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조망경관계획에서 조망점 설정 특성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중소도시 사례를 대상으로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View point Setting in Urban scape Plan - In the case of the Regional Small & Medium Cities in Jeollanamdo -
저자명 박정현 ; 김윤학
발행사 한국농촌건축학회
수록사항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v.13 n.1 (2011-02)
페이지 시작페이지(9) 총페이지(12)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도시경관계획 ; 조망경관 ; 조망점 ; Urban scape Plan ; View Landscape ; View Point
요약2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basic landscape design established by 7 local governments in Jeollanam-do and its availability as the index of landscape administration and present a guideline with view landscape plan of local govern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below. In case of view landscape, while Korean cities have not many historical assets like landmark, they have locational characteristics with mountain or coast in the center or surroundings of downtown. Therefore, since view landscape has many cases of restricting individual property rights as well as having a value as public property of city which makes recognition of sharing city, it is very sensitive problem and establishing guideline of it is needed. But, it was found that view landscape plan of local governments established location of view spot with the nature of relief viewing downtown or coast from high spot. Selection of viewing objects in view plan require deciding an object as the public property of city and big cities require selection from the zone and small cities must select 1~2 spots from the viewpoint of whole downtown. 3~4 view spots of middle and distant views which makes city community centering around the subject of view must be selected through enough discussion and in case of natural landscape, View shaft or visible rays require setting of range that 30% of viewing objects is seen. View spot or viewing objects should be selected over twice as extra spots through public hearing and civil participation as the process.
소장처 한국농촌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논문] 도시 이미지에 기초한 도시유형 분류
변재상 ; 최형석 ; 이정원 ; 임승빈 - 국토계획 : v.41 n.3(통권 149호) (200606)
도시경관관리를 위한 조망점 및 선호특성 분석
송병화 ; 양병이 ; 이경진 -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 v.7 n.5(통권 27호) (200710)
전문가 조사를 통한 경사주거지 경관개선을 위한 설계요소와 정비방향 도출에 관한 연구
김민주(Kim, Min-Ju) ; 노세희(Noh, Se-Hee) ; 장한두(Jang, Han-D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9 n.5 (201305)
경관향상을 위한 도시특성별 건축물 높이 관리 방안 연구
이상민 ; 서남희 - 연구보고서(정책) : 2010 n.6 (201011)
[기술정보] 지하공간의 결로발생 현황과 대응방안
홍구표 - 건설기술ㅣ쌍용 : 2010. 가을호(v.56) (201009)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박사학위] 全方位 視知覺에 근거한 歷史的 空間에 있어서의 시퀀스적 경관 특성 파악에 關한 硏究
김흥만 - 국토계획 : v.44 n.1(통권 168호) (200902)
기성주거지 공간관리수요변화에 대응하는 정비방식 다양화 방안
서수정 ; 임유경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7 (200912)
조망점 선정을 위한 가시빈도분석에 관한 연구
이상복(Lee Sang-Bok) ; 이승엽(Lee Seung-Yeop) ; 하재명(Ha Jae-My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8 (200908)
경관 특성 파악에 있어서의 시퀀스적 시점장 선정과 전방위 화상정보의 유효성 검증에 관한 연구
김흥만 ; 이인희 -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 v.9 n.2(통권 36호) (200904)