교시설의 디자인 성능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황을, 실제 학교의 설계과정사례들의 심층 조사를 통해 ① 기획 및 설계과정, ② 설계기준 및 검토 항목, ③ 설계과정에서의 논의 구조와 설계 모니터링, ④ 사용후 평가 및 만족도로 나누어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개선과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기획단계를 설계단계에 포함시켜 각 학교의 사회적 수요와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명확한 목표 설정해야 한다. 기존 학교시설의 목표설정단계는 발주처의 설계용역 발주기획 단계에서 행정프로세스로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목표가 추상적이고 개념적이며 이를 설계를 통해 공간으로 구현하기는 요원하다. 둘째, 학교시설의 설계에 심의, 자문, 사용자 의견 참여 등의 피드백과 모니터링을 실제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발주처와 설계용역사로 이원화된 설계협력 체계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를 통해 다각화해야 한다. 셋째, 미래 여건 변화를 수용하기 위한 다각도의 논의가 필요하다. 현재의 학교시설 설계지침과 성과요구수준서에는 융통성과 적응성에 대한 논의 기준도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넷째, 학교시설의 설계에 공간 설계 전문가와 교육전문가 등 학교시설에 관련된 다양한 전문가가 참여해야 한다. 현재는 학교시설 설계에 건축, 도시 및 시설 전문가만 참여하고 있으나, 교육의 정책과 프로그램을 공간화해야 하는 학교시설의 역할과 가치를 고려할 때, 교육전문가의 참여와 사용자인 학생의 참여는 필수적이다. 우리의 학교시설의 설계과정에서 실시하고 있는 다양한 협력과 모니터링 체계가 실효성 있게 운용되기 위해서는 학교시설의 역할과 가치에 대한 근본적 의식과 사고에 대한 획기적인 전환이 필요한데, 이러한 사고의 전환을 위해서는 영국의 DQIfS를 학교시설의 디자인성능관리 도구로서 활용할 만하다. DQIfS는 이해관계자의 참여 및 합의형성 과정을 지원하는 사고의 도구로서 기획단계에서의 디자인 방향 설정 및 일관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초기목표설정이 명확하지 않고 시간 및 예산의 여건 상 시공과정에서 설계 변경이 잦은 국내 여건에서 초기 기획단계를 정착시킬 수 있는 도구로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설계에서 협력과 모니터링이 체계화되어 있는 영국과 다른 국내 현실에서는 평가지표를 간소화하고 비전문가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리더와 전문가의 육성지원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국내 학교시설의 디자인관리 현황과 DQIfS를 활용하는 영국의 학교시설 디자인관리현황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학교시설 디자인 성능관리체계를 구상하고 운용방안을 제안하였다. 학교시설의 디자인 성능관리체계는 디자인 기획 및 설계단계에서의 참여와 지원, 협력과정과 도출된 설계안에 대한 모니터링과 피드백과정으로 구성된다. 학교시설 디자인 성능관리체계는, 기본적으로 사회적 요구와 미래의 여건 변화에 대응할 수 있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와 의견수렴이 용이하고, 설계 초기 단계에서 명확한 목표와 방향이 설정되어 건설 전과정에 반영될 수 있으며, 교육과 시설에 대한 상호보완적 사고를 기반으로 운용될 수 있는 체계를 지향한다. 또한 체계의 운용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좋은 학교시설에 대한 의식과 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학교시설의 디자인 성능관리체계의 구체적 구성 및 단계별 운영 방안을 다음의 네 가지 단계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기획 및 설계 프로세스 체계를 정비하고 참여구조를 개선을 우선적으로 추진한다. 설계과정에 기획단계를 포함하여 학교시설의 목표와 방향 설정단계를 체계화하고 초기의 디자인 과정에서부터 설계관계자 및 사용자의 참여를 통해 전략적으로 교육과 설계논점들에 대해 함께 검토함으로써 교육시설의 투자가치의 향상을 도모한다. 이 단계에서는 교육전문가와 시설전문가의 협력을 통해, 교구와 학습공간의 연계방안이나 동선, 교과과정에서 필요한 활동에 대한 고려는 교육전문가의 실제적 경험을 통해 공간에 반영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학교시설의 전문가 풀을 등록하고 인증받는 전문가들이 학교시설 설계의 모니터링과 피드백 과정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구조화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다양한 이해 관계자의 참여와 다각도의 디자인 논의를 위한 학교시설 디자인성능관리 툴을 개발한다. 툴의 개발은 개선된 설계과정과 참여구조에서 학교시설 디자인에 필요한 논의 및 평가 항목의 운용을 중심으로 추진한다. 세 번째 단계는 학교시설의 디자인 성능관리체계의 실용화 단계로서, 체계의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 적용 방안이나 변형 운용에 대한 제재 방안 마련을 통해 바람직한 운용의 가이드를 제시 한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학교시설의 디자인 성능관리체계의 안정화 및 확대?발전 단계로서 미래 수요와 사용자 요구를 조사를 시행 한다. 이를 정기적 수요조사로서 시행하고 교육정책과 국내 여건 변화에 따른 당해 학교 및 지역사회, 해당학교의 사용자의 여건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또한 학교시설에 대한 미래 수요 및 여건 변화 조사보고서를 작성 및 배포하고, 이를 기획단계에서 활용하도록 하여 상기 3단계가 지속적으로 연동하여 피드백, 보완할 수 있도록 한다. [ 제6장 결론 ] 본 연구에서 수행한 일련의 조사와 연구과정들은 학교시설의 디자인 품질을 제고하기 위한 논의의 기초적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학교시설의 디자인 성능관리를 위하여 논의와 참여 구조를 개선한 학교시설의 디자인 성능관리 체계를 구상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는 학교시설의 디자인 성능관리를 위한 다양한 정책 도출의 단서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디자인은 시간과 돈, 질에 대한 중요도간의 균형에 의해 결과물이 도출된다. 그 만큼 학교시설의 설계의 질 향상에 재정과, 설계기간이 영향을 미치게 되지만, 학교시설의 설계과정에 관여되는 요소가 너무나 다양하여 요소간 인과관계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으므로 이 연구에서는 예산과 시간의 문제를 배제하고 디자인 성능관리 현황을 참여와 논의구조 측면으로 단순화 시켜 살펴볼 수밖에 없었다는 불가피한 한계가 있다. 또한 수요와 여건 변화를 살펴보고 디자인 성능에 반영된 현황을 분석하여 선진 사례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시설의 성능관리를 위한 보다 적극적인 관리체계를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극적으로 제시하지 못한 학교시설의 디자인 논의 툴의 개발과 적용방안은 향후 학교시설의 디자인 평가지표 개발과 운용방안 마련 연구를 통해 체계적으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학교시설의 미래 수요조사와 사용자 요구조사 개발에 관한 연구를 통해 교육정책과 국내 여건 변화에 따른 학교 및 지역사회, 사용자 여건 변화를 예측하고 모든 학교시설이 미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시설을 지향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이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시설의 질 제고를 위한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 및 안정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요약2 The importance of school building quality is unquestionable when more than 7.6 million school children, or 16% of Korea's population spend at least 8 hours a day in school buildings. School building quality has a huge influence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Lance W. Roberts, 2008), and this is arousing public interest in school building quality in Korea, a country where people have great fervor for education and the location of schools has a big impact on local communities. The function and role of school are changing according to various future-oriented education models such as open-ended learning cycle, community learning center, re-schooling, network system and de-schooling, which reflect recent social demands related to discussions on sustainability, low birth rate and ageing. However, most schools in Korea are being designed and managed based on the school building design standards set more than 10 years ago. School buildings constructed as BTL (Build-Transfer-Lease) projects, a method introduced for financing, tend to focus only on external appearance, including exterior materials and shape, due to the flaws of the BTL process. It is important to design and manage school buildings according to the needs of users expressed in the planning and design process, so that users can have a greater satisfaction with school buildings. In Korea, however, only architect and officials of local education authorities participate in the process, and users, their needs and changes in social conditions are ignored. Therefore, a more systematic design quality management is required to design and construct school buildings that address and respond to various social and cultural needs. We need to begin with taking a close look at the needs for school buildings, current state of school building design and its quality management. This study suggests "cooperative system for well-designed school" as a process of enhancing the participation of stakeholders in order to increase user satisfaction as well as design quality by reflecting design experts' experience. It also proposes four method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operative system suggested above: rational and flexible design standards and review criteria, continuous quality management through review and monitoring in the design process, support for experts who can make up for any shortcomings of participants, and reflection of users' opinion through feedback on the design.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a survey on user awareness and design quality of school buildings, which was conducted to identify various demands and needs for school buildings and analyze how well the existing school buildings address them. The survey shows that, despite the fact that a lot of investment and efforts were made to improve school building design for the last 10 years, users still have unfavorable views on the exterior and image of school buildings that are lacking variety. It was also found out that school buildings are not satisfying the demands of society, which is changing fast due to low birth rate and ageing. The needs of users now being neglected include diversification, quality improvement, multi-purpose classroom or subject-specific classroom. Schools in Korea still have monotonous, square shape buildings and playgrounds that look like drill grounds of the military, with some partial changes being larger size of buildings and more diverse exterior materials. What are the causes of the gap between the design needs and the current situation? This study argues that it is because the demands and needs are not reflected in the design process of school buildings. It also presents problems of school building design and solutions to them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current state of design quality management in Korea. First, planning needs to be included in design process so that each school can set a clear goal for addressing social demands and characteristics. Second, monitoring and feedback mechanism, including review, advice and user opinion hearing, needs to be utilized in school building design. Third, how to respond to future changes in surrounding conditions needs to become a topic for discussion. Fourth, the range of participation, now confined to architects and urban engineering experts, needs to be expanded. Considering the fact that school buildings embody education policies and programs, education experts and students, who actually use them, should be included in design process. Our thoughts on the role and value of school buildings need to undergo a fundamental change, so that the cooperation and monitoring system that now exist in school building design process can work effectively. In this respect, we can take note of the DQIfS (Design Quality Indicator for Schools) of Britain. The DQIfS ensures consistency of design policy that is determined in the planning process. Thus, it can be utilized as a tool to set clear design goals in the beginning stage and prevent them from changing frequently due to time and budget restraints. However, as Korea has different circumstances from Britain, we need to make the review criteria simpler, and come up with management skills such as holding workshops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non-experts. Based on the demands and needs for school building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ir design found out in various surveys and analysis described above, this study proposes a cooperative system for well-designed school and its management strategies. Cooperative system for well-designed school basically consists of two parts: participation and support in the planning and design process, and monitoring and feedback on the proposed design. The system includes four management steps. First, participation structure, together with planning and design process needs to be improved. It needs to be recognized that construction begins with planning, and architects and users need to participate from the beginning so that the investment can result in higher school building quality. Education and school building experts needs to be organized into a network so that they can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their monitoring and feedback process is well-structured. Second, a design quality management tool needs to be developed. Third, guidelines for an appropriate management of the cooperative system for well-designed school needs to be suggested. It could include incentives for active application of the system or punishments for illegitimate management. Fourth, surveys on future demands and users' needs should be conducted regularly, and the results need to be utilized in the planning process. These surveys and research can be used as basis for creating a more systematic strategy to improve design quality of school buildings. Discussions and the cooperative system for well-designed school with an improved participation structure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s for developing various policies for school building design quality management.
소장처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저탄소 시대의 친환경건축물 기술/사례
조욱희 - (사)한국그린빌딩협의회 창립 10주년 기념대회 : (201004)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미래사회에 대응하는 학교건축 계획방향에 대한 기초연구
송병준 ; 주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0 n.1(통권 84호) (201102)
조적벽의 CO2 배출비용을 포함한 건설원가 비교에 관한 연구
이병윤 ; 김보라 ; 김광희 -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 v.10 n.3(통권 제41호) (201006)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공공건축의 디자인 향상을 위한 디자인품질지표 개발 연구
김상호 ; 김영현 ; 이민우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8 (20091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접이식 철근 선조립 공법의 적용 가능성 검토에 관한 연구
정영철 ; 이병윤 ; 김광희 -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 v.10 n.2(통권 제40호) (20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