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유치원의 통합적인 설계기준 마련을 위한 방향설정 연구 / A study on the Directions for a Integrated Design Guideline of the Kindergarten
저자명 조준배 ; 엄운진 ; 심경미
발행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수록사항 연구보고서(정책), 2009 n.5 (2009-11)
페이지 시작페이지(1) 총페이지(26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유치원 ; 통합적 설계기준 ; 유아교육시설 ; Kindergarten ; Integrated Design Guideline
요약1 제1장 서론. 맞벌이 부부의 증가에 따른 저출산 문제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늘어나는 사교육비에 대한 대책으로 유아 교육의 특수성을 인식한 유아 교육의 정상화가 가장 주요한 해결책으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국민의 안전건강과 및 복지에 직접 관련된 생활공간의 조성을 강조하는 등 사회적 관심이 증대 되면서 건축의 공공적 가치를 구현하고자 하는 2007년 제정된 건축기본법 기본이념에 부합되는 국·공립유치원의 공급확대와 시설환경 개선은 공공 건축의 관점에서도 국·공립유치원 건축의 역할은 중요할 것이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의 교육예산으로 인해 유치원 시설의 양과 질에 대한 공공부문의 역할이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적은 비용으로도 유아교육이 가능한 국·공립유치원의 공급확대와 시설환경 개선을 통한 건축의 공공적 가치 향상을 위해 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 또한 미래 교육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현 정부의 창의적인 글로벌 인재양성과 서민의 집중지원이라는 서민정책 등 학교시설 환경에 대한 정책변화가 요구된다. 특히 정책적으로 학교이지만 학교로서의 권한이 없는 유치원의 위상과, 단설 유치원의 설계기준으로 유치원 조성의 실효성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통합적인 유치원 설계기준을 도입하여 시설의 디자인 품질향상과 유지·관리를 통합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접근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공립 단설 유치원의 설계기준 마련을 위한 기본방향 제시와 유치원 설계기준의 활용 및 실행수단 확보를 위한 지원방안을 제안하여 통합적 유치원 설계를 위한 정책의 기본방향과 추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제2장 통합적인 설계기준의 개념. 유아교육법의 재정과 유치원 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라 유아교육의 확립을 위한 법적 토대가 마련되고 유·초 연계의 개념과 방법이 체계화 되는 기반을 마련함으로서 유치원의 위상에 변화가 생겼다. 이에 따라 유치원 시설을 위한 설계 및 설계기준 마련의 시급성 및 필요성이 절실해졌다. 또한 공공건축으로서 유치원과 건축의 공공성을 강조한 건축기본법이 제정되어 공공건축으로서 국·공립 유치원의 새로운 방향성이 제공되었다. 생활 기반시설로서 수요자가 중심이고, 사회적 공공성의 기능이 강화되며, 지역 주민의 공적 삶의 가치 증진을 위한 교육의 장으로서 문화적 공공성을 가진 유치원 실현을 목표로 한다. 공공성을 갖춘 유치원 건축디자인을 위해 5가지 주안점인 지속가능성/안전성과 편리성/사회통합적 디자인/유연성/지역성과 지역 사회의 요구가 반영될 수 있는 기준이 요구된다. 통합적 설계기준이란, 여럿이 흩어져 있는 기준을 하나의 획일화된 설계기준으로 새롭게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의 자율성을 인정하면서 다양한 설계기준이 가능하도록 일관성을 만드는 관계의 기준을 의미한다. 통합적 설계기준에 대한 의미의 영역범위는 크게 3범위로 구분된다. 1차로는 유치원의 사용자를 중심으로 유치원 조성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주체들간의 의사결정 과정을 통합한다. 중앙부처(교육과학기술부)와 지방교육청(시·도·지역)간의 일관성과 다양성을 유지하는 설계기준의 유연한 통합과 관련주체들의 합의와 협력에 의한 의사결정 과정의 통합이다. 2차로는 유치원조성과 관련하여 디자인과 성능을 포괄하는 설계기준의 통합과 실행을 위한 조성과정의 통합이다. 설계기준의 구성방법들 간의 관계와 설계기준이 실현되는 조성과정에 대한 통합으로서의 의미이다. 마지막으로는 지역사회의 요구와 지역성과의 통합이다. 지역사회의 요구에 대한 대응은 국공립단설유치원이 사회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으로서 지속적인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해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다. 지역성은 지역사회의 다양한 기후, 환경 등 인문·사회·경제·문화적 여건을 반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3장 국내 국·공립단설유치원 현황 및 문제점. 2004년 유아교육법의 제정으로 기존의 학교체계에서 유아교육환경에 대한 독립적인 가치 확보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유아발달의 특성을 고려한 기준이 마련되지 못하고 최소한의 면적기준만이 법적으로 제시되고 있고, 안전, 무장애 공간 구현 등의 부분적 주제로만 매뉴얼이 마련되어 활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실적으로 단설유치원이 지역교육청관할 내 1개의 공립유치원 설치를 기준으로 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교육과학기술부나 지역교육청에서는 별도의 설계기준을 마련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좋은 유치원을 만들기 위한 방향설정과 유치원 교육과정, 유치원 건축의 특수성을 고려한 설계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행정절차, 안전, 무장애 등의 여러 주제에 대한 명확한 목표와 방향설정을 제시하여 지자체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각 지역적 상황에 적합한 유치원을 설립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유치원 조성에 있어 유아, 교직원, 보호자, 건축가, 지자체(교육청), 중앙정부(교육과학기술부)가 주체가 되어야 하며, 초기의 기획 단계부터 전문가의 지원과 사용자와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의사결정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설계기준의 내용서술의 수준은 설계에 관한 최소한의 기준으로 제안하고, 실행력 확보를 위하여 지자체 차원에서의 지침보다는 법령에 근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목구성도 단순한 항목들의 나열이 아니라 정확한 목표 및 방향성에 대한 합의 속에서 구체화가 필요하다. 제4장 국내외 유치원 설계기준 현황. 영국, 미국, 일본은 유치원을 유아를 위한 독립적 시설로 간주하고 이에 대한 프로그램, 성능관련 기준을 유치원 설계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방향과 그에 대한 설명을 위한 예시만을 제시하며, 기준에 대한 보완은 지자체가 지역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소음대책, 안전 등의 특정주제에 대한 별도의 지침을 배포하여 활용하고 있다. 유아시설의 개발에 대한 일반사항, 시설의 설계에 대한 사항, 설비와 가구에 대한 사항, 체육장(유희장)에 관한 사항을 고려한 설계기준의 구성 체계 및 방식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시설에 관한 사항은 실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디자인, 성능관련 사항을 종합하여 서술하고, 성능과 관련된 공통항목은 부록으로 일반화하여 적용되도록 하고 있다. 해외기준에서는 계획 및 설계진행 시 설계기준의 목표 및 방향설정, 고려사항 및 일반 원칙/건축 업무에 대한 규정과 단계별 고려사항, 부지확보와 예산 및 규모 산정에 관련한 조성과정의 단계/대지 및 공간 별로 고려해야 할 행위·크기·배치·실 간의 연계, 기계설비, 상세 설계에 대한 사항/각 실별 공통적용 사항과 안전·설비와 같이 각 실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사항을 별도로 구성하는 내용들을 주요하게 고려하고 있다. 또한 국가별로 각 상황을 고려한 요소들이 반영되는 것을 도출할 수 있는데, 미국은 주요 주체별 고려사항과 교육인증제도를 통한 품질관리 방안을 상세하게 제안하고 있고 일본은 유치원 시설이 가져야 할 목표와 비전을 명확히 하고, 구조 및 방범계획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까지 포함하고 있다. 제5장 통합적인 설계기준의 기본방향 제시. 통합적인 설계기준의 기본방향은 크게 4가지로 제시하였다. 설계기준의 기본방향, 목표 및 대상과 범위, 구성체계, 마지막으로 활용 및 실행수단이다. 기본방향은 ‘사용자 중심의 설계기준’와 ‘유치원 교과과정에 적합한 환경조성’, ‘지역이 요구하는 양질의 공공 교육서비스 제공을 위한 환경’을 조성이다. 목표는 ‘유아가 중심이 되어 유아의 발달에 적합하고 쾌적하며 안전한 교육환경을 조성하고 공공성에 기반을 둔 지역의 유아교육 센터역할을 하며 가정과 지역을 연계하는 국?공립 단설 유치원의 실현’이다. 대상은 유아들의 발달에 맞는 단독건물에 유아교육을 전공한 원장 원감이 배치되어 있고 5학급이상의 학급으로 구성되어 지역의 센터 역할을 하는 있는 공립 유치원으로 하며, 적용범위는 기획단계에서 유지·관리까지로 한다. 구성체계는 설계기준의 구성은 기존의 법적기준들의 구성체계 내용과 설계기준에서 검토되어야 할 항목과 내용들을 고려하여 작성된다. 1)목표 및 기본원칙, 2)조성과정, 3)설계기준(필수사항, 권장사항), 4)기술공통사항, 5) 사례, 6)부록의 6부분으로 구성된다. 활용 및 실행수단으로는 법적체계를 고려하여 증앙부처에서 기본적인 원칙을 담을 수 있도록 법이나 시행규칙상에서 유치원에 대한 목표와 방향을 제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각 지자체 차원에서 업무매뉴얼 등의 제작을 통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설계관련 주체들 간의 협력체계 구축 및 디자인관리체계를 구축한다. 디자인 향상을 위한 교육과 홍보를 활성화하며 유치원시설에 대한 기준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기구의 설립을 제안한다. 제6장 결론. 본 연구는 유치원의 통합적인 설계기준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중앙부처와 지방교육청 간의 일관성과 다양성을 유지하며 관련 주체들의 합의와 참여가 가능하다. 또한, 계획·가치기준과 시설·성능기준을 포괄하고 설계기준과 실행을 위한 조성과정을 포함한다. 지역사회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반영하는 사회통합적 거점으로서의 국공립 유치원의 위상을 재정립 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본 연구는 국공립 단설유치원을 대상으로 현황 분석을 통하여 유치원 계획시 마련되어야 할 통합적인 설계기준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설계기준의 ‘방향성’만을 제시하고 있어서 구체적인 실행과정에 대한 검토를 통한 검증과정이 진행되지 못하였다. 향후 실행을 위한 별도의 연구진행을 통하여 방향설정의 적합성이 검토될 수 있을 것이다.
요약2 1. Introduction. Early child education, based on special character, is one of the solution for increase of working parents that cause low birth rate. Also, for the increase of social interest in health and welfare, on 2007, building standard was established to promote public value in architecture. Establishing early child care centers as a public facility will be important in social welfare aspects. Public roles in early childhood centers is insufficient becaus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llocate low budget on early child care. For the easy access in high quality early child care centers with low cost and enhancing the public value in architecture by improving facility and materials, the assistance from government is essential. In addition, for raising creative and global brains and supporting low-middle income family, government needs to change some policies for school environment and its facility.comecially, Early child care centers are school in the legal policy but practically they are exclal d from attaining the rights as a school.cturrently, with the design standards for public early childhood centers, it is not guaranteed the effectiveness of center construction. To design high quality architectural environment and keep maintaining consistently, public kindergarten as a independent facility needs to bring in integrated design guideline In this research, integrated design guideline of kindergarten is proposed to control the process; plan-design-construction-use and maintenance. Also this guideline will be helpful for quality control for designing early childhood centers. with this guideline, it is expected that basic direction of policy enable public independent kindergarten to pursuit public value as a facility as well as a good child education place. 2. The concept of integrated design guideline. Integrated design guide does not mean unifying the scattered standards but the consistent relation between vernacular architecture and main regulation which needs to apply generally. This guide will enable several participants to engage in creating kindergarten to more consider users. Also, integrated guideline will direct the kindergarten to keep its special character including its regional needs. For the integrated design, flexible synthesized standards need to clarify the role betwee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municipal education department for keeping consistency and diversity. Furthermore, design guideline needs to reflect the opinion of related participants and integrate planning and quality control including performance of facility standards. Integrated early child care center will be a base of social harmony, reflecting local inquiry. 3.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domestic public kindergarten. Specific design guide for kindergarten is not established yet in the central government or municipal government level because kindergartens were not built in a large scale. For the consistent construction of public kindergarten, the object, direction and hierarch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nvironment needs to be resettled. After enacting the law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indergarten is separated from the system of school, however, in other policy, kindergarten is regulated by existing school policy. The policy of school does not consider the development process of early children, so specific regulation which reflect special character of early children needs to be established. In current policy, only classroom size is mentioned, so there is no design guide which considered the process of early childhood and the characte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 better quality of education environment.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hould inform municipal education department the object and the direction for the process of administration, safety issue, access of the disabled. Municipal education department will follow the direction and adapt the guideline for their local condition. Kindergarten is for the education facility for early childhood and it requires to install utility and equipment. For the high quality facility, architecture process should reflect the understands of the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early children who are the main user of kindergarten. For constructing kindergarten, the opinion of kids, staff, teachers, parents, architect, municipal and federal government should reflect consistently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The legal policy of design guide as a minimum standards should attain its practical effectiveness. Design guideline is not the list of specific information but the direction of how participants are using as a reference. This guide will contain essential standards for planning and design development, and common contents and other information for materials and utilities will be the general standards. 4. Design Standards of Overseas. Japan, United Kingdom and United States regards the kindergarten as an independent facility and they have separate guideline for program and performance. Central government direct the guideline and show the examples, and municipal governments spread the guideline of acoustics, lighting environment and safety issue as general issues. Genera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facilities, designing the facility, installing the furniture and the setting of playground are high-lightened in guideline. Especially the guideline is composed with emphasizing program of classroom for the facility and generalizing the performance. The standards of foreign countries' kindergarten mainly focused on the object, direction, planning process, architecture process, funding and selecting site, maintenance, allocation of classroom, relation between classroom and choosing materials, furniture and utilities. Also, each countries reflects its own issue, United States is more focused on quality control through certification and Japan is more interested in detail information of building structure and anti-crime plan. 5. The basic direction of Integrated Design Guideline. After the enac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legal found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established and the recognition about the system of kindergarten is changed. To adjust the upgraded phase of kindergarten, basic design process and standards of guideline need to be established urgently. Kindergarten as a public architecture is required to emphasize more the character of publicity to follow the law, the foundation of architecture. The early childhood centers pursuit user based facility with considering publicity, and strengthen the value of local community as an education facility. For the public character, kindergarten should focus on substantiality, safety and maintenance, social integrated design, flexibility and vernacular architecture. The integrated design guideline for high qual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urgent to satisfy the demand of kindergarten as a public architecture and the stronghold of independent kindergarten. The integrated design guideline means user oriented desig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cused design for flexible activities and staff, parents and local inquiry reflected design standards. The guideline pursuits the flexible adaptation by follow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early children, the effective operation of classroom, the nature friendly classroom and the vernacular space for integrated society. Integrated design guideline is the participated design managing system which suits for children and the environment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uideline will enable the public kindergarten to role the public community center in local aspect. Furthermore, guideline will be the physical standar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well as the evidence of performance and quality control standards. Using guideline is expected to clarify the role of participants and simulate the process to enhance the quality. Guideline will be adjusted by depending on local situation and this will enable the kindergarten to realize various shapes by its culture and location. Based on design guideline, municipal government should reflect its own character to create intimate relation between community and local character. This research composes the system of integrated design guideline by limiting its boundary on public kindergarten which is operated as an independent facility. Design guideline contain the list of necessary room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rooms for planning. Appendix of this guideline contain technical performance. In addition, some examples will help to understand how the requirement is altered by the periods and education environment and how to enhance the quality of centers as an education facility. Central government consider the integrated design guideline legal policy to guarantee its effectiveness. With guideline, it is expected that intimate relation between participants of design and building the system of design management, and live marketing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lso the managing organization which keep developing the guideline for kindergarten needs to be established for archiving continuous records and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maintenance. 6. Conclusion. Inquiry to build public kindergarten as an independent facility is demanding. The public kindergarten is expected as the education center for the early children and the public building which supports local community activities. Because of theng wc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kindergarten became the independent facility, but other contents still needs to follow school policy. To solve inconsistency, additional revising is required in the legal aspect. This research suggests integrated design standards which enable the central and municipal education department to keep policy consistently. Also with the guideline for kindergarten, all the participants can coordinate their idea and embrace the planning and performance at the same time. When the integrated design guide runs effectively, the kindergarten become the base of social harmony and upgrade its phase as an education place and a local community center. The research try to direct the integrated design by analyzing current public kindergarten, specially the independent one. The design guideline suggests specific approach such as size, safety, and accessibility of disabled and enables the education aspect to transform into architectural forms. With this guideline, the research expect the integrated kindergarten to own general character as a education center as well as specific character that reflects the local character.
소장처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유치원의 공간규모계획에 관한 연구
강형구 ; 강봉임 ; 이청웅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4 n.2(통권 49호) (200504)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유치원의 안전한 실내 환경을 위한 실태 조사연구
최은진 ; 한혜련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24호 (20081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아동행태 특성에 따른 유치원 내 어린이 놀이터 공간 특성
정유진 ; 정진주 -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 v.15 n.4 (201311)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