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논문] 재택근무의 교통부문 영향 분석 / 수도권의 총 승용차 통행거리(VKT)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 Estimating the Travel-related Impacts of Home-based Telecommuting - Focused on the Vehicle Kilometers Traveled(VKT) in Seoul Metropolitan Area
저자명 김승남 ; 안건혁
발행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수록사항 국토계획, v.45 n.7(통권 181호) (2010-12)
페이지 시작페이지(147) 총페이지(18)
ISSN 12267147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재택근무 ; 재택근무 수준 ; 승용차 통행거리(VKT) ; 토빗 회귀분석//Home-based Telecommuting ; Level of Telecommuting ; Vehicle Kilometers Traveled ; Tobit Regression
요약2 Although many researchers have been revealed relationship between telecommuting(TC) and travel, especially substitution effect, a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garding the negative impact of TC. Reduction of commute time and cost due to TC can allow stimulating travel in several ways: 1) generating non-commute work-related and non-work travel of tele-commuters(TCs) and their household members, 2) residential relocation to suburb and its travel generating effects, 3) latent demand, and 4) induced demand. We developed one OLS model and fifteen Tobit regression models to estimate total negative impacts, increase in Vehicle Kilometers Traveled(VKT), using 2006 Household Travel Dairy Data of Seoul Metropolitan Area(SMA) in Korea. We also computed level of TC and total commuting elimination impacts by applying Mokhtarian(1998)'s synthetic approach. From our econometric approaches, we found that the total amount of commuting reduction due to TC is expected to be about 0.3% of total VKT on any given week day in SMA. However, 70% of commuting reduction effect is eliminated by various travel generating effects derived from TC. As a result, net benefit of telecommuting is only about 0.1% of total VKT on any given week day(about 1km per each household). Therefore, planners have to consider negative impact of TC when they determine optimal level of TC and penetration to meet air quality standards and other policy goals.
소장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논문] 승용차 통행비용의 공간적 차이가 통행수단 선택에 미치는 영향
김승남 ; 안건혁 - 국토계획 : v.45 n.4(통권 178호) (201008)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논문] 재택근무와 주거입지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김승남 ; 안건혁 - 국토계획 : v.46 n.7(통권 188호) (201112)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
거시경제변수를 반영한 실물옵션 시나리오별 공공임대주택리츠 분양전환 가치 분석
현미옥(XUAN Meiyu) ; 장미경(Jang, Mi Kyoung) ; 전준용(QUAN Junlong) ; 김주형(Kim, JuHyong)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 Vol.18 No.3 (201705)
국내·외 캠퍼스타운 조성 사업 사례 조사 연구
강부성 ; 윤성빈 ; 황성은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6 No.2 (201610)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
발언과 논평 | 코로나19 사태로 본 전염병과 현대 공간
신건수(Shin, Gunsoo)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3 (202003)
[논문] 역세권개발과 수도권 공간구조 재편
이창무 ; 김흥순 ; 김미경 - 국토계획 : v.42 n.6(통권 159호) (20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