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입체/복합시설 선큰 스페이스의 장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일본 도쿄 도시재생 입체/복합시설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lace Identity with Sunken Space in Mixed-use Somplex - Focusing on the Cases of Mixed-use Complex Planning with the Purpose of Urban Regeneration in Tokyo, Japan -
저자명 성이용(Sung Lee-Yong) ; 이상호(Yi Sang-Ho)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6 n.12 (2010-12)
페이지 시작페이지(147) 총페이지(8)
ISSN 12269093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도시재생 ; 입체/복합시설 ; 지하공간 ; 선큰 스페이스 ; 장소 정체성//Urban Regeneration ; Mixed Use Complex ; Underground Space ; Sunken Space ; Identity with(of) Place
요약2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cases, of benchmarking Mixed-use complex at Tokyo in Japan with the purpose of planning the sunken space at Mixed-use complex in Korea. This study is about the place identity of the sunken space in the Mixed-use complex, whi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some analysis item and suggest a way to improve the sunken space in the Mixed-use complex. The method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We draw some analysis item based on the theoretical approaching for defining the place identity of the sunken space at Mixed-use complex. And then we researching some case of Mixed-use complex at Tokyo in Japan Though this analysis item, finally we can define the place identity of sunken space at Mixed-use complex for each case in Japan. We then define the place signification of sunken space through 3 cases, Roppongi Hills, Grand commons & Intercity and Shiodome A, B, C Disrict which are planed as Mixed-use complexes in Tokyo. These cases are analyzed through 3 factors which are basic for studying place identity ; physical environment, human’ activity and the place signification.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environment of sunken space at Mixed-use complex planned on a large scale includes complex factors. Second, the sunken space at Mixed-use complex is planned as a place which makes users’ freedom in their activities when they use there. Third, the sunken space which makes diverse experiences is a main space factor from among outside space composition factors in the view of space experience. This sunken space is recognized as a main space which generates not only personal experiences but also collective and social experiences.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선큰스페이스 디자인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박소영(Park, So-Young) ; 황연숙(Hwang, Yeon-Sook)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18권 2호 (201610)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특집] 입체복합시설의 해외사례와 특성
최윤경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52 n.7 (200807)
SANAA의 건축에서 ‘분위기’의 개념과 구현방식
서정일(Seo Jeong-Il) ; 임리사(Lim Lis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10 (201010)
입체/복합시설 오픈 스페이스의 장소 정체성에 관한 연구
성이용 ; 이상호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1 n.4(통권 제41호) (20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